
글 수 318
이민영, 개인정보보호법의 쟁점분석 및 제정방향
정보통신정책, 제17권 제20호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해 최근 2~3년동안 지속적인 논의가 개진되어 왔으나, 여지껏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침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적인 구제수단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일반국민에게 관련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는 메커니즘을 법제화 한다는 측면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인한 정보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입법과제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하루빨리 회부되어 있는 관련 법안을 심사해야 할 것이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재논의하여야 할 사항이 존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올바른 제정방향에 대해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법안의 내용
2.1 노회찬안
2.2 이은영안
2.3 상호비교
3. 쟁점별 분석
3.1 규제영역의 구분
3.2 개인정보의 정의
3.3 개인정보의 취급
4. 법안의 방향
Tweet
정보통신정책, 제17권 제20호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해 최근 2~3년동안 지속적인 논의가 개진되어 왔으나, 여지껏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침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적인 구제수단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일반국민에게 관련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는 메커니즘을 법제화 한다는 측면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으로 인한 정보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입법과제임에 분명하다. 따라서 하루빨리 회부되어 있는 관련 법안을 심사해야 할 것이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재논의하여야 할 사항이 존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올바른 제정방향에 대해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1. 문제의 제기
2. 법안의 내용
2.1 노회찬안
2.2 이은영안
2.3 상호비교
3. 쟁점별 분석
3.1 규제영역의 구분
3.2 개인정보의 정의
3.3 개인정보의 취급
4. 법안의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