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on_banner.jpg  

2011년 회원총회가 지난 2월 28일(월) 회원 여러분의 참여로 무사히 끝났습니다.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 28일에는 100여분 이상의 회원들께 전화를 드리고 거의 한 시간에 한 번 꼴로 투표와 위임을 부탁드리는 문자를 보내드렸습니다. 스팸처럼 쏟아지는 문자메시지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신 회원들도 계실텐데요. 죄송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요. 지켜봐주시고 참여해주신 모든 회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럼 총회 결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참가 현황

구분 총 의결권자 총 참가자 투표 위임
명수 578명 299명 170명 129명
비율 100% 51.7% 29.4% 22.3%

 

총 의결권자의 과반수(290명)을 가까스로 넘긴 299명(51.7%)이 총회에 참여해주셔서 총회가 성사되었습니다. 그 중 129명은 문자메시지 혹은 유선으로 총회의장에게 위임을 해주셨습니다. 

 join.png

안건 표결 결과

각 안건에 대해 표결에 참여한 170명 중 1명은 맨 앞에 메일 혹은 휴대폰 번호를 적는 란에 시민행동 전화번호를 적어주시는 바람에 중복 여부를 체크할 수 없어서 무효 처리되었습니다. 그래서 유효 투표인원은 169명입니다. 표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안건 1. 2010년 사업 보고

2010년 사업 보고에 대해 총 169명 중 167명(98%)이 승인해주셨습니다. (안건 다시 보기)

result_1.PNG

사업 보고와 관련해서 개별 사업에 대해 실적 이외의 정성적인 평가가 이루어졌으면 한다는 주문이 있었습니다. 또한 각 단위의 사업이 시민행동의 사업으로 통합되어보이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안건 2. 2010년 재정 보고

2010년 결산 보고에 대해 총 169명 중 165명(97%)이 승인해주셨습니다. (안건 다시 보기)

result_2.PNG

많은 회원들께서 재정 안정화가 되지 않고 있는 현실에 대해 우려를 해주셨습니다. 특히 인건비의 정상적 지급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해주셨습니다. 아울러 회원 확대, 재정 안정화를 위한 전담기구 설치, 월간 좋은예산의 온라인 컨텐츠화 등 재정 확대를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해주신 분들도 있었습니다. 사무처의 고민과도 맞닿아있는 제안들이었습니다. 이후에 구체적으로 논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건 3. 규약 개정

회비 및 후원금의 모금 실적 및 사용처를 온라인으로 공개하는 것을 명시하는 규약 개정안에 대해 165명(97%)의 회원들께서 승인해주셨습니다. (안건 다시 보기)

result_3.PNG

안건 4. 임원 선출

김건우, 이현진, 김지숙, 정우진 이상 네 명의 운영위원 후보가 각각 166명(98%), 165명(97%), 166명(98%), 167명(98%)의 승인을 얻어 6기 운영위원으로 추가 선출되었습니다. (후보 다시 만나기)

result_4-1.PNG

result_4-2.PNG

result_4-3.png

result_4-4.png

개별 운영위원에 대한 논의보다는 운영위원 후보들의 추천 사유와 활동에 대한 비전, 각오 등을 알기 어렵다는 문제제기가 있었습니다. 사무처의 총회 준비가 소홀하여 빚어진 일이었습니다. 회원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안건 5. 2011년 사업계획

2011년 사업계획이 총 168명(99%)의 승인을 얻어 확정되었습니다. (안건 다시 보기)

result_5.PNG

전반적으로 새로운 사업계획에 대한 격려와 함께, 회원, 일반시민들이 더 많이 참여할 수 있고 소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라는 주문이 많았습니다.

안건 6. 2011년 재정 계획

2011년 예산안이 총 167명(98%)의 승인을 얻어 확정되었습니다. (안건 다시 보기)

result_6.PNG

대부분의 회원들께서 회원 및 후원금 증대를 꼭 달성하라고 주문해주셨습니다. 오늘의 행동 다이어리 배포와 같은 방식으로 기존 회원들에게 정체성을 심어줄 것을 추천해주신 회원도 있었습니다.

참가자 현황

투표하신 회원

강문수 강상만 강장묵 강현숙 강혜영 곽태영 권오경 권혁노 김건우 김경곤 김광수 김동노 김동준 김동훈 김래환 김명석 김미란 김민경 김민수 김별아 김보영 김상백 김상욱 김성래 김영중 김영홍 김용균 김윤섭 김일웅 김재준 김종현 김주훈 김지경 김지숙 김지연 김지영 김지홍 김철 김청희 김태일 김태환 김현삼 김현철 김형식 김효정 류진 마웅저 민경배 박경태 박보람 박은철 박재범 박종운 박준우 박진옥 박현욱 박현태 방준현 백현석 서왕진 서준혁 서진석 서형원 설규주 성상현 손예린 손치훈 송경재 송용실 송재걸 송종운 신성희 신종철 신철 신철영 신철호 신태중 심재현 안진걸 양호철 염형철 오관영 오성규 유남석 유병승 유수훈 유용준 유정 윤오영 이규원 이기수 이미영 이상근 이상민 이상석 이상선 이선옥 이승철 이재영 이재원 이재정 이종은 이준성 이진석 이진희 이현진 이호준 임규용 임규철 임상엽 장경형 장공인 장미경 장상미 장석우 장영준 전승우 전종출 정경섭 정란아 정명희 정미애 정선애 정성훈 정우진 정재현 정주호 정창수 정홍상 정홍순 조경만 조돈문 조선희 조승만 조양호 조원일 조정관 조형욱 조형진 주미진 주한나 지현스님 차혁렬 채리미영 채연하 최경혜 최기현 최성인 최승우 최연재 최연희 최인욱 최준호 최철 최현기 탁용달 팽진욱 하경주 하승수 하승창 한병주 함상원 허광봉 홍관희 홍수진 홍원경 홍지명 홍창훈 황재권 신원불명1인  (총 170명)

위임하신 회원

강선희 강인재 강정미 강희영 고영삼 고재희 곽현 구법모 구본권 구정화 권기성 김경복 김광한 김광호 김기태 김명식 김민영 김상배 김성자 김순홍 김연정 김영명 김영수 김용기 김은정 김인선 김인숙 김재훈 김정환 김종헌 김주일 김지은 김지혜 김태선 김태열 김태진 김학순 김현철 김황종 류휘종 모영동 문광승 문선주 문형래 민병덕 박관영 박성현 박수익 박재홍 박재홍 박종민 박준영 박찬근 박채순 박항수 박항주 배지원 백성광 백헌석 서용탁 서재형 서현석 설현정 신남희 신의섭 신준수 양윤정 엄삼용 여병규 오정은 오혜근 옥미애 옥성만 왕수용 유대근 유명종 유연경 유한결 윤덕현 윤복구 윤여진 윤영진 윤원지 이강근 이경미 이명신 이민규 이병국 이상돈 이상수 이상현 이선우 이수현 이승주 이영면 이용선 이정탁 이지연 이필상 이혜영 임태희 전지현 전효관 정공주 정지호 정창수 정철수 정혜민 정효민 조경민 조균래 조숙임 조영훈 지승훈 채이배 천정환 최경주 최동민 최윤철 최은정 최진섭 최진혁 최화연 하승우 한선우 한진숙 허수경 홍웅표 홍원표 (총 129명)

참여해주신 모든 회원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이상과 같이 총회가 무사히 성사되었으며, 총회의 안건이 모두 승인되었습니다. 총회 진행에 관한 결과 및 평가는 별도로 보고합니다. 

사무처 평가 글 ☞ 총회를 마무리하며 

main.jpg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재창립? 실패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by 신비) Open CAN Project

올 초부터 정말 지치도록 힘들게 이야기해온 시민행동 재창립 비전이 하반기들어 어느 정도 모양을 갖춰가고 있습니다. 내년 총회에서 회원들의 의견을 물어야 하겠지만, 사무처와 운영위원회를 거치며 현재까지 나온 안은 추상적이나마 말하자면 '깊고 넓은 네트워크를 위한 재창립'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아래 하반기 정책협의회 자료 참조) 함께하는 시민행동 다음 10년의...

  • CAN
  • 조회 수 2362
  • 2009-11-24

존중, 정의, 자유.. 시민행동의 새로운 미션과 비전은? [2] Open CAN Project

비영리단체 뿐 아니라 조직은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에 대한 구성원들의 공감 여부에 따라 큰 위기에 처할 수도, 폭넓은 가능성을 가질 수도 있다고 하지요.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는 지난 가을 창립10주년 행사를 기점으로 2009년 시민행동 재창립 프로젝트, 일명 오픈캔프로젝트Open CAN Project가 진행중인데요, 어제는 운영위원과 사무처 상근자들의 사전 설문을 바...

  • CAN
  • 조회 수 2361
  • 2009-11-24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미래를 의논했습니다 Open CAN Project

저는 10월 초부터 시민학교를 운영하기 위해 시민행동에 새로 투입된 다기라고 합니다. ^^ 처음 인사드립니다. 지난 주 수요일인 10월 22일,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비전과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그동안 시민행동 내부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제가 그 논의에 참여한 것은 처음이었습니다. 한 조직에서 다른 조직이 생기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은 희귀한 경험일 것 같아요...

  • CAN
  • 조회 수 1704
  • 2009-10-29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