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감사청구 제도시행 4년 반 동안 고작 43건에 그쳐,
그나마 그중 42%는 각하 처리되어 감사 실시조차 안 돼,
정부의 '주민소송 남발 우려' 주장의 허구성 입증됐다

- 시민행동이 입수한 행정자치부 자료에 따르면 주민감사청구제도가 시행된 2000년부터 2004년 6월 현재까지의 4년 6개월 동안 전국에서 주민감사가 청구된 건수가 고작 43건뿐이며, 그나마 42%인 18건은 청구요건 미비 등을 이유로 각하되어 감사를 받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민소송제 도입시 소송남발이 우려되어 주민감사청구를 거치도록 해야만 한다는 정부의 주장이 근거없는 과장이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의미를 갖는다 -


함께하는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이 최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입수한 행정자치부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주민감사청구제도 시행 이후 2004년 6월 현재까지의 4년 6개월 동안 전국적으로 총 청구건수가 43건에 불과하며, 그나마 그중 42%인 18건은 각하 처리되어 감사 실시조차 안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기관에서의 '각하'란 '형식·요건·절차 등의 미비를 이유로 신청서, 원서, 신고서, 심판청구서 등의 수리를 거절하는 행정처분'을 말한다. 따라서 주민감사청구가 각하되었다는 것은 아예 감사를 해보지도 않고 감사청구를 물리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주민감사청구에 의해 감사가 실시된 것은 4년 반 동안 총 25건에 불과한 것이다.

4년 반 동안 주민감사청구를 제기한 것이 총 43건(年평균 9.6건), 주민의 청구에 의해 실제 감사가 실시된 것이 총 25건(年평균 5.6건)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현행 주민감사청구제도가 얼마나 문턱이 높고 홍보가 안 되어 있는가를 명백히 입증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최근 주민소송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이처럼 유명무실한 상태에 있는 주민감사청구를 반드시 거쳐야만 주민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했을 뿐 아니라 주민감사청구를 하려면 자치단체별로 인구 규모에 따라 100∼300인의 서명을 받아야만 하도록 하는 안을 내놓았다.

정부는 이러한 안을 내놓으면서 '주민소송제 도입시 무분별한 소송 남발을 방지하기 위해 주민감사청구를 거치도록 했지만, 동시에 지나치게 어렵게 할 경우 제도 사문화가 우려되므로 주민감사청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필요청구인 수를 대폭 낮추는 개선안을 마련한 것'이라고 홍보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행동이 조사한 결과 현행 제도에 따라 주민감사청구를 하기 위해 필요한 연명주민 수는 정부가 주민소송제 도입안을 내놓으면서 주민감사청구제도 개선안이라고 주장한 100∼300인보다 크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행동이 현행 관련조례를 무작위로 조사한 바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서울시 300인, 경상북도 300인, 전라남도 300인 등 대체로 정부의 개선안 중 인구가 많은 자치단체에 적용되는 300인 선과 같은 상황이며, 기초자치단체의 경우에도 서울 도봉구 100인, 경기 의정부시 200인, 경기 하남시 200인, 경북 울진군 200인, 광주 북구 200인 등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가 주민감사청구제의 문턱을 대폭 낮추는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주장한 것은 사실이 아니며, 단지 정부의 주민소송제 도입안의 문제점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비판을 피하기 위한 과장된 생색내기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주민소송 전에 주민감사청구를 거치도록 하고는 있으나 단 1명의 주민이라도 청구할 수 있고, 독립적 감사위원회가 감사를 실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주민의 신뢰도 높은 편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주민감사청구를 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감사의 실효성과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매우 낮은 것이 현실이므로, 주민소송 전에 주민감사청구를 거치도록 강제하는 것은 단지 소송을 내기 어렵게 하는 것 외에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시민행동은 정부에 대해 △유명무실한 주민감사청구를 주민소송 전에 거치도록 강제하는 입법안을 전면 재검토할 것과 아울러 △주민감사청구제도 자체에 대해서도 근본적 개선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함을 촉구하는 바이다.

2004년 6월 16일

『시 민 행 동』
공동대표 이필상 지현 윤영진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의 무분별한 확장을 경계한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연초부터 경찰청은 미아 찾기를 명목으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해왔습니다. 유전자정보는 각종 사회적 차별을 낳을 수 있는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이므로, 수집에 있어 매우 신중해야 합니다. 이에 시민사회단체들은 초동수사 강화 등 미아찾기를 위해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들을 우선시해야 하며, 장기미아 등 꼭 필요한 경우에만 충분한 법제도적 보호조치를 ...

  • 시민행동
  • 조회 수 1454
  • 2004-06-23

이거 보시면 후회하실꺼에욧! [8] 변두리편집장

변둘이 기자가 지난 목욜 긴급히 번개를 때렸습니다만 아무도 오지 않으셨습니다. ㅜ.ㅜ 그래서 안오신 분들. 모두모두 후회하시라고 후속 기사를 올립니다. 이것이 바로 주말농장에서 가져온 싱싱한 푸성귀들. 벌래먹은 구멍이 보이십니까? 야들야들 신선신선~! 입안에서 살살녹는 풀맛을 아실라나 몰러~ 자 그럼. 이재 보쌈을 먹어봅시다. 우선 신선한 푸성귀들을 준비합니다. 풀만 ...

  • CAN
  • 조회 수 1037
  • 2004-06-21

인기절정 주간 브리핑=.=;; 주간브리핑

인기 절정의 주간 브리핑입니다. 험험.. 오늘 사무처 회의 시작. 핫* : (낭랑한 목소리로)예산님 속초 MT는 왜 가는거야? k** : (턱을 당기고 근엄한 목소리로)오래전부터 정해져 있었습니다. 왜가냐는데 오래전부터 정해져 있었던거라니...어이없어하는 사람들의 웃음과 함께 회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예산팀은 화요일 속초로 MT를 갑니다. 그럼 왜 하필 예산팀만 가느냐? 속초에서...

  • CAN
  • 조회 수 881
  • 2004-06-21

주민감사청구 제도시행 4년 반 동안 고작 43건, '남발'이 아니라 '사문화'가 걱정이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주민감사청구 제도시행 4년 반 동안 고작 43건에 그쳐, 그나마 그중 42%는 각하 처리되어 감사 실시조차 안 돼, 정부의 '주민소송 남발 우려' 주장의 허구성 입증됐다 - 시민행동이 입수한 행정자치부 자료에 따르면 주민감사청구제도가 시행된 2000년부터 2004년 6월 현재까지의 4년 6개월 동안 전국에서 주민감사가 청구된 건수가 고작 43건뿐이며, 그나마 42%인 18건은 청구요...

  • 시민행동
  • 조회 수 1619
  • 2004-06-16

생일축하합니다~~ [7] 변두리편집장

안녕하십니까? 6월 14일 월요일 시민행동 주간 브리핑입니다. >>>첫번째 소식입니다. 오늘 예산감시 팀의 채연하씨가 생일을 맞았다고 합니다. 저녁에는 예산팀 주도로 생일 파티가 열릴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채연하씨는 이번이 몇 번째 생일인지는 밝힐 수 없다고 합니다. 서른 둘쯤 되면 다 그런가 봅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예산감시팀에서는 화요일 사회단체 보조금에 대한 ...

  • CAN
  • 조회 수 901
  • 2004-06-14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