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 한국정부는 버마가스개발에서 하루속히 버마인의 노동권, 인권, 환경권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국제사회의 요구에 귀기울일 것을 촉구한다.

2006년 4월 18일 태국, 인디아, 방글라데시, 필리핀, 일본,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호주, 스웨덴, 홍콩 등 20여 개국의 인권활동가들이 한국대사관과 대우인터내셔널 지사 앞에서 슈에가스프로젝트에 항의하는 행동을 벌인다.

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 한국정부는 한국의 버마가스프로젝트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주장을 이미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아무런 대책을 제시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버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한국시민사회와 버마인권활동가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요구를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프랑스의 토탈(Total)사와 미국의 유노칼(Unocal)이 1990년대에 투자한 야다나-예타건 가스개발사업은 강제노동, 강제이주, 강간 등의 인권침해로 국제사회에서 큰 논란이 되었으며 막대한 배상금합의에 이르는 소송을 치러야 했다. 이런 선례와 버마의 다른 지역에서 진행된 기반 시설 사업의 경험을 비추어봤을 때, 슈에가스개발은 지난 44년간 정권을 잡고 있는 버마 군부에 의해 관련 지역의 군사화의 확대와 인권 유린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군대에게 지급할 식량 공급의 착취 증가와 무작위의 세금 징수, 새로운 군사 시설과 진입로 및 수송관을 위한 토지 몰수, 수송관 루트에 근접한 마을주민의 강제 이동, 그리고 토지를 정리하고 새로운 군사 시설과 수송관 진입로를 건설하기 위한 강제 노동, 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의 증가, 자유로운 이동 제한의 증가, 가족해체, 난민 증가가 발생하여 빈곤과 무지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버마활동가들은 슈에가스개발 관련지역에 벌써 군부대 증가와 아라칸주 서부에 예상 수송관 루트에 근접한 지역에 토지몰수와 강제 노동 등 인권침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슈에가스개발 지역은 버마중앙정부로부터 방치된 저개발 지역으로서 대부분의 마을은 전기가 부족하다. 지역주민들은 고기잡이나 쌀농사로 살아가고 있고 이 지역에는 아직도 산과 방글라데시 북부 국경을 따라 넓은 원시림이 남아있다. 살고 있는 지역에서 상당한 매장량의 가스가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주민은 이 그 가스를 사용할 수도 없고 자원에 대한 자기결정권도 없다. 예상 가스파이프라인 루트와 수반되는 군사기반시설은 수세기의 공동체를 쫓아내거나, 남아있는 산림마저도 파괴시킬 것이다.

국제자유노련(ICFTU)과 버마민주화를 요구하는 ‘영국버마캠페인’(The Burma Campaign UK)는 버마에 투자하는 ‘추한 기업 명단(Dirty list)’에 대우인터내셔널을 포함하고 있다.

민주화와 인권을 위한 버마활동가들과 국제사회단체들은 버마가 군사정권의 박해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들의 자원 사용에 대한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민주화가 될 때까지 슈에가스개발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기업과 한국정부에 대한 도덕적인 이미지 실추는 경제적인 가치로 환산할 수 없을 것이다. 기업의 투자에서 인권과 환경권 존중은 이제 국제적인 추세이고, 직간접적인 인권침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대책마련뿐만 아니라 투자 자체에 대하여 재검토할 것을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논의하고 있다

한국기업과 정부가 논의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바로 무엇인가? 현지인의 생존권과 인권을 무시하는 투자와 자원추출은 결국 과거 우리가 비난해오던 제국주의의 모습 아닌가.

인권, 인간의 생명을 투자와 맞바꿀 수 없다. 그 개발이익이 누구에게 돌아가는가? 개발로 인해 군대화가 확대되고, 강제노동과 난민이 발생하고, 현지인의 삶의 질이 더 악화되는 개발을 우리는 해야 하는가? 나의 이웃에게서 피땀을 뺀 더러운 돈을 우리는 결코 가져와서는 안 된다.

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 한국정부는 하루빨리 슈에가스개발로 인한 현지 지역 주민들의 노동인권, 환경권과 관련된 실태 파악에 나서고, 예상되는 인권침해와 환경파괴를 어떻게 막을 것인지 대책을 제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또한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서 국제사회의 우려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요구에 대답하기를 바란다.


2006년 4월 18일



구속노동자후원회, 기업책임을위한시민연대, 노동인권회관, 나와우리, 동성애자인권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국제연대위원회, 다산인권센터, 민주노동당, 불교인권위원회, 아시아노동정보센터, 아시아 다국적 기업 감시 네트워크, 아시아태평양노동자연대 한국위원회,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울산인권운동연대, 인권과평화를 위한 국제민주연대, 인권운동사랑방, 참여연대, 평화와 통일을 여는 오산노동자 문화센터, 평화인권연대, 피난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 한국교회인권센터, 한국노동네트워크, 한국노총, 환경운동연합, 함께하는 시민행동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검색의 미래, 인터넷의 미래 - 異音의 두번째 이야기 [12] [8] 만남과 사귐

** 장소는 신촌이 아니라 홍대입구입니다~ ** 시민행동의 대화모임, 異音이 준비한 두 번째 이야기가 있습니다. 두번째 이야기의 주제는 바로 "검색"입니다. [검색으로 세상을 바꾼, 구글 스토리]라는 책에도 나와있듯이 검색은 어느덧 우리들의 삶에서 뗄레야 뗄 수 없는 생활방식이 되어버렸습니다. 지식검색을 모토로 검색으로 승부를 본 네이버는 국내 인터넷 시장의 강자가 되었...

  • CAN
  • 조회 수 2643
  • 2006-04-19

오늘 나간 마이캔 시 [몽혼] 낭송^^ [1]

近來安否問如何 (근래안부문여하) 月到紗窓妾恨多 (월도사창첩한다) 若使夢魂行有跡 (약사몽혼행유적) 門前石路半成沙 (문전석로반성사) 안부를 묻습니다. 요즘 어떠신지요. 창문에 달빛어리면 그리움 더욱 짙어집니다. 꿈속에서도 님을 만나려 내 영혼이 서성이던 발자국을 본다면 문 앞 돌길이 모두 모래가 되었을 것입니다. / 이옥봉 ([wp]몽혼[/wp]) 낭송을 들으시면 알만한 분들은 ...

  • CAN
  • 조회 수 1057
  • 2006-04-18

[회원통신] 와우, 생각보다 재정규모가 크네요 주간브리핑

이번주 시민행동은요.. "와우, 생각보다 재정규모가 크네요. 부럽고 걱정도 되고 ^^ 회비수입이 60% 정도 되나요? 좀더 올라가기를 희망하며.." 지난주 주간회원통신문을 보시고, 한 회원분께서 위와 같은 한줄 답변을 달아주셨어요. 아직 시민행동의 수입에서 회비와 후원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를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살짝 공개하자면요. (시민행동 재정에 관한 자...

  • CAN
  • 조회 수 1441
  • 2006-04-18

[공동성명] 한국의 슈에가스개발에 대한 제2차 국제공동행동의 날 한국공동성명서 성명/논평/보도자료

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 한국정부는 버마가스개발에서 하루속히 버마인의 노동권, 인권, 환경권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국제사회의 요구에 귀기울일 것을 촉구한다. 2006년 4월 18일 태국, 인디아, 방글라데시, 필리핀, 일본,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호주, 스웨덴, 홍콩 등 20여 개국의 인권활동가들이 한국대사관과 대우인터내셔널 지사 앞에서 슈에가스프로젝...

  • 시민행동
  • 조회 수 2767
  • 2006-04-18

삼청동 북카페에서 전현직 처장 데이트~ 만남과 사귐

비록 흐리긴 했어도 삼청동 넘어가는 고갯길 풍경 하나는 끝내주게 멋있었던 어제 저녁, 시민행동의 하처와 오처 (전처와 현처보단 듣기에 좀 낫죠 ㅋㅋ) 두분이 데이트를 한다는 소식을 긴급 입수, 파파라치 붙었습니다. (실은.. 둘이서만 저녁먹기 심심하니까 깍두기로 하나 껴서 델꾸갔다는 설이 더 유력함.. ㅠㅠ) 시민행동 사무처 사람들이 다른 단체 활동가들(특히 여성단체)만...

  • CAN
  • 조회 수 1384
  • 2006-04-18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