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확한 이동통신전화번호를 찾을 수 있는 경우 정보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놀랍게도 41%에서 정보를 찾을 수 있었으며 남성이 보다 이동통신전화정보를 많이 노출하고 있었다. (조사대상의 48%(남) 조사대상의34% 여)
·스팸성 광고물에 노출된 환경임을 감안한다면 꽤 많은 이동통신정보가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확연하게 이동통신전화번호의 노출 비율이 크게 줄어 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10대의 경우는 또래와의 연락을 위해 보다 많이 정보를 노출하고 있지만, 20,30대의 경우는 보다 넓은 사회공간에 진입하면서 자신의 접촉면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특히, 20,30대의 여성인 경우 그 특징이 두르러져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이동통신전화번호 출처 23%는 프로필, 기본정보등에서 적극적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6%는 소통의 공간 방명록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 이동통신전화번호 출처 23건 중 프로필, 기본정보등에서 10대에서 노출된 것은 13건으로 매우 적극적인 또래와 소통과 대화를 원하는 그룹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