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의 무분별 확산으로 인한 감시의 내면화 우려, 국회는 조속히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을 제정해야-

최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사물에 전자 추적표(RF태그)를 부착하려는 계획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선택일 것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신속한 전달은 행정당국의 입장에서 보면 매력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행정당국은 행정수요자인 시민들 입장에서 그것이 쉽게 받아드릴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시민입장에서 ‘안전’과 ‘금전적인 이득’이 제공되는 어떤 제안이 있다면 이것은 큰 유혹이 될 것입니다.

서울시교육청은 KT와 손을 잡고 ‘키즈 캐어’라는 서비스를 한다고 합니다. 학교를 다니는 자녀의 등교와 하교에 관한 정보를 RFID 학생증으로 인식하여 학부모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주는 것입니다. ‘귀하의 자녀가 등교 했습니다’ 라고 말이지요. 학교로부터 그 정보를 매일 받아야 안심이 된다면 학생과 학부모, 사회 모두에게 불행한 사회현상일 것입니다. 안전을 위해 추적 장치를 부착해야 하고 나의 안전을 위해 관련 정보를 부모에게 전달해야만 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물론, 아이들에게는 보살핌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위험으로부터 사회는 보호의 손길을 보내주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등교와 하교 정보를 매일 문자메시지로 받아보는 것은 과잉보호 아닐까요? 보호의 효과가 있기는 한 것일까요? 아이들의 휴대폰에 위성 추적 장치(GPS)를 부착하여 부모가 자녀의 위치를 알게 한다면 아이들을 보호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이야기가 있습니다. 기업과 행정당국은 언제인가는 이 계획을 강하게 주장하려고 할 듯합니다.

과잉보호로 감시의 대상이 되는 것을 어렸을 때부터 학습한, 모호한 안전의 댓가로 프라이버시의 일부를 침해 받았던 사람들은 미래에 어른이 되었을 경우 기계의 힘을 빌은 추적 감시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게 될까요? 감시의 내면화가 이루어진다면 우리 공동체의 미래는 어두운 먹구름에 갇히게 될지 모릅니다.

서울시는 최근 승용차 요일제의 확산을 위하여 참여자들에게 RFID 스티커를 나눠주고 있습니다. 교통량을 줄여 교통상황을 호전시키려는 계획입니다. 이 사업의 효과를 위하여 RFID 스티커를 발급 받은 참여자들에 대하여 자동차세 5%, 자동차보험료 2.7%의 감면 등과 같은 경제적 이익을 부여 하고 있습니다.

시민의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한 혜택일 것입니다. 그러나 혜택을 누리기 위해서는 승용차가 지정한 요일에 차량을 이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 당해야 합니다. 즉, 시내 주요 지점에 설치된 RFID 리더기가 승용차의 움직임을 감시하여 요일제를 준수하는지 기술적으로 추적할 것입니다. 약 7미터 거리 밖에서 참여자들의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RFID시스템의 응용 범위는 사실 매우 다양합니다.

금전적인 이득의 댓가로 프라이버시의 일부를 내놓는 사례가 이미 사회 곳곳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편리함의 유혹, 금전적인 이득과 프라이버시가 거래 되면 될수록 개인은 거대한 감시 구조에 갇히게 될지도 모릅니다.

유감스럽게도 사물을 추적하는 RFID 시스템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에도 프라이버시 위협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해 줄 수 있는 법과 제도의 정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습니다. 특히, 국회는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의 제정에 대하여 관심을 갖지 않고 있습니다. ‘가랑비에 옷 젖는다.’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서서히 확산되어가는 RFID는 우리의 프라이버시를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습니다. 조속한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과 더불어 RFID 지침 개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댓글 '3'

시민

2009.05.19 22:51:54

맞습니다. 요즘 행자부 전자주민증 계획이라든가 외교부 전자여권, 해양수산부 전자선원증, 군인공제회 나라사랑카드 발급등 대다수 국민들은 모르게 프라이버시 침해가 가중되고 있는데요 아마도 의도적으로 어릴때부터 길을 들이고 거부감을 없애려고 키즈캐어같은 일을 추진하는 것같습니다. 그 이도가 가증스러우며 항상 경계하며 감시하구 인간을 짐승이나 물건처럼 취급하는 계획은 무마를 시켜야하겠습니다.

단아

2009.05.19 22:51:54

무서운 세상이 와 버렸네요. 좀 있으면 모든 것을 감시당하는 사회가 올 것 같습니다. 신용카드에 달려 있는 교통카드를 이용 안 하는 것도 제 식대로의 반항인데요. 주민번호 8*****로 시작하는 ***이 ****년 **월 **일 **시 ***에서 **로 이동. 이런 게 다 기록으로 남아있다는 게 걱정스럽고 불쾌하기까지 해요. 흑.

정보인권국애쉬

2009.05.19 22:51:54

시민님/ 어려서부터 감시 받는 것에 익숙하게 하는 것만큼 무서운 것이 없지요..그거야말로 감시의 승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단아님/ RFID 칩 가격이 무섭게 떨어지고 있으니 모든 것이 감시가능한 세상이 곧 올 것 같습니다. 정말 섬뜩하지요. 알게 모르게 빅브라더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농후한 사회가 오고 있는 것 같구요.

아무튼 인간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사회가 되지 않다록 해야겠지요. 시민님, 단아님 계속 관심가져주시고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텃밭을 만들었어요! [5] 만남과 사귐

연초부터 '과연 한달이나 가나 보자'하는 믿음없는 수많은 이들의 훼방에도 불구하고 벌써 만 3개월 꾸준히 순항하고 있는 시민행동 밥상조합! 드디어, 기어이... 바야흐로 봄이 오려던 때부터 말만 무성하던 텃밭가꾸기를 파종기가 거의 끝나가는 4월의 마지막주가 되어서야 뚝딱! 해치우고 말았다는 소식입니다. 시민행동 사무실이 있는 시민공간 여울 건물은 다 좋은데 딱 한가지...

  • CAN
  • 조회 수 1033
  • 2006-04-28

휴면계좌의 활용방안에 대한 진지하고도 지속적인 논의를 기대한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오늘(4월 27일)부터 은행을 비롯한 보험과 우체국 금융의 휴면계좌를 일괄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가동됩니다. 이에 따라 금융 소비자들은 그동안 잊고 있었던 자신의 계좌를 손쉽게 확인하고 찾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격적인 시스템 가동과 함께, 여전히 발생하는 휴면계좌에 대해서는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시점인데요. 이에 대해 시민행...

  • 시민행동
  • 조회 수 2659
  • 2006-04-27

[** 중단-문자중계] 검색의 미래 인터넷의 미래 [7] [1] 만남과 사귐

이곳은 서울 홍대입구에 위치한 카페 아게하. 조금 전 7시 10분경 조아신의 소개로 이성진님의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금부터 덧글로 중계합니다^^

  • CAN
  • 조회 수 2207
  • 2006-04-26

[異音] 두번째 이야기마당(검색의 미래 인터넷의 미래)을 앞두고.. [1] 만남과 사귐

지금 시각은 오후 3시 30분. 이 시각쯤 되면 마음속에 갈등을 느끼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 저녁 '검색의 미래 인터넷의 미래' 이야기마당이 있다고 들었는데... 날씨는 꿀꿀하고, 거리도 좀 되고.. 저녁모임이란 게 할땐 재밌어도 끝나면 너무 피곤한데.. 게다가 시민행동이 뭐하는 곳인지도 모르면서 제목에 솔깃해 귀한 시간을 낸다는 것도 그렇고... 뭐, 갔다온...

  • CAN
  • 조회 수 2535
  • 2006-04-26

전자추적장치(RFID) 확산을 경계한다. [3] 성명/논평/보도자료

-RFID의 무분별 확산으로 인한 감시의 내면화 우려, 국회는 조속히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을 제정해야- 최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사물에 전자 추적표(RF태그)를 부착하려는 계획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선택일 것입니다.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신속한 전달은 행정당국의 입장에서 보면 매력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행정당국은 행정수요자인 시...

  • 시민행동
  • 조회 수 3035
  • 2006-04-26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