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이면 참여하는 한 줄 회원총회'라는 이름으로, 시민행동의 운영과 사업에 관해 여러 가지 설문을 진행한다는 거 알고 계세요? (혹시 뉴스레터가 안 들어오고 있다면, 사무처로 전화 한 번 부탁드려요. 02-921-4709로 전화하셔서 뉴스레터 받아보시고 싶은 메일 주소 남겨주세요)

 

7~8월 사이에 여러 설문이 진행되었는데요. 아직 결과를 알려드리지 못했네요. 오늘 한 번에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이전 결과 보기 

[한줄 총회 3회]  사회적인 성과와 기여, 그리고 적절한 생계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시민행동이나 좋은예산, 좋은기업센터 상근자의 연봉은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세요? 설문의 편의상 32세 내외의 갓 결혼한 5년차 상근차(일반 기업에서 대리급?)를 기준으로 답해주세요. (단위 : 만원)

 

다소 도발적인 설문이었고, 주관식으로 질문을 드린 지라 어떤 대답들을 해주실 지 약간 두렵기도 했는데요. 모두 21분께서 설문에 응답해주셨습니다.

 

응답을 살펴보면 최저 1,500만원에서 최대 5,000만원까지 다양한 답변이 있었는데요, 평균해보면 연 2,539만원이 나왔습니다. 월 210만원 정도인데요. 통계청의 2011년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 203만원(정규직 평균 271만원, 비정규직 평균 130만원)이라고 하니, 근로자 평균임금 정도가 적절하다고 보시는 것 같습니다. 다만 현실은 비정규직 평균에 가깝다는 것이지만요. 

 

[한줄 총회 4] 2012년에는 총선과 대선이 연달아 펼쳐집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이슈들이 쟁점으로 떠오를텐데요. 특히 핵심 쟁점이 될 이슈를 두 가지만 골라주세요. 

cats-1.jpg

총 26분이 대답을 주셨습니다. 두 가지를 골라달라고 부탁드렸지만 어떤 분은 하나만, 어떤 분은 두 개 이상을 고르신 경우도 있었습니다. 뭐, 어차피 엄밀한 설문이나 투표는 아니니까요. 그런저런 경우를 다 포함해서 결과를 내봤습니다.

 

26분 중 18분이 일자리/고용불안을 중요한 이슈로 골라주셨습니다. 내년 선거의 핵심이 복지가 될 것이라고는 하지만, 복지 중에서도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일자리와 고용에 관련된 것들을 더 중요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이어서 양육/의료/교육부담 증가와 표현의 자유 등 기본적 인권의 후퇴를 각각 9분이 골라주셨습니다. 아무래도 시민행동 회원들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을 듯 하고요. 시민행동의 활동에 여러모로 시사점을 주는 설문 결과였습니다. 

 

[한줄 총회 5] 2012년 양대 선거, 시민행동은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는 게 좋을까요?

poll5-1.jpg

여름 휴가 기간에 진행된 설문인데다 다소 전술적인 질문인지라 응답자가 8분에 그쳤습니다. 역시 복수 응답을 허용한 설문이어서 합산하면 100%가 넘습니다.

 

정책 운동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차지했습니다. 정책 운동은 선거 시기 시민단체들이 가장 기본적으로 해온 활동이니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선거법, 정치자금법 등 정치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3분이었고, 개혁적인 후보들을 지지하고 낡은 후보들을 반대하는 당선/낙선운동의 방식을 선택하신 분이 역시 3분이었습니다. 직접적인 정치 참여 같은 운동보다는 기존의 시민단체로서의 역할을 할 것을 주문하신 분이 많았습니다. 

 

[한줄 총회 6] 최근 정당에 가입하고 후원을 해온 공무원과 교사들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공무원과 교사의 정당 가입, 어떻게 생각하세요?

cats-3.jpg

 

그 전까지 좀 더 포괄적인 질문이 나갔다면 지난 주에 진행한 여섯 번째 한 줄 총회는 좀 더 현안에 가까운 문제를 다뤄봤습니다. 시민행동이 참여하고 있는 정치관계법 개정 이슈 중에서 조금 논란이 되는 이슈 중 하나가 바로 공무원과 교사의 정치 참여 허용 문제였는데요.

 

모두 23분이 답을 주셨는데요. 그 중 20분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소액 후원만 허용하거나 아예 모두 금지시켜야 한다는 의견은 3분에 그쳤습니다. 

 

어떠세요? 예상하신 것과 비슷한가요? 비록 20~30여분만 참여하시는 설문이지만, 사무처 활동가들이 일해나갈 때 여러가지로 참고가 되고 있답니다. 앞으로도 좀 더 자주!! 여러분의 생각을 시민행동에 알려주세요^^ 아, 오늘부터는 곽노현 서울시 교육감의 매수 의혹 건에 대해 설문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메일함으로 확인해보세요.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곽노현 교육감, 과연 사퇴해야 할까요? 한 줄 회원총회

오늘 곽노현 교육감이 검찰에 의해 구속되었습니다. 곽 교육감은 법원에서 진실이 가려질 것임을 강조하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데요. 시민행동은 지난 8월 말부터 한 줄 회원총회에서 이 사건에 관해 회원들의 의견을 물었는데요. 총 24분이 대답을 주셨는데요. 그 중 8분이 사실상 매수이며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14분이 검찰의 표적 수사의 희생양일 수 있으므로 재판을 지켜...

  • minik
  • 조회 수 5589
  • 2011-09-10

한겨레아이들 편집장 박상육 님의 '내가 만든 책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4] 토론회, 좌담, 대화모임

동네도서관들과 출판노협이 함께하는 내가 만든 책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어린이책 편집자가 말하는 어린이책을 둘러싼 이야기들 어린이책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어린이책은 왜 이렇게 많을까? 많은 어린이책이 쏟아져 나오지만 어떤 게 우리 어린이에게 좋을까? 어린 시절부터 ‘책 읽어라’는 어른들의 목소리는 너무도 크지만 정작 ‘책’에 대해서는 ...

  • minik
  • 조회 수 10772
  • 2011-09-10

기업의 개인정보 수집과 보호 토론문 [1] 성명/논평/보도자료

8월 31일. 국가인권위에서 기업의 개인정보 수집과 보호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있었습니다. 그날 토론에서 몇가지 깜박하고 이야기 못한 것도 있는데, 강제적인 인터넷 실명제가 존재하는 한 국내 기업의의 클라우딩 서비스 미래도 없다는 저주를 깜박했어요. 왜? 성공 못하냐면, 개인이든 조직이든 그곳에서 생산한 내용을 국내기업의 DB에 올려놓은 사람은 극소수일 것이라는 거죠...

  • 빛으로
  • 조회 수 8318
  • 2011-09-01

8월 오늘의 행동 리뷰모임 후기^^ 오늘의행동

지난 8월 8일 나루근처에서 오늘의 행동 리뷰모임이 있었습니다. 이날 쏟아지는 비에 돌풍까지 몰아쳐 리뷰모임을 연기해야하나..고민할 정도로 날씨가 안좋았었는데요. 참석하고싶다는 의사를 주신 회원분들 몇분이 계셨는데 안타깝게도 참석하지 못하셨어요. 다음 9월 리뷰모임에는 같이 모여서 오늘의 행동에 대한 이야기 나눠보면 좋겠어요. 나루근처에 있는 장소에 모여서 7월달 오...

  • 앨리스
  • 조회 수 3438
  • 2011-08-30

회원들이 생각하는 시민행동 상근자의 적정 연봉과 내년 대선 주요 의제는? 한 줄 회원총회

'10분이면 참여하는 한 줄 회원총회'라는 이름으로, 시민행동의 운영과 사업에 관해 여러 가지 설문을 진행한다는 거 알고 계세요? (혹시 뉴스레터가 안 들어오고 있다면, 사무처로 전화 한 번 부탁드려요. 02-921-4709로 전화하셔서 뉴스레터 받아보시고 싶은 메일 주소 남겨주세요) 7~8월 사이에 여러 설문이 진행되었는데요. 아직 결과를 알려드리지 못했네요. 오늘 한 번에 정리...

  • CAN
  • 조회 수 4819
  • 2011-08-29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