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하루에도 몇잔씩 마시는 커피를 다른 측면에서 보게 된건 4~5년 전쯤입니다. 미국의 시민단체인 글로벌익스체인지 홈페이지에서 Coffee Campaign 이라는 단어를 발견한거지요. 더욱 관심을 끌었던 것은 저에게는 너무나 생소했던 "커피를 마시는게 아니라 문화를 마신다"는 그 유명한 스타벅스를 상대로 이 단체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스타벅스 캠페인 사이트 바로가기)



2004년, 스타벅스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보고서>에서 "스타벅스는 농민들에게 공정한 가격을 주고 자연친화적인 커피를 사들였다. 지난해 스타벅스는 볶지 않은 생원두를 1파운드에 시장가격의 2배인 평균 1.2달러를 주고 사들였으며, 전체 30%를 농민들과 직거래로 구입했다"고 자랑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결과는 스타벅스 스스로 커피재배농가들을 위해 처음부터 한 일은 아닙니다. 그 과정에는 시민운동단체들의 반세계화운동, 공정무역운동 등의 노력이 있었습니다. 1999년 WTO 총회가 열린 시애틀에서의 반세계화 시위 때 이곳에 본사를 둔 스타벅스는 시위대의 주요한 표적이기도 했다죠.... (아래 박스기사 참조)



스타벅스 캠페인
글로벌 익스체인지의 활동

▲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의 스타벅스 캠페인을 상징하는 이미지
2000년 봄 Global Exchange는 미국 내 최대 소매 업체인 스타벅스를 상대로 공정하게 거래된 커피를 구입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운동을 시작했다. 1999년 11월 Global Exchange는 스타벅스의 CEO인 하워드 쉴츠(Howard Schultz)에게 공정하게 거래된 커피를 구입할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같은 달 시애틀에 있는 스타벅스 본사 앞에서 몇 몇의 평화적인 시위를 조직했다. 스타벅스는 Global Exchange가 제시한 커피원두가 질이 낮고, 소비자들이 이러한 공정하게 거래된 커피에 대한 요구 또한 불충분하다고 둘러대면서, 자신들의 관행을 바꾸기에 주저했다. 이에 Global Exchange는 전 국가적으로 스타벅스의 소비자들에게 스타벅스가 공정하게 거래된 커피를 구입하도록 해야 한다는 내용의 수많은 편지들을 보냈다.



2000년 2월 샌프란시스코의 KGO방송국(ABC방송과 관련된)의 부정, 부패 고발 프로그램은 스타벅스에게 커피를 파는 과테말라 한 농장의 아동노동과 믿기 어려울 정도의 낮은 임금에 대해 폭로했다. 이러한 것의 결과 2월 4일 Global Exchange는 지역적인 시위를 조직했다. 2월 14일 Global Exchange는 스타벅스의 연례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스타벅스는 소비자들의 공정한 커피 거래의 요구를 수용해야 함을 청원했다. 이에 스타벅스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인식하여 아주 소량의 공정 거래된 커피를 구입했다. 그러나 그 양은 미디어를 인식한 기만적인 행위였다.



이에 Global Exchange는 여러 시민단체들 종교단체들에게 자신들의 뜻을 알리고 스타벅스 매장 앞에서 여러 시위들을 조직하고 행동에 옮겼다. 이와 동시에 많은 지지자들에게 팩스, 엽서, 편지를 통해 스타벅스에게 항의의 뜻을 전달하도록 부탁했다. 이러한 캠페인이 진행된 후 얼마되지 않아 스타벅스는 Global Exchange의 뜻을 수용할 것을 발표하였다. 즉 스타벅스는 자신들의 매장에 대해 공정거래 되었다는 인증이 있는 커피만을 제공할 것을 발표했다. 이 큰 승리는 커피 농가들에게는 기존의 수입보다 세배가 넘는 수입을 가능하게 할 것이고, 이러한 거대한 기업을 상대로한 자발적인 운동의 경험은 많은 사람들에게 연대를 통한 사회변혁의 가능성을 맛보게 했다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세계시민운동정보채널 http://www.worldngo.net /시민행동




그리고 한동안 잊고 지냈는데 2006년 4월.. 세계일보에 실린 "사이언스 리뷰 - 커피 한잔의 과학"이라는 칼럼을 우연히 보게 됩니다. 그래서 대안생활백서 게시판에 우리가 하루에도 몇잔씩 마시는 커피를 누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고, 어떻게 우리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되는지를 알아보는 것, 그리고 가능하다면 공정무역을 통해 거래되는 커피를 마셔보는건 어떨까라고 제안을 하게 되었는데요. 



몇분이 의견을 주셨습니다. 그래서 의견을 주신 분들의 생각과 몇가지 정보를 취합하여 "착한 커피를 가까이 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1. 착한 커피를 선물하자.



아야님께서 짧게 말씀하셨죠. "착한 커피를 선물하자"

여기서 핵심단어는 "선물"이 아닐까 나름대로 추측해봤습니다. 맞나요? ^^



이런건 어떨까요.. 혹시 선물할 기회가 생긴다면 - 신혼부부에게는 더 좋을 거 같죠 - 커피메이커와 함께 착한커피 몇봉지와 커피잔을 선물하는겁니다. 그리고 착한 커피에 관한 간략한 정보들을 모아서 함께 전달하는거죠. 커피를 생산하는 대다수 농가들의 현실이 어떤지, 착한 커피는 무엇인지, 왜 내가 착한 커피를 굳이 선물했는지 등등을요. 착한 커피를 살 수 있는 곳을 알려주고 - 아름다운가게에서 아름다운커피를 판매한다네요. 혹시 다른 곳도 알고 계신다면 좀 알려주세요. - 앞으로도 커피는 착한 커피를 계속 구매해달라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에게 선물할 기회가 있다면 착한커피3종세트(커피메이커, 착한커피, 커피잔)를 추천한다고 말이죠. (추신으로는 이 말을 써주시면 금상첨화!.. 함께하는 시민행동이라는 시민단체가 대안생활백서라는 이름으로 생활실천운동을 하고 있는데...... 사실 거기서 알게 되었는데 여력이 된다면 그 단체 후원좀 하시라고... ^^)



2. 착한 커피의 종류



글로벌 익스체인지의 FairTrade Online Store의 커피상품들


생활인님께서 착한 커피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착한 커피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공정거래커피, 그늘재배커피, 유기농커피, 생계유지커피, 인증커피... 생활인님께서 이야기해주신 커피 종류를 다음과 같습니다.



공정거래커피는 국제공정거래규정을 지키며 재배하고 거래한 커피원두로 만든 커피를 말합니다. 급여가 낮은 아동노동을 쓰지 않고, 적정가격을 지불하는 등의 규정을 지키죠. 유기농커피는 뭐 다 아시겠지만 화학살충제 쓰지 않고 재배하는 커피입니다. 그늘재배커피는 열대우림을 보호하기 위해 나무를 베지 않고 나무 사이에 커피나무를 심은 뒤 그늘에서 자란 커피에서 수확한 원두로 만든 커피입니다. 생계유지커피는 재배농가가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저가격을 보장해주는 커피, 인증커피는 위와 같은 기준을 지켰음을 인증해주는 기관이나 단체로부터 인증받은 커피를 말한답니다. (생활인님)



위 그림의 중간에 있는 Cloudforest Coffee가 그늘재배커피겠죠... 세번째의 커피는 쿠바커피에 대한 통산금지조치를 끝내자(End the Embargo on Cuba Coffees)는 의미를 담고 있는 커피입니다. 너무나도 명한 혁명가 체 게바라의 사진이 인쇄되어 있네요.



3. 마약재배 대신 커피재배를 택한 고산족



이산님께서 정말 유용한 정보를 주셨습니다. 해외 출장 중에 커피나 차를 구해오곤 하는데 최근에 태국에서 가져온 커피 포장 박스의 설명문을 보니 그 커피는 '마약을 재배하던 주민들을 커피 재배로 전환시켜 만든 특산품'이라고 합니다.



태국 북부의 정글로 뒤덮힌 기복있는 언덕의 광대한 지역과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에 걸쳐 흩어져 있는 고산족들은 수세기 동안 아편 재배로 악명이 높았는데 왕실 프로젝트와 국제마약통제프로그램(UNDCP :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Drug Control Programme)의 노력으로 아편 대산 커피를 재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커피는 고산족들의 미래를 위해, 이 지역에서 자라는 아이들을 지원하는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이산님의 댓글 자세히 보기)



4. 기타 - 착한 커피를 위한 아이디어 몇가지



위와 같은 정보들과 함께 웃는 시민님의 의견을 종합하여 <착한 커피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몇가지 아이디어>를 정리해봅니다.



  • 커피를 통해 공정무역에 대해 함께 공부하기
  • 일명 착한 커피 3종 세트 (커피메이커, 착한커피, 커피잔) 선물하기 운동
  • 국내의 커피회사인 동서식품(맥심)과 한국네슬레(테이스터스 초이스)가 생산하는 커피의 원료는 어느 곳에서 어떤 생산과정을 통해 어떻게 거래되어 들어왔는지 알아보기. 만약 정보가 없다면 해당 정보를 알려줄 것을 기업에 요청하기
  • 스타벅스, 파스쿠찌(이탈리아커피전문점), 로즈버드(테이크아웃커피전문점), 다빈치(테이크아웃커피전문점) 등의 커피 원료에 대해 알아보기. 이런 곳에서 커피를 마신다면 원료가 어느 곳에서 나온건지 물어보기.
  • 위와 같은 일을 착한커피를위한모임과 같은 커뮤니티를 함께 만들어서 해보는 것.
공정거래의 기준
공정무역운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공정거래
1. 각 국의 경제사정을 고려한 공정 임금의 지불

2. 피고용인의 자아개발을 위한 기회 제공

3. 모든 사람에게 공평한 구직 기회 제공

4.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생산관행의 수립

5. 공공 책임의 수용

6. 장기적인 안목의 거래관계 수립

7. 각국의 사회적 환경에 적합한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환경

8. 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재정적, 기술적 지원 제공

8. 아동노동력을 착취하지 않는 환경의 확보 /시민행동
정말... <착한커피를위한모임>같은거 만들어서 착한커피, 공정무역에 대해서도 공부하고, 국내에서 캠페인도 해보면 어떨까요? 관심있으신 분 계신가요? ^^ 댓글 달아주시면 함께 고민해보도록 하자구요.



지금 제가 집에서 먹고 있는 커피는 (주)구띠에 커피에서 나온 티모네라는 브랜드인데 어떤건지 알 수가 없네요..ㅜㅜ 그렇다고 그냥 버리기는 아깝고.... 이거 떨어지면 확실한 착한 커피로 바꿔야겠습니다... 좋은 의견 주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조아신 씀 -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대추리 주민대표 구속적부심 기각은 잘못이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사회 각계인사 95인 연명의 탄원서 제출 등 노력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지난 6월 20일 김지태 팽성주민대책위 위원장과 강상원 평택대책위 집행위원장에 대한 구속적부심사에서 모두 기각 결정을 내렸다. 시민행동 등 시민단체들은 이러한 법원 결정에 항의하고 정부의 자세변화를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 평택기지 관련, ...

  • 시민행동
  • 조회 수 2130
  • 2006-06-23

대추리 김지태 이장님을 풀어주세요. [1] 성명/논평/보도자료

평택 주민들이 미군기지 확장에 반대해서 싸우는 과정에서 대추리 김지태 이장(팽성주민대책위 위원장)과 강상원 대책위 집행위원장이 구속되었습니다. 김지태 이장은 정부와의 대화 과정에서 주민대표로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구속되는 바람에 대화가 원할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마을 주민분들이 주민대표 없이 무슨 대화냐며 반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과정상에 불법이...

  • 시민행동
  • 조회 수 2818
  • 2006-06-22

[대안생활] 착한(fair) 커피를 가까이 하는 방법을 모았습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그러니까 하루에도 몇잔씩 마시는 커피를 다른 측면에서 보게 된건 4~5년 전쯤입니다. 미국의 시민단체인 글로벌익스체인지 홈페이지에서 Coffee Campaign 이라는 단어를 발견한거지요. 더욱 관심을 끌었던 것은 저에게는 너무나 생소했던 "커피를 마시는게 아니라 문화를 마신다"는 그 유명한 스타벅스를 상대로 이 단체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스타벅스 캠페인...

  • 시민행동
  • 조회 수 1601
  • 2006-06-22

국민소송제 토론회는 주민소송제 토론 재방송? 성명/논평/보도자료

지난주 금요일 사법개혁추진위원회에서 주최한 '국민소송제 도입방안 공청회'에 갔습니다. 국민소송제는 함께하는 시민행동이 진작부터 입법운동을 펼쳐온 납세자소송제의 다른 이름입니다. 납세자소송이라는 용어가 조세저항으로 인식되는 등 부적절하다면서 정부와 전문학자들이 지지하는 이름이지요. 전문가들에겐 꽤 중요한 일인지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국민들에게야 이름이 뭐 중요...

  • 시민행동
  • 조회 수 1055
  • 2006-06-21

착한커피를 가까이 하는 방법 대안생활캠페인

그러니까 하루에도 몇잔씩 마시는 커피를 다른 측면에서 보게 된건 4~5년 전쯤입니다. 미국의 시민단체인 글로벌익스체인지 홈페이지에서 Coffee Campaign 이라는 단어를 발견한거지요. 더욱 관심을 끌었던 것은 저에게는 너무나 생소했던 "커피를 마시는게 아니라 문화를 마신다"는 그 유명한 스타벅스를 상대로 이 단체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스타벅스 캠페인 ...

  • CAN
  • 조회 수 3451
  • 2006-06-21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