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미션 워크숍 참가자들이 마지막에 핵심 가치로 선정한 세 가지 가치는 존중, 정의, 그리고 자유였어요. 이 세 가지 가치는 어떻게 뽑혔을까요?

앞서 비전미션 워크숍 전에 설문을 했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설문 결과를 살펴본 서재교 연구원이 하신 말씀이, 비전이랑 미션 관련된 설문에는 다들 비슷비슷하게 대답했는데 핵심 가치와 관련된 설문의 대답이 천차만별이라고, 사실 조직에서는 이게 더 문제가 된다고 하시더군요.

막상 워크숍을 시작하고 나니, 바로 어려움이 시작되더군요. 참가자 전원에게 각자 세 가지 가치씩 골라서 투표를 하게 했습니다.

IMG_4494.jpg
보시면 아시겠지만, 진보가 6표로 가장 많은 득표를, 공유와 연대가 각각 5표로 그 다음 순위를 차지했답니다. 이 날 최종적으로 핵심 가치로 선정되었던 존중, 정의, 자유는 각각 3표, 1표, 2표밖에 얻지 못했는데요. 과연 그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길래, 많은 득표를 했던 가치들이 다 밀려났을까요?

일단 투표를 하고 나면 나온 가치들을 가지고 토론을 하게 되는데요. 뭐, 개개인이 어떻게 투표했는지 확인해보지는 않았지만, 진보나 연대, 정의, 저항 같은 단어들이 상대적으로 선배 그룹에서 많이 나온 반면, 조화나 공유, 존중, 자유 같은 단어들은 상대적으로 후배 그룹에서 많이 나왔다는 차이를 확인하게 되었고요.

가치끼리 비교도 해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진보라는 가치는 변화라는 가치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게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어서 두 가지 중 하나를 골라보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투표를 했더니 9대 1로 변화를 선택했는데요. (2명은 기권) 그 결과에 대해 이번에는, '변화는 삶이나 운동에 임하는 태도를 담은 가치지만, 진보에는 평등이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존중 같은 방향성이 담긴 가치여서 그 둘을 갖고 선택하는 건 옳지 않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답니다. 그 때 진행자인 서재교 연구원이 "바로 그거다. 한 가지 가치를 파고들어가보면 진짜 담고 싶은 또 다른 가치들이 나온다. 그래서 토론이 필요하다"고 하시더군요.

한참의 토론 끝에, 결국 진보는 정의와 존중으로 미분되었고요. 공유 또한 자유와 연대로 미분되었고, 연대는 다시 존중으로 수렴되었지요. 그러고보니 프랑스 대혁명의 자유, 평등, 박애와 조금 비슷한 거 같아요. 평등은 정의로, 박애는 존중으로.

그랬는데 이번엔 또 자유라는 가치가 부각되는 것에 기꺼워하지 않는 참가자들이 있어서 순서도 조정을 했어요. 그래서 존중, 정의, 자유라는 가치가 최종적으로 골라졌는데요. 어떻게보면 그냥 말장난처럼 보이는 과정일수도 있겠지만, 서로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기회였다고 생각되는데요. 이 가치들로 확정이라기보다는, 시민행동 안팎의 더 많은 식구들이 운동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서로 나눌 좋은 출발점이길 기대해봅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비전미션 워크숍에서 존중, 정의, 자유가 뽑힌 까닭은? Open CAN Project

비전미션 워크숍 참가자들이 마지막에 핵심 가치로 선정한 세 가지 가치는 존중, 정의, 그리고 자유였어요. 이 세 가지 가치는 어떻게 뽑혔을까요? 앞서 비전미션 워크숍 전에 설문을 했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설문 결과를 살펴본 서재교 연구원이 하신 말씀이, 비전이랑 미션 관련된 설문에는 다들 비슷비슷하게 대답했는데 핵심 가치와 관련된 설문의 대답이 천차만별이라고, 사...

  • CAN
  • 조회 수 6628
  • 2009-12-09

[팟캐스트] 시민행동 연말계획! + 페어라이프 공정여행 후기 [1] 주간브리핑

0. 첫눈. 손톱의 봉숭아물 이야기. 1. 시민행동 연말 계획!! 필 청취!! 2. 페어라이프 공정여행 후기 3. 시민학교 올해 마지막 강연 소식 4. 마무리멘트 - 백성광 회원님 진행: 동네오빠 BGM: 클래지콰이 "Happy" (저작권프리 BGM) 함께하는 시민행동: www.action.or.kr

  • CAN
  • 조회 수 6298
  • 2009-12-09

예고) 2009년 시민학교의 마지막 강의는 이필상 교수와 함께 합니다. 참가신청

비밀글 입니다.

  • CAN
  • 조회 수 0
  • 2009-12-08

예고) 12/8 화 "모두를 위한 녹색" 김종철 (녹색평론 편집인) [1] 참가신청

2009년 개념있는 시민학교의 네번째 시간, 김종철 선생님과 함께 "모두를 위한 녹색"을 생각해보는 강연이 12월 8일 화요일 저녁 7시부터 열립니다. 이 강연으로 신영복, 윤정숙, 이필상, 김종철 네 분으로 이어진 개념있는 시민학교의 2009년 프로그램이 모두 마무리됩니다. 참가신청- 아래 웹자보를 클릭해 직접 등록하시거나 전화, 이메일로 문의해주세요. 070-8260-7112, think@act...

  • CAN
  • 조회 수 6624
  • 2009-12-08

시민행동 식구들은 어떤 시민행동을 원할까요? [2] [1] Open CAN Project

시민행동이 재창립을 준비하면서, 비전과 미션을 재점검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이름하여 비전미션 공유 워크숍. 재창립을 준비하면서, 시민행동이 어떤 마음으로 출발했는지, 앞으로 어떤 조직이 되기를 꿈꾸는지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는데요. 워크숍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여기로!! 워크숍만 딸랑 진행된 건 아니고요. 이전에 운영위원들과 사무처 상근자들을 대상으...

  • CAN
  • 조회 수 3124
  • 2009-12-08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