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용품 사절 ‘환경지킴이’

‘장바구니 아줌마’ 장연희씨



비닐봉지 쓰지 말라며 장바구니 만들어 나눠주고
노끈 잘라 이쑤시개로 써
자판기 이용땐 머그잔으로


<한겨레>의 ‘대안생활백서’가 연재되면서 관심 깊은 여러 독자들이 그를 추천했다. ‘어떻게 하면 덜 버릴 수 있을까’를 늘 연구하고 실천하는 그의 일상 자체가 ‘대안생활백서’라고 했다.

장연희(63·보험설계사)씨. 그는 이웃에게 ‘장바구니 아줌마’로 통한다. 서울 강남 고속버스터미널 지하상가의 원단가게에서 주워 온 자투리 천을 ‘1974년식 재봉틀’로 드르륵 박아 장바구니를 만들어 주위 사람들에게 나눠주기 때문이다. 처음엔 아이들의 신발주머니로 시작했지만 점점 비닐봉지를 덜 쓰자는 ‘장바구니 보급운동’으로 변화해 갔다. 1978년부터 하루 평균 2개씩 만들었으니 지금까지 2만여개의 ‘장연희표 장바구니’가 생겨난 셈이다.

그의 집에서는 ‘김칫국물’ 한 방울조차 함부로 버리지 않는다. 국산 밀 소비운동에 동참하기 위해 매일 점심 도시락으로 김치부침개를 만드는데, 여기에 김칫국물을 듬뿍 넣는다. 새로 김치를 담글 때도 묵은 김치의 남은 국물을 붓는다. 국물을 우려내고 난 멸치나 음식점에서 먹고 남은 음식은 모아서 동네 도둑고양이들에게 준다. 과일과 채소 껍질은 말려서 이웃 텃밭에 비료로 묻어준다.

과일상자 등에 딸려오는 플라스틱 노끈을 마름모꼴로 잘라 만든 이쑤시개도 그의 발명품 중 하나. 우리가 중국에서 수입하는 나무 이쑤시개를 많이 쓸수록 중국의 숲이 줄어들어 황사가 더 심해진다는 것이 ‘노끈 이쑤시개’를 쓰는 이유다.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비닐봉지들은 모아뒀다가 노점상들에게 다시 쓰라고 준다. 우편물에 붙은 주소 스티커나 상자에 붙어 있는 테이프 등은 조심스럽게 떼어 냉장고에 붙여놨다가 장바구니를 만들 때 생기는 실밥과 먼지를 제거할 때 쓴다. 해진 속옷이나 양말은 대걸레로 변신시킨다.

장씨의 휴대전화는 1996년 가을에 구입해 만 10살이 넘은 ‘고참’이다. 배터리 수명이 문제였는데, 얼마 전 동대문 풍물시장에서 구형 휴대전화 배터리를 파는 가게를 찾아 걱정을 덜었다. 최근엔 한 공대 교수로부터 배터리를 비닐로 잘 싼 다음 냉동실에 하루 넣어두면 처음 상태에 가깝게 기능이 회복된다는 것도 배웠다.

시간도 물건처럼 알뜰살뜰 쓰지만, 나눔에는 인색하지 않다. 3년 전부터 매주 수요일마다 시민단체 참여연대에서 자원봉사로 일하고 있다.


지난 23일 경기 고양시에 있는 장씨의 사무실에서 ‘폭포처럼 쏟아지는’ 대안생활 정보를 듣고 일어서려는데, 그가 커피를 마시고 가라고 했다. “꼭 보여줄 것이 있다”며 커피 자판기 앞으로 간 장씨는 단추를 누르고 종이컵이 떨어지자 ‘매가 병아리를 낚아채듯’ 종이컵을 빼내고 머그잔을 넣는다. 60대의 동작으로 보기엔 너무나 빠르다. “아무리 보여줘도 안 따라하는 사람들이 많단 말이야.” 그의 말은 ‘이것부터 실천해보라’는 점잖은 잔소리로 들렸다. 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대안생활백서-4] 자전거 대안생활백서(2006)

“자전거 타며 ‘느리게 사는 맛’ 느껴요”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이유? 살 빠졌죠 생명의 소중함 느끼죠 돈 안들죠 조금 더뎌도 행복합니다 » 자동차를 버리고 자전거를 타면서부터 조용하고 다양한 삶의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는 기가스소프트 직원들이 18일 오전 경기 고양시 백석동 사무실에서 자전거 바퀴살 너머로 웃음을 머금고 있다. 앞줄 오른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윤상혁...

  • CAN
  • 조회 수 4058
  • 2007-02-10

[대안생활백서-2] 지구 입양 대안생활백서(2006)

돌보지 않는 안양천 ‘소중한 가족’ 삼았죠 청계천의 재탄생은 4년 전 소설가 박경리씨 등 몇몇 사람의 머릿속에서 출발했다. 콘크리트 속에 방치된 청계천을 맑은물에 물고기가 뛰노는 모습으로 되살리자는 소박한 생각과 애정이 우리나라 최대의 도시개조 사업으로 퍼져나간 것이다. 이처럼 누구에게나 멋진 세상을 그려볼 자유가 있다. 그 멋진 세상을 내 손으로 만들어간다면 ...

  • CAN
  • 조회 수 4361
  • 2007-02-10

[대안생활백서-1] 착한 커피 대안생활백서(2006)

커피값 중 농민 수입을 두배로…맛과 향은 그대로 세계 교역량의 0.1%지만 해마다 20%씩 쑥쑥 ‘히말라야 선물’ 국내시판… “올해 100곳 목표” 세계적으로 하루 25억잔씩 소비되는 커피. 그 흔한 커피잔 안엔 커피 맛보다 쓴 가난과 고된 노동이 담겨 있다. 동시에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작은 실천의 실마리도 녹아 있다. 커피가 유일한 수입원인 동티모르 사람들을 돕기 위해...

  • CAN
  • 조회 수 4935
  • 2007-02-10

[기획의도] 일상서 내일의 ‘희망’ 찾는다 대안생활백서(2006)

생활 속 ‘작은 실천’이 가져오는 변화는 생각보다 크다. 우편함에 쏟아져 들어오는 각종 종이 고지서를 전자 고지서로 바꿔보자. 그만큼의 펄프를 아껴 환경을 보존하는 게 전부가 아니다. 녹색연합이 벌인 이 캠페인에 지난해 20여만명의 에스케이텔레콤 고객이 동참했고, 절감된 비용 1천여만원은 장애인을 위해 쓰였다. 눈을 국외로 돌려보면 이런 사례는 흔하다. 1990년대 영...

  • CAN
  • 조회 수 3594
  • 2007-02-10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