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실질적인 지배권력인 삼성.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여러 학술단체들과 함께 삼성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연속 토론회를 공동개최합니다. 

 

총 6차례에 걸쳐 개최되는 토론회 중 1차와 2차 토론회에 관해 우선 소개드립니다. (3차 토론회부터는 시민행동 및 좋은기업센터의 여러 임원과 활동가들도 발표자로 나오게 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ss.jpg

 

다시, 삼성을 묻는다 : 삼성과 한국사회의 선택

 

2008년 5월 출간된 <한국사회, 삼성을 묻는다>는 삼성에 대한 시민들의 이중적 시각이 삼성의 실체를 반영하는 것이라는데 주목하여 삼성의 "빛과 그늘"에서 그늘을 제거하는 것은 전체 사회뿐만 아니라 삼성그룹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는 파단 하에 삼성재벌의 성장과 그 비용과 폐해를 분석하여 발전적 대안을 모색 제시했다. 

 

<한국사회, 삼성을 묻는다> 시즌2는 삼성재벌의 사회적 지배력에 주목하여 선출되지 않은 권력, 삼성재벌의 사회적 책임성 부재가 삼성재벌의 사회적 지배력 강화와 결부되어 우리사회에 가져다 주는 사회적 비용과 그 폐해를 분석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총 6회의 토론회를 개최한다.

 

제1차 토론회 : 삼성재벌의 지배구조와 축적방식

12월 13일(금) 오후 2시 / 국회의원회관 제4간담회실(204호)

 

  • 이재용 시대, 삼성재벌의 지배구조: 송원근(경남과학기술대)
  • 삼성전자와 양극화 축적체제: 이병천(강원대)
  • 법을 조롱하는 자들:삼성의 세습과 불법 및 초법적 탈법행위: 조승현(방송통신대)
  • 토론 : 박승록(착한자본주의연구원), 박형준(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고영남(인제대)
  • 사회 : 조돈문(가톨릭대)

 

제2차 토론회 : 삼성의 노동통제와 노동권

12월 20일(금) 오후 2시 / 국회의원회관 제5간담회실(206호)

 

  • 삼성의 노동통제와 노동자 조직화: 조돈문(가톨릭대)
  •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현주소: 삼성전자 여성노동자들과 노동권의 실종: 김진희(경희사이버대)
  • 삼성의 산업재해: 발생 원인과 처리 방식을 중심으로: 한인임(노동환경건강연구소)
  • 토론 : 이승협(대구대), 박진(다산인권센터), 이종란(반올림)
  • 사회 : 이병천(강원대)

 

문의 조돈문(010-9414-3265, chodon3333@gmail.com) 조대환(010-3710-7225, sw2013@nate.com)

주관 삼성노동인권지킴이

공동주최 정의당 국회의원단(심상정, 정진후, 김제남, 박원석, 서기호),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전국교수노동조합, 학술단체협의회,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여사회연구소, 한국비정규노동센터, 함께하는 시민행동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함께하는 시민행동 2014 <혁신일자리 참가자 모집> 채용공고

함께하는 시민행동『서울 청년혁신 일자리 참여자 모집』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서울특별시에서 진행하는 2014년도 청년 혁신일자리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 혁신 활동참여자를 모집 합니다. 주민참여예산 분야나 홍익대 아르바이트생을위한 커뮤니티 또는 블로그, SNS등을 활용한 커뮤니티 지원 등에 관심있는 청년들을 모집하고 있사오니, 시민단체활동에 관심있거나 새로운 경력을쌓고 ...

  • 투덜이
  • 조회 수 4564
  • 2014-02-20

연속토론회 <다시 삼성을 묻는다> 3회 및 4회차 토론회에 초대합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한국 사회의 실질적인 지배권력인 삼성.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여러 학술단체들과 함께 삼성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연속 토론회를 공동개최합니다. 총 6차례에 걸쳐 개최되는 토론회 중 3차와 4차 토론회에는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김주일 대표님과 전승우 교수님, 류성민 교수님, 박준우 사무처장, 신태중 좋은기업센터 국장 등 여러 임원들과 활동가들이 대거 발표자로 ...

  • CAN
  • 조회 수 8486
  • 2014-01-06

2013년 송년 인사 및 기부금 영수증 안내 알리는 말씀

논리와 상식이 공작과 권력보다 강함을, 권력의 자의적 통치가 시민의 자치라는 순리를 거스를 수 없음을 입증하고자 합니다 2013년 우리 사회는 권력이 견제받지 않을 때, 잠재적 대안이 가시화되지 않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똑똑히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결과가 과정을 정당화하고, 상식과 논리가 힘에 의해 부정되고, 정치 공작이 헌법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짓밟는 일들...

  • CAN
  • 조회 수 9357
  • 2013-12-31

2014년 시민행동 신년 후원공연 - 바람이 불어오는 곳 시즌2 에 초대합니다 알리는 말씀

현실의 높은 벽을 넘어서려다보면 미끄러지고 가까스로 매달려 버티고 있을 때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벽을 넘어서려는 희망은 여전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설령 지금 못 넘더라도 다음의 누군가가 그 벽을 넘을 수 있도록 발자국 하나 하나를 새기면서 여전히 벽을 탑니다. 인디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든, 안녕하냐고 묻는 대학생이든, 작은 시민단체의 활동가이든 마찬가지입니다. 그...

  • CAN
  • 조회 수 13878
  • 2013-12-15

연속 토론회 <다시, 삼성을 묻는다 : 삼성과 한국사회의 선택> 알리는 말씀

한국 사회의 실질적인 지배권력인 삼성.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여러 학술단체들과 함께 삼성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연속 토론회를 공동개최합니다. 총 6차례에 걸쳐 개최되는 토론회 중 1차와 2차 토론회에 관해 우선 소개드립니다. (3차 토론회부터는 시민행동 및 좋은기업센터의 여러 임원과 활동가들도 발표자로 나오게 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시, 삼성을...

  • CAN
  • 조회 수 9908
  • 2013-12-09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