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발언’ 스타벅스 커피 안 마셔요

정치적 신념위해 특정제품 ‘불매’하는 사람들



대안적 삶’과 ‘소비’는 흔히 물과 기름 같은 관계로 인식된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올바른’ 소비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사려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에게 어떤 기업의 제품을 사는 행위는 세계 평화를 향한 도발이거나 부당 노동행위와 같은 의미다. 해당 기업이 전쟁 물자를 만들거나 노동자를 탄압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쟁물자 만드는 기업 제품 노동탄압하며 만든 옷들
안사고 안 입는 운동도 가리면서 소비하는게 미덕이죠


30대 회사원 박아무개씨는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지 않는다. 중동 평화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기는 탓이다.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회장이 팔레스타인 사람에 대해 인종차별적 발언을 하는 등 친이스라엘 행보를 보이는 점이 근거다. 그는 “유대인들도 고난의 역사를 가졌지만, 최근 팔레스타인이나 레바논 등지에서 하는 행태를 보면 평화나 인권과는 거리가 멀다”며 “아무 생각 없이 마시는 커피가 중동 사람들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줄 수 있기 때문에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제연대 단체 ‘경계를 넘어’에서 활동하는 이지은(27)씨도 “현대 도시생활의 상징인 스타벅스가 나에겐 죽음을 상징하는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활동가인 조아무개(34)씨는 아예 대기업 제품을 사지 않은 지 5∼10년이 됐다. 자신이 치른 물건값이 사람을 죽이는 도구를 만드는 데 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면 끔찍한데, 국내 대기업이 대부분 무기를 만드는 업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삼성케녹스’를 만드는 삼성테크윈은 조씨에겐 장갑차와 자주포 등 무기를 만드는 기업이다. 국방부 누리집(www.imnd.or.kr/customer/LinkSite_02.html)에 공개된 국내 방위산업체 명단에는 대우정밀, 두산중공업, 삼성전자, 한진중공업, 한화 등 웬만한 재벌기업들이 다 들어 있다. 모두 조씨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이다.

노무사인 이수정(35)씨는 의류업체 이랜드의 제품을 이용하지 않는다. 이씨는 이랜드가 노조 탄압과 비정규직 양산에 앞장서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노동자를 할인해 (이랜드 옷을) 사는 일은 죽어도 못하겠다”고 밝혔다.



2002년에는 한국과 북한의 실상을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은 영화 <007 어나더데이>가, 이듬해에는 이익금만 챙기고 대리점들을 해체한 한국네슬레의 초이스 커피가 불매운동의 표적이 됐다. 지난해에는 왜곡된 역사교과서를 만든 일본의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을 후원한 ‘혐의’로 미쓰비시, 가와사키, 후지쓰 등 일본 기업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벌어졌다.


모두 제품의 품질 대신 생산 기업의 정치사회적 행태에 항의하는 소비자 운동이었다. 이들은 아무리 신자유주의가 판을 치는 자본주의 사회라고 할지라도 ‘가려가면서 소비하는 게 미덕’이라고 믿는다. 불매라는, 작지만 적극적인 실천을 통해 세상을 조금씩 바꿀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 전종휘 이재명 기자 symbio@hani.co.kr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대안생활백서-17] 장바구니 [1] 대안생활백서(2006)

1회용품 사절 ‘환경지킴이’ ‘장바구니 아줌마’ 장연희씨 비닐봉지 쓰지 말라며 장바구니 만들어 나눠주고 노끈 잘라 이쑤시개로 써 자판기 이용땐 머그잔으로 <한겨레>의 ‘대안생활백서’가 연재되면서 관심 깊은 여러 독자들이 그를 추천했다. ‘어떻게 하면 덜 버릴 수 있을까’를 늘 연구하고 실천하는 그의 일상 자체가 ‘대안생활백서’라고 했다. 장연희(63·보험설계사)씨. ...

  • CAN
  • 조회 수 5201
  • 2007-02-10

[대안생활백서-16] 윤리적 소비자 [1] 대안생활백서(2006)

‘인종차별 발언’ 스타벅스 커피 안 마셔요 정치적 신념위해 특정제품 ‘불매’하는 사람들 대안적 삶’과 ‘소비’는 흔히 물과 기름 같은 관계로 인식된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올바른’ 소비를 통해 더 나은 세상을 사려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에게 어떤 기업의 제품을 사는 행위는 세계 평화를 향한 도발이거나 부당 노동행위와 같은 의미다. 해당 기업이 전쟁 물자를 만들...

  • CAN
  • 조회 수 6347
  • 2007-02-10

[대안생활백서-14] 앉아서 일보기 대안생활백서(2006)

남자들이여, 앉아서 ‘일’ 봅시다 ‘독특한 실천’ 시작한 정영철, 안진걸씨 » ‘앉아서 소변보기’를 실천하는 안진걸·정영철(왼쪽부터)씨가 지난 24일 오후 서울 혜화동 대학로에 있는 한 맥주집 화장실에서 좌변기에 앉아 소변보는 자세를 보이며 웃고 있다.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아내는 항상 나보고 좌변기에 앉아서 소변을 보라고 해. 내가 좌변기 좌석을 올리고...

  • CAN
  • 조회 수 5078
  • 2007-02-10

[대안생활백서-15] 녹색 크리스마스 대안생활백서(2006)

‘녹색 크리스마스’ 겉멋보다 감동 나눠요~ » 녹색 산타옷을 입은 여성환경연대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적게 사용하는 ‘그린 크리스마스’를 홍보하고 있다. 이들은 값비싼 선물보다 정성과 마음을 담아 직접 만든 선물을 주고 선물 포장을 최소화할 것 등을 제안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예수는 시골의 초라한 말구유에서 태어났다는...

  • CAN
  • 조회 수 4823
  • 2007-02-10

[대안생활백서-13] 녹색캠퍼스 대안생활백서(2006)

아스팔트 걷어낸 텃밭에 ‘특별한 배추’ 키웠어요 녹색캠퍼스’ 운동 벌여요 » 서울 성북구 국민대 교정의 국제관 앞 아스팔트를 일부 걷어낸 뒤 만든 밭에서 지난 21일 학생들이 배추를 수확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건강하게만 자라다오, ‘하보람의 배추’야.” 국민대 학생들이 인터넷 게시판에 쓰고 있는 ‘생명 일기’의 한 대목이다. 교양과목인 ‘녹색캠퍼스 함께하기’를...

  • CAN
  • 조회 수 4144
  • 2007-02-10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