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사이버대 민경배 교수님(시민행동 정보인권위원장)의 블로그를 찾았다가 옛 홈페이지에 대한 향수에 젖어듭니다.

알고는 있었지만 -- 예전 자료를 관리 소홀로 볼 수 없음을 안타까워하여 디지털 정보를 보존하자는 정보트러스트운동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 꼼꼼히 살펴본적은 없었는지라 오래간만에 인터넷 아카이브 사이트를 방문하여 wayback marchine을 작동시켜보았습니다.

인터넷 아카이브 사이트?
1999년 브루스터 케일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조직 ‘인터넷 아카이브’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개인사이트 제외한) 웹 아카이브 사이트로 전 세계 3500만 개의 사이트, 400억 개 이상의 페이지를 보존하고 있다. 요 몇 년간은 비디오 및 음악 그리고 텍스트까지 수집하기 시작했다. 두 달마다 전 세계 웹사이트를 스냅샷 방식으로 수집하며, 한국어를 포함해 21개 언어를 지원한다. (ZDNet Korea) 2006/03/14

여러분이 속한 단체나 회사의 옛날 홈페이지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wayback marchine을 작동시켜보시기 바래요.. 아른한 향수에 젖어들 수도 있고, 디지털 정보를 보존하는 일이 왜 중요한 일인지를 가슴으로 느끼실 수 있을겁니다.



2000년 시민행동 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아주 단순하게도 전체 서브메뉴만을 보여주었던 2000년 초반의 홈페이지 초기화면입니다. 지금은 없어져버린 총선시기의 ivote 사이트, 행동하는 시사배너(시민단체들의 배너들을 모았지요) 메뉴가 눈에 띄네요.




2001년 시민행동 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왼쪽에 있는 시민이야기 게시판이 발전해서 지금의 에피소드가 되었습니다. "아이를 키우며"라는 게시판은 는 "좋은엄마, 나쁜엄마"로 이름을 바꾸고 지금까지 살아남았죠.




2002년 시민행동 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혹시 기억나시는지.... 처참하게 실패해버린 [행동마을].. 일종의 카페나 클럽을 생각했었던건데 우리의 역량을 감안하지 않고 너무 빨리 시작했던건 아닐까 후회가 듭니다. 그래도 실패는 미래를 위한 훌륭한 밑거름이 됩니다. 이때부터 메인페이지의 글들이 HTML 수작업 코딩을 벗어나 제목과 그림, 본문이 자동으로 추출됩니다. 인간미가 좀 사라진 듯한 느낌이 드는건 ㅠㅠ




2003년 시민행동 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02년에 비해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상단 메뉴가 2단계로 정리가 되었던게 특징이라면 특징일까 싶네요. 예전의 [행동마을]의 실패를 딛고 정보제공을 중심으로 한 [캠페인] 사이트를 열었는데 역시나 크게 빛을 보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2004년 시민행동 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좌측메뉴를 나열하는 방식을 없애고, 좌측엔 시민행동 뉴스, 중앙엔 시민들의 이야기 중심으로 배치를 했습니다. 왠지 저런 구도가 더 좋아보이는 듯한 생각도 드네요. 실패를 교훈삼아 시민행동이 장기적인 웹전략을 수립하고 막 1단계로 접어들 때입니다.




2005년 시민행동 홈페이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작년에 보셨던 홈페이지죠..시민행동의 웹전략은 1단계는 정보, 2단계는 관계, 3단계는 참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저 단계는 1단계의 후반쯤 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전체 홈페이지를 오픈소스 솔루션인 그누보드를 이용해 만들기 시작한 첫해입니다.



어떠신가요?
시민행동 홈페이지.. 점점 나아지고 있는가요?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죠... 단계로 굳이 구분을 하자면 2006년은 2단계 웹전략인 "관계"에 이제 막 발은 담은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피소드의 기능강화를 위한 준비, 대안생활백서의 시작, 부서별 블로그 운영 등등이 "관계"에 초점을 맞춘 변화들입니다. 2006년.. 지금 홈페이지도 먼 훗날 역사가 되겠죠..... 시민행동 홈페이지.. 단순히 기록이 아닌 정말 역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주민소환제 입법 환영 - 주민참여 확립, 이제 시작이다! 성명/논평/보도자료

5월 2일 국회는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으로 주민소환제법을 통과시켰다. 531지방선거를 30여일 앞둔 가운데 주민소환제를 통과시킴으로서 보다 확대된 주민의 참여와 감시를 가능케 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더욱 환영할 만하다. 주민소환제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 직권남용, 위법·부당한 행위, 예산낭비 등에 대해 주민이 직접 견제수단을 갖출 수 있게 되는 제도이다. 지방...

  • 시민행동
  • 조회 수 2750
  • 2006-05-03

[회원통신] 5월 첫째주 : 오마이뉴스배 축구가 있어요. 주간브리핑

3-3-3 주간이라고 하더라구요. 어제는 노동절이이서 토/일/월 쉬었고, 오늘부터 목요일까지 일하고, 금/토/일을 쉰다구요. 맨날 이랬으면 좋겠다는 소리가 이곳저곳에서 들리는걸 보니 몸과 마음에 여유가 생긴다는건 정말 좋은 일인거 같습니다. 3일 일하고, 3일 쉬고, 3일은 지역과 사회를 위해 봉사한다면 생산성은 낮아질지 몰라도 일자리도 늘고, 사는 맛도 나고 그럴텐데 말이죠....

  • CAN
  • 조회 수 2150
  • 2006-05-02

버마라는 단어에 자유의 날개를 달아줍시다! [3] 지난 캠페인

버마라는 단어가 한글프로그램에서 자유의 날개를 달게 되었습니다.(2006.5.10) 지난주에 "버마라는 단어에 자유를!"이라는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오늘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한글2005와 나모웹에디터FX에서 "버마"라는 단어를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미얀마"로 변환되는 문제의 개선을 촉구하는 공문을 이메일과 우편을 이용하여 한글과컴퓨터사와 (주)세중나모에 발송하였습니다. 부디 긍정...

  • CAN
  • 조회 수 1825
  • 2006-05-02

카페 아게하에서 만남과 사귐

[대화모임 異音의 두번째 이야기 - 검색의 미래, 인터넷의 미래] 후기입니다. 많은 분들이 참석해주셨습니다. 비록 작은 카페였지만 빈자리가 없을 정도였으니까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오고 가는 이야기들 속에서 호기심이 발동하고, 그 자극은 새로운 운동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는 좋은 자리였습니다. 처음에 시작할때 異音을 시작하게 된 취지를 미리 설명드렸어야 했는...

  • CAN
  • 조회 수 2657
  • 2006-05-02

시민행동 홈페이지의 역사를 찾다! 지난 캠페인

경희사이버대 민경배 교수님(시민행동 정보인권위원장)의 블로그를 찾았다가 옛 홈페이지에 대한 향수에 젖어듭니다. 알고는 있었지만 -- 예전 자료를 관리 소홀로 볼 수 없음을 안타까워하여 디지털 정보를 보존하자는 정보트러스트운동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 꼼꼼히 살펴본적은 없었는지라 오래간만에 인터넷 아카이브 사이트를 방문하여 wayback marchine을 작동시켜보았습니다. 인...

  • CAN
  • 조회 수 2214
  • 2006-05-01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