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마을공동체와 자치,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캠페인 now!

안녕하세요! 저는 함께하는시민행동의 인턴으로 활동하게 된 진영호라고 합니다. 2018년 새해를 맞이해서 제가 준비한 프로젝트는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인데요. 흔히 마을공동체라고 하면 우리에겐 다소 생소한 주제일 거예요. 주민으로서 사업 제안을 하고 실행하기에는 아직 사회경험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마을이라는 분위기에서 복지와 육아, 환경, 축제 등은 저와 같이 도시에서 사...

  • CAN
  • 조회 수 2532
  • 2018-01-23

2010 페어라이프 강좌 "아름다운삶, 착한 삶, 공정한 삶을 만나다'를 오픈합니다. [1] fair study

내 삶을 지속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 내 삶을 아름답게 가꾸고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 내 삶을 다른 사람들과 이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들. 5월에 이런 이야기들을 담는 강좌가 시작됩니다. 페어라이프 네트워크(http://fairlife.kr)에서는 개인과 주변의 일상을 둘러보고 삶을 지속하게 만들어주는 유쾌한 이야기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모아 새로운...

  • CAN
  • 조회 수 9167
  • 2010-05-04

마을인문학 두번째 강좌, "마을이 품은 세계 : 마을에 대한 이론적 독해" [6] 참가신청

사람과마을, 세교연구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사업단, 함께하는 시민학교가 공동기획하는 마을인문학 강좌. 4월 한달간 진행된 "풀뿌리민주주의와 생활"이 알차게 잘 마무리되었고, 이제 5월에는 또 다른 강의가 시작됩니다. "마을이 품은 세계 : 마을에 대한 이론적 독해", 지금 바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강좌소개 성미산마을은 돌봄과 배려의 삶의 양식을 배우며 교육, 경제, ...

  • CAN
  • 조회 수 11087
  • 2010-04-29

지배자들의 논리가 아닌, 환대와 우정의 논리로 싸웁시다. [53] 개념있는시민학교

2009년 개념있는 시민학교의 마지막 강연은 지난 12월 8일 저녁, 녹색평론 편집인 김종철 선생님과 함께 열렸습니다. 이날 강연은 멀리서 한걸음에 달려오신 녹색평론 독자들에서부터 시민행동 회원, 성미산 마을 분들까지 다양한 분들이 참석해 자리를 가득 채워주셨습니다. 서왕진(환경정의연구소 부소장)님의 소개로 시작된 이날 강연은 커다란 화이트보드에 "근대국가"와 "녹색"이라는...

  • CAN
  • 조회 수 8411
  • 2009-12-16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