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나라살림 규모(통합재정 기준)가 1백80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예산의 편성에서부터 심의·집행·결산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된 검증장치가 없다. 그러다보니 낭비되거나, 엉터리로 쓰이는 사례 등이 해마다 되풀이돼 “세금 내기가 아깝다”는 탄식이 나오곤 한다. 경향신문은 예산감시 분야에서 활약해온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과 공동기획으로 장기 시리즈 ‘나라살림, 이대론 안된다’를 싣는다.

[예산 대해부]Ⅰ-3. 비행기없는 공항/예천 르포

[경향신문 2004-09-20 19:06]

2004년 9월.

중부고속도로 동서울 톨게이트를 빠져나와 중앙고속도로를 달린 지 2시간30분. 경북 예천군 유천면의 예천공항이 모습을 드러냈다. 흰색 벽면과 파란색 지붕의 최신식 2층 건물이 논밭 사이에 덩그러니 서있다. 철제문과 바리케이드로 일반인의 접근을 막고 있다.

이 신청사는 건설교통부가 3백86억원을 들여 2002년 12월 준공했다. 여객터미널 5,676㎡에다 대형 항공기 2대가 설 수 있는 1만2백㎡의 계류장은 나무랄 데 없이 깔끔하다.

여객 수송 능력을 연간 30만명에서 1백만명으로 늘렸지만, 아시아나항공이 지난 5월 마지막 노선인 예천~제주 노선을 폐지할 때까지 1년반 정도 문을 열었을 뿐이다.

그나마 운항 중단이 거듭되는 바람에 실제 운항일수를 따지면 6개월 남짓이다. 승객 감소로 적자가 불어난 탓이었다.

한국공항공사 예천지사 이종봉 시설팀장과 함께 들어선 2층 출발 대기장은 검색대 하나만 놓여진 을씨년스러운 풍경이었다. 의자 등 집기들은 모두 다른 공항들로 옮겨졌다. 이팀장은 “직원 16명 중 6명만 남아서 청산작업을 하고 있다”며 망연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청사 밖 계류장엔 승객들이 타고 내리던 커다란 탑승교가 비행기를 기다리며 허공에 떠있다. 건교부는 공군 등에 신청사를 넘기는 방안을 검토중이지만, 건물 자체가 공항 용도로 지어진 터라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불가피해 보인다. 군청 앞에서 만난 한 촌로는 “공항이 어떻게 되든 우리와 무슨 상관이냐”며 퉁명스런 대꾸로 지역 민심을 전했다.

어쩌다 이렇게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졌을까. 5년 전으로 시계를 되돌려보자.

2000년 총선을 앞둔 1999년 10월7일.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경북 유교문화권 개발현장 점검을 내세워 영주와 안동을 방문했다. 이날 나들이에는 김중권 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 5명, 김기재 행정자치부 장관, 권노갑 국민회의 고문 등 고위인사들이 대거 수행했다.

“경북 북부지역은 역대 정권으로부터 소외됐고, 인구도 줄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희망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김대통령은 지역인사들과의 오찬 인사말을 통해 경북관광공사 발족, 동해 7번국도 확장 등과 함께 예천공항의 확장을 약속했다. 기본조사 설계용역 단계에 머물러 있던 예천공항은 두달 뒤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2000년 11월. 국회 건설교통위.

“예천공항은 올해까지 공정률이 35.5%에 불과합니다. 건교부에서 신경을 쓰지 않아서 그렇습니까, 기획예산처에서 건교부를 무시해서 그렇습니까?”

경북 김천 지역구의 임인배 의원(한나라당)은 김윤기 당시 건설교통부 장관을 상대로 목소리를 높였다. 임의원이 “도대체 공사현장에 몇번이나 가봤느냐”고 압박하자 건교부 관료들은 “자주 가보겠습니다.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라며 쩔쩔맸다. 당시는 이미 이용객이 급감하고 있을 때였다. 97년 37만8천명, 98년 21만7천명에서 급전직하, 2001년 8만6천명으로 떨어지더니 2002년엔 3만1천8백명으로 줄었다.

2001년 중앙고속도로 개통으로 5~6시간 걸리던 서울행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든 마당에 2배 이상 되는 항공료를 내면서 비행기를 탈 사람은 없었다. 그러나 일단 시작된 삽질은 멈추기 힘든 걸까. 2001년 1백60억원, 2002년 1백12억원에 이어 지난해에도 나머지 2억6천만원이 고스란히 집행됐다.

국민 세금보다 ‘표’를 앞세우는 정치논리, “IMF사태 등의 일시적 영향일 뿐”이라던 관료들의 ‘경주마 행정’이 어우러져 빚은 참극이었다.

〈특별취재팀|권석천·조현철·정유진기자〉

◇공동기획‥함께하는 시민행동 www.action.or.kr
◇제보를 받습니다. (02)3701-1239budget@kyunghyang.com

* 본 기사는 시민행동 - 경향신문 공동기획 시리즈 <나라살림, 이대론 안된다> 중 3번째 기사입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국가보안법은 청산과제 성명/논평/보도자료

대학시절에 난 집시법 위반혐의로 체포된 적이 있다. 경찰이 집에서 가져 온 내 책들 중에는 한 일본 학자의 경제학원론이라는 책이 있었다. 맑스주의 관점에서 서술된 책이었다. 사회학개론 강의에서 부분적으로 공부했던 맑스의 생각을 알고 싶었으나 학내 써클에서는 온전한 책자는 없이 부분 발췌된 모리스 돕 등의 복사물이 손에서 손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이 고작이었다. ...

  • 시민행동
  • 조회 수 1140
  • 2004-09-30

예산대해부 - 허공에 뜬 지역개발 성명/논평/보도자료

올해 나라살림 규모(통합재정 기준)가 1백80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예산의 편성에서부터 심의·집행·결산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된 검증장치가 없다. 그러다보니 낭비되거나, 엉터리로 쓰이는 사례 등이 해마다 되풀이돼 “세금 내기가 아깝다”는 탄식이 나오곤 한다. 경향신문은 예산감시 분야에서 활약해온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과 공동기획으로 장기 시리즈 ‘나라살림, 이대...

  • 시민행동
  • 조회 수 1167
  • 2004-09-24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되면, 어떻게 달라지나? 성명/논평/보도자료

정보인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시민사회단체들이 제대로 된 개인정보보호법 제정을 고민하기 위해 운영해온 회의체인 는 지난 24일 노회찬 의원실 주최의 공청회를 통해, 개인정보보호를위한기본법 시민사회단체안을 공개했습니다. 이 안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러 가지 보호 조치들이 실현되면, 우리 사회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은 근본적인 변화를 겪을 것입니다. 여기저기서 마구 새...

  • 시민행동
  • 조회 수 1018
  • 2004-09-23

예산대해부 - 비행기 없는 공항 성명/논평/보도자료

올해 나라살림 규모(통합재정 기준)가 1백80조원을 넘었다. 하지만 예산의 편성에서부터 심의·집행·결산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된 검증장치가 없다. 그러다보니 낭비되거나, 엉터리로 쓰이는 사례 등이 해마다 되풀이돼 “세금 내기가 아깝다”는 탄식이 나오곤 한다. 경향신문은 예산감시 분야에서 활약해온 시민단체 ‘함께하는 시민행동’과 공동기획으로 장기 시리즈 ‘나라살림, 이대...

  • 시민행동
  • 조회 수 1701
  • 2004-09-21

사회단체보조금 관련 국회 긴급토론회 성명/논평/보도자료

권력을 멀리해야할 단체가 정부 돈 받고 '낙선운동'을 했다고 합니다. 총선연대는 "일부 언론이 보도한 기사가 총선연대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이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해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시민사회단체는 정부의 돈을 받으면 안되나요? 그러면 총선 연대 단체들보다 더 많은 지원을 받는 새마을운동중앙회, 한국자유총연맹, 바르게살기운동중앙...

  • 시민행동
  • 조회 수 1233
  • 2004-09-18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