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민사회  긴급성명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다시 쿠데타를 감행했다.  군부는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앞으로 1년간 국가를 통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앞서 군부는 아웅산수치와 민간정부 지도자, 시민사회 인사들을 감금했다. 국영 방송을 중단하고 전화와 인터넷 등 통신을 차단했다. 수도 네피도와 양곤에는 탱크가 길거리에 등장했다. 이번 쿠데타로 인해 그간 군부와 민간정부가 공존해왔던 불안한 정치체제의 취약성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번 쿠데타는 지난해 11월 총선에서 유권자 명단에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헌법 폐지 등 조치를 취하겠다고 군부가 경고한 뒤에 취해진 조치이다.  이는 구실에 불과하다. 군부가 민주주의 이행을 약속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 절차에 따른 문제 해결보다 다시 총칼을 앞세운 것은 미얀마 국민의 민주주의 열망을 짓밟는 것과 다름없다.  

지난 총선에서 미얀마 국민은 민간정부를 지지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진전을 선택했다. 민의는 무력에 의한 군부의 통치가 아니다.  한국시민사회는 미얀마 국민의 민주주의 열망을 지지하며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미얀마 군부는 즉각 쿠데타를 종료하라.

미얀마 군부는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관과 민간정부 지도자 및 시민사회 인사들을 즉각 석방하라.

미얀마 군부는 2020년 11월의 총선 결과를 존중하고 민간정부에게 권력을 즉각 이양하라.

대한민국 정부, 유엔, 각국 정부는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을 통해 미얀마 군부를 압박하고 민주주의 정상화에 노력하라.

 

2021. 2. 2.

 

한국시민사회단체 71개 단체 

고난받는이들과함께하는모임, 공익법센터 어필,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관악교육공동체 모두, 관악주민연대, 광화문서림, 국가폭력에 저항하는 아시아 공동행동,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 국제기후종교시민네트워크, 국제민주연대, 군인권센터, 굿네이버스, 기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 난민인권센터, 다른세상을향한연대, 다이얼로그차이나 한국대표부, 더나은세상, 두루두루배움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국제연대위원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발전대안 피다, 법인권사회연구소, 사단법인 난곡사랑의집, 사단법인 아디, 사단법인 청년김대중 창립준비위원회, 성공회대 아시아 NGO정보센터, 생명안전 시민넷, 세계시민선언, 순복음한사랑교회, 순천서남교회, 순천하늘씨앗교회, 순천NCC, 신대승네트워크, 실천불교전국승가회, 아사히비정규직지회, 아시아평화인권연대, 아천동교회, 에큐메니안, 예수함께 공동체, 올빼미애호가협회, 요셉의집, 용산참사 진상규명위원회, 이주노동자운동후원회, 이주민과함께, 이주민방송MWTV, 인권운동공간 활, 인권운동네크워크 바람, 인권운동사랑방, 자유존엄아시아, 작은형제회 JPIC, 전국목회자정의평화협의회, 정의당 국제연대 당원모임, 정의당 용인시위원회, 제주평화인권연구소왓, 진보3.0, 진보당, 천주교 남자수도회 정의평화환경위원회, 천주교 예수회 인권연대연구센터, 천주교인권위원회, 참여연대, 키자미테이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한국기독교장로회 주민교회, 한국기독청년협의회, 한국주민운동교육원, 한국YMCA전국연맹, 함께하는 시민행동, 해외주민운동연대, (사)이주민과함께, (사)저스피스

* 편집자 주 : 한국 시민사회단체들은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위해 오랜 기간 연대해왔으며, 지속적으로 미얀마 군부의 인권침해와 민주주의 위협에 대해 비판해 왔습니다.

71개 단체의 공동성명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었으며, 주한 미얀마 대사관에 내일(2/3) 직접 전달할 예정입니다. 

 

[URGENT Statement]

End Coup, Return Power to NLD-led Government

 

February 2, 2021

 

February 1, the Myanmar military seized power in a coup and declared a state of emergency.  The military announced it would take control of the country for a year after detaining Aung San Suu Kyi, senior government leaders, and civil society leaders. TV channels, including the state broadcaster, went off air.  Telephone and internet access was suspended in major cities.  Tanks and armoured vehicles appeared on city streets. This coup has proven how fragile it has been with the military and civilian government co-existing in an unstable political system.

The coup took place amid the tension that the military warned to abolish the Constitution unless the voter lists irregularity was resolved that allegedly occurred in last November’s general election. This is nothing but a pretext. Although the military pledged to implement a roadmap to democracy, it goes against the Myanmar people’s desire for democracy that the military failed to settle issues with legal measures.

The people of Myanmar have chosen to move forward in democracy by supporting the civilian government in last November’s general election. The people’s will is not in line with the military control over the country. The Korean Civil Society strongly supports the Myanmar people’s desire for democracy and therefore demands as follows.  

 

The Myanmar military should end the coup immediately.

The Myanmar military should immediately release Aung San Suu Kyi, civilian leaders, and civil society leaders.

The Myanmar military should respect the result of last November’s general election and transfer power to the NLD-led governmen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ited Nations,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take immediate and effective measures to put the pressure on the Myanmar military that would return the country’s democracy to normal.

 

Signed by 71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chendong Church, Activists group for Human Rights ‘BARAM’, Advocates for Public Interest Law, Asahi Labor Union, Asian Companions Against Brutality, Asian Dignity Initiative, Better World, Catholic Human Rights Committee, Center for Military Human Rights Korea, Citizens Action Network, Community with Jesus, CONET, Duruduru School, Ecumenian, Ecumenical Youth Council in Korea, Fellowship with the sufferers, Freedom Dignity and Asia, GongGam Human Rights Law Foundation, Good Neighbors, Gwanak Education Community MODU, Gwanghwamoon Bookforest, Hansarang Church, Home of Joseph, Human Rights Movement Space 'Hwal', Incorporated Organization Silchun Bulgyo, Institute for Law and Human Rights in Society(ILHRS), Inter-religious Climate and Ecology Network, Jeju Peace Human Rights Institute WHAT, Jesuit Research Center for Advocacy and Solidarity, Jinbo Party, Joomin Church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PROK), JPIC Committee of Catholic Men Religious, Juspeace, Justice Party Committee of Yongin City, Justice Party's Working Group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Kijamii Table, KOFID, Korea Branch of Dialogue China, Korea Democracy Foundation, Korean Christian action organization, Korean House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Korean Lawyers for Public Interest and Human Rights(KLPH), Korean Solidarity for Overseas Community Organization, Life & Safety Network, Migrant World TV, MINBYUN- Lawyers for a Democratic Society International Solidarity Committee, Nangok House of Love, National Clergy Conference for Justice and Peace, National Council of YMCAs of Korea, NCCK Human Rights Center, New Bodhisattva Network, OFM KOREA JPIC, Owl Lovers Association,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PSPD), People Solidarity of Gwanak, PIDA, Preparatory committee for youth of Kim Dae-jung Foundation, Progressive 3.0, Refugee Rights Center NANCEN, SARANGBANG group for human rights, Solidarity for Another World, Solidarity for Peace & Human Rights of Asia, Solidarity with Migrants, Suncheon Heaven Seed Church, Suncheon NCC, Suncheon Seonam Church, SungKonghoe University Asia NGO Information Center, Supporters Group for Migrant workers movement, The Declaration of Global Citizen, Truth-finding Commission on Yongsan Disaster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긴급 성명] 미얀마 군부는 쿠데타를 종료하고 민간 정부에 정권을 이양하라! 성명/논평/보도자료

한국시민사회 긴급성명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다시 쿠데타를 감행했다. 군부는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앞으로 1년간 국가를 통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앞서 군부는 아웅산수치와 민간정부 지도자, 시민사회 인사들을 감금했다. 국영 방송을 중단하고 전화와 인터넷 등 통신을 차단했다. 수도 네피도와 양곤에는 탱크가 길거리에 등장했다. 이번 쿠데타로 인해 그간 군부와 ...

  • 정희주
  • 조회 수 599
  • 2021-02-02

기부금영수증 발급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알리는 말씀

2020년 모든 이들이 어려운 상황에도 시민행동에 힘을 보내주신 회원, 후원자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여러분께서 함께 해주신 회비와 후원금을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우리 사회에 자리하고 있는 다양한 시민참여 제도에 대한 개선점을 지적하고,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냈습니다. 부족하나마 진행되었던 모든 사업들은 ...

  • CAN
  • 조회 수 3733
  • 2020-12-27

“함께 Call-us” 해주신 분들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창립기념/모금행사

“함께 Call-us” 해주신 분들게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10월 말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회원분들과 시민분들에게 우리의 부름에 대한 응답을 부탁드렸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얼굴을 대하고 의견을 나누는 일이 어려워졌지만 그래도 우리의 활동을 다양한 방식으로라도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 어려운 와중에도 130여분의 회원과 후원자분들이 우리의 후원페이지에서 함께 ...

  • CAN
  • 조회 수 4461
  • 2020-12-08

감성충만예산학교 메뉴얼북 발간!! [1] 캠페인 now!

함께하는시민행동은 청년참여예산네트워크와 함께 서울시NPO참여예산의 지원으로 오감만족예산학교를 진행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교육으로 기획한 교육 과정이 전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지만, 시민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예산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끝까지 함께 해준 분들 덕분에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함께하는시민행동은 창립 이후 시민들이 ...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4719
  • 2020-12-08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각 부서 사전 검토 분석 결과 성명/논평/보도자료

함께하는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지난 8월 시민참여예산 청년 모니터링단(이하 ‘청년 모니터링단’)과 함께 서울시 총 8개 분과의 최근 3년간(2017~2019) 시민참여예산 심사자료를 대상으로 두 달간 모니터링단 활동을 진행하였다. 접수된 시민제안사업에 전체 부적격 판단 내린 부서들 확인 경제일자리와 문화관광 분과에서는 부서별로 시민제안사업 수 대비 ...

  • 정희주
  • 조회 수 5483
  • 2020-11-26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