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청장_170721.gif

 

시민행동의 대표/임원들께서 시민운동을 다시 활성화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다양한 시민사회 인사들께서 참여하고 의견을 나눌 포럼을 하나 준비했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포럼>. 그 창립 기념으로 시민운동을 되돌아보는 3회의 연속 기획 포럼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7월 20일(목) 오후 3시, 첫번째 포럼에 이어 오는 8월 10일(목) 오후 3시, '시민운동과 지역사회, 그리고 참여'를 주제로 두 번째 포럼이 열립니다. 

 

 2회차: 시민운동 지역사회, 그리고 참여

최근 특히 지방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시민운동과 행정과의 거리가 급격히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협치, 주민참여, 위원회, 민간위탁..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시민운동의 행정 참여 경험을 조명해보고 시민운동과 행정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 방안을 모색해보려 합니다.  

 

■ 일시: 2017년 8월 10일(목) 오후 3시

■ 장소: 문화공간 온 (종로2가, 서울 YMCA 옆 / 지도 보기)

■ 좌장: 김태일 (함께하는 시민행동 공동대표,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 초청발표 1: 공공성의 재구성과 행정-시민사회의 관계 설정 (김형용,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 초청발표 2: 서울시 협치 실험과 시민운동의 역할 (전효관, 서울시 혁신기획관)

 

 ■ 참여자 자유토론 

 

■ 참가신청: 원활한 준비를 위해 참여하실 분들께서는 미리 참가 신청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참가신청하기

 

■ 포럼 취지

함께하는 시민포럼은 시민운동을 고민하는 분들이 함께하는 대화의 공간입니다. 시민운동 고유의 역동성을 회복하고 다양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튼튼한 그릇이 되고, 새로운 시대의 시민운동의 역할을 발견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라는 분들이 모입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전현직 임원, 활동가들의 뜻을 모아 시작하지만, 시민운동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공론장의 하나로 만들어나가려 합니다.

 

■ 창립 기념 연속 포럼

촛불과 탄핵, 그리고 새 정부의 출범. 전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우리 시민사회의 업적입니다. 하지만 시민사회가 정말 튼튼하게 자리잡고 있는지, 저성장과 고령화 / 양극화 등 무수히 많은 앞으로의 과제 또한 잘 극복해갈 것인지는 여전히 의문이기도 합니다. 함께하는 시민포럼은 그동안 시민운동의 내용과 방식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고 앞으로의 시민사회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해나갈 것인지를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이에 세 차례에 걸쳐 국가/민주주의, 지역/참여, 그리고 시장/시민경제를 주제로 창립기념 연속포럼을 준비했습니다.

 

■ 이후

3회차 "시민운동과 시장, 그리고 시민경제"는 8월 말에 열릴 예정입니다. 이후 포럼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개헌 이슈에 관한 의견입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7월 13일 아리랑TV에서 박준우 사무처장에게 개헌에 관해 인터뷰 요청이 왔습니다. 뉴스에는 짧은 멘트만 소개되었습니다만,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작성한 답변지를 함께 공유합니다. 시민행동의 공식 입장은 아니고 개인 의견임을 밝혀둡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해당 뉴스를 보실 수 있습니다) 1. 국민들의 생활에 있어 개헌은 왜 필요한가? ● 국민들의 생활을 직접 개선하기 ...

  • CAN
  • 조회 수 1714
  • 2017-07-31

포럼 1회차 '시민운동과 국가, 그리고 민주주의' 후기 함께하는 시민포럼

지난 7월 20일 문화공간 온에서 김태동 성균관대 명예교수, 이해익 전 경실련 경제정의연구소 기업평가위원장(경영컨설턴트), 이용선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공동대표(더불어민주당 양천을 지역위원장) 등 시민사회의 여러 원로를 포함하여 많은 분들이 참석한 가운데 함께하는 시민포럼의 창립 기념 연속 포럼 '공공성의 재구성과 시민운동의 역할' 첫 번째 이야기가 "시민운동과 국가, ...

  • CAN
  • 조회 수 2393
  • 2017-07-28

함께하는 시민포럼 2회차: 시민운동과 지역사회, 그리고 참여에 초대합니다 함께하는 시민포럼

시민행동의 대표/임원들께서 시민운동을 다시 활성화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다양한 시민사회 인사들께서 참여하고 의견을 나눌 포럼을 하나 준비했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포럼>. 그 창립 기념으로 시민운동을 되돌아보는 3회의 연속 기획 포럼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7월 20일(목) 오후 3시, 첫번째 포럼에 이어 오는 8월 10일(목) 오후 3시, '시민운동과...

  • CAN
  • 조회 수 1609
  • 2017-07-21

함께하는 시민포럼 창립 포럼 '시민운동과 국가, 그리고 민주주의'에 초대합니다. 함께하는 시민포럼

시민행동의 대표/임원들께서 시민운동을 다시 활성화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다양한 시민사회 인사들께서 참여하고 의견을 나눌 포럼을 하나 준비했습니다. <함께하는 시민포럼>. 그 창립 기념으로 시민운동을 되돌아보는 3회의 연속 기획 포럼을 준비했습니다. 오는 7월 20일(목) 오후 3시, 첫번째 포럼이 시작됩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

  • CAN
  • 조회 수 1891
  • 2017-07-07

공공교통네트워크 오선근 위원장님과 지하철 안전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소셜런치

시민들의 일상과 땔래야 땔 수 없는 지하철,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이라 각종 안전 사고에 민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멀리는 2003년 대구지하철 참사부터 가까이는 구의역 사고와 잠실새내역 화재까지 그밖에 언론에서 이슈화되지 않는 위험들은 생각보다 우리 가까이에 있습니다. 시민행동에서는 올 초 잠실새내역 사고 이후 서울매트로를 비롯 궤도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공...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3323
  • 2017-06-28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