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book.png

(이미지 출처: 블로그 아이엠피터)

 

정상의 비정상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중단되어야 합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위헌, 졸속, 갈등조장, 비정상의 상징과도 같은 후진적 발상

 
 
오늘 정부는 2017년부터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시민행동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위헌, 졸속, 갈등조장, 비정상의 상징과도 같은 후진적 계획이라는 점에서 단호히 반대합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정상의 비정상화’입니다. 
 
정부는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정상화 과제인 것처럼 말하지만, 오히려 국정 교과서가 비정상입니다. 건국 이래 검인정 교과서를 통해 이루어져온 역사 교육이 비정상적인 국정 교과서 체제로 바뀐 것은 유신헌법 치하인 1974년이었습니다. 군부 독재가 종식된 이후 이를 다시 정상화한 것이 현재의 검인정 교과서 체제입니다.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는 현 정부가 선언한 ‘비정상의 정상화’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일입니다.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는 후진국으로의 회귀입니다.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고 있는 나라는 북한, 베트남, 스리랑카, 몽골, 중국, 러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 극소수 국가에 불과합니다. 이들 나라 대부분이 선진국 대열에 끼기 어려운 국가들이며, 또한 구 공산국가 아니면 1인 장기독재가 유지되고 있는 국가입니다. 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정부 여당의 지상 과제인 선진화에 정면으로 반하여 대한민국을 구 공산국가들 혹은 후진국들 수준으로 격하시키는 일입니다.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는 위헌적 발상입니다.
 
우리 헌법은 양심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 교육의 자주성을 헌법 정신으로 천명하고 있습니다. 이에 근거하여 헌법재판소 역시 일찍이 1992년에 검인정 교과서가 역사 교육에서 더 바람직하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는 헌법과 헌재 결정의 정신을 정면으로 거스르는 위헌적 발상입니다.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는 소모적인 갈등을 조장할 뿐입니다.
 
헌법에 반하는 주장이 아닌 이상 다양한 역사 해석이 자유롭게 출판될 수 있는 현행 검인정 교과서 체제와는 달리 국정 교과서가 도입되면 국정 교과서의 문장 하나 하나를 두고 이념적․학문적 갈등이 끊임없이 야기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사회 통합은커녕 갈등과 분열을 더욱 심화시키는 행위일 뿐입니다. 더욱이 이처럼 수많은 갈등을 낳을 국정 교과서를 2017년부터 도입한다면 그 교과서는 졸속 교과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학교 현장을 졸속 행정의 시험대로 전락시키고 소모적인 갈등의 장으로 만들 뿐입니다. 
 
 
시민행동은 입만 열면 비정상의 정상화를 외치고 헌법과 선진화를 외쳐온 정부와 여당이 위헌과 비정상으로 점철된 후진적 국정 교과서를 도입하겠다는 발상을 하는 것을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교육당국과 정부 여당은 즉각 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중단해야 할 것입니다. 시민행동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에 맞서 학교와 학문을 지키려는 학생, 교사, 학자들의 양심을 지지하고 함께 연대할 것입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댓글 '1'

박지우

2015.11.12 00:47:19

역사교과서를 국정화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하나로 획일화 시킨다는건 국민을 바보로 알거나 독재를 하거나 둘 중 하나라고 하던데..정말 절대 동의 할 수 없고 실행되어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민주주의 퇴행에 대한 시민사회의 저항을 선언한다 [1] 성명/논평/보도자료

오늘(10/19, 월, 11시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국정교과서 사태에 즈음하여 각계 원로 시민사회 그리고 이에 뜻을 같이하는 개인들이 “국정교과서 사태에 즈음한 시민사회 시국선언문”을 발표하였습니다. [선언문]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민주주의 퇴행에 대한시민사회의 저항을 선언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지난 12일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 CAN
  • 조회 수 5063
  • 2015-10-19

구글은 국내법에 따른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 의무를 이행해야 [1] 성명/논평/보도자료

미국의 감청 시스템인 PRISM이 주요 검색/포털/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정보를 수집한 시점에 관한 인포그래픽 (자료출처 : 위키피디아 영문판) [논평] 구글은 국내법에 따른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 의무를 이행해야 2015년 10월 16일 서울중앙지방법원 민사합의22부(부장판사 박형준)는 국내 인권시민단체 활동가들이 구글본사와 구글 코리아를 상대로 제기한 정보공개 소송에 대하여 ...

  • CAN
  • 조회 수 5071
  • 2015-10-19

여덟 번째 소셜런치, 이필상 교수님과의 만남 소셜런치

지난 9월 7일 유한재단에서 이필상 교수님 만나 뵙고 여덟 번째 소셜런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필상 교수님께서는 함께하는 시민행동 고문으로 현재 유한재단 이사장직을 맡으시며 서울대에서 강의를 하고 계십니다. 이번 소셜런치에서는 대표님과 함께 우리나라 경제위기에 대해 말씀을 나누어 보았습니다. "IMF가 급성 위기라면 지금은 위기가 오는 줄 알면서도 병들어가는 만성 ...

  • CAN
  • 조회 수 3871
  • 2015-10-14

정상의 비정상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중단되어야 합니다. [1] 성명/논평/보도자료

(이미지 출처: 블로그 아이엠피터) 정상의 비정상화, 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중단되어야 합니다.역사 교과서 국정화는 위헌, 졸속, 갈등조장, 비정상의 상징과도 같은 후진적 발상 오늘 정부는 2017년부터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시민행동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위헌, 졸속, 갈등조장, 비정상의 상징과도 같은 후진적 계획이라는 점에서 단호히...

  • CAN
  • 조회 수 3353
  • 2015-10-12

Clipidea 회원 김세은 님과의 만남 만남과 사귐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를 모으는 곳, Clipidea. Clipidea(클리피디아)는 SR (Social Responsibility)에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모여 CSR을 중심으로 다양한 소셜섹터에 대한 이론, 사례분석, 최신 뉴스 등 각자의 관심분야를 공부하며 역량을 강화하고 관점을 나누는 그룹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듣고자 Clipidea 회원인 함께하는 시민행동 前 인턴 김세은님을 직접 만나 ...

  • CAN
  • 조회 수 4120
  • 2015-09-2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