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_20150707_133148553.jpg

 
[기 자 회 견 문]
 

국민연금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안에 대해

가입자 및 수급권자의 권익을 위해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

 

“삼성이냐, 투기자본이냐”라는 어설픈 민족주의 극복해야

총수일가의 전횡과 세습에 제동 거는 사회적 투자자로 거듭나야

 
 
지난 5월 26일 삼성그룹의 두 계열사인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합병 계획을 발표했다. 그리고 오는 7월 17일에는 합병을 위한 삼성물산의 임시 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다. 두 회사의 합병은 직접적 이해당사자들의 문제일 뿐 아니라, 수많은 국민들과 글로벌 시장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삼성물산의 11.6% 지분을 갖고 있는 최대 주주로서 합병의 향방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에 우리 시민사회와 학계 단체들은 국민연금이 주주총회에서 합병반대 의결권을 행사할 것과 주주총회 이전에 합병반대 의사를 공표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그 이유는 자명하다. 우선, 이번 합병은 삼성그룹 총수 일가의 사익추구, 즉 3대 세습을 위한 수단일 뿐이며 각 회사의 고유한 영업 판단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번 합병은 삼성의 핵심 계열회사인 삼성전자에 대한 3세들의 지배권 승계·강화라는 사익적 목적을 위해 여러 계열회사들의 그룹 내 지분율을 치밀하게 계산한 산술적 결과일 뿐이다. 결코 두 회사의 핵심 사업영역에 대한 본질적 고민이나 합병 후 새로운 사업 기회에 대한 적절한 도전의 결과라고 볼 수는 없다.
 
 
다음으로, 반대의결권을 행사하라는 우리들의 요구는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지침에도 부합한다.「국민연금기금 의결권 행사지침」은 국민연금이 “국민연금 가입자·가입자이었던 자 및 수급권자에게 이익이 되도록 신의에 따라 성실하게 의결권을 행사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민연금은 이번 합병이 합병 목적의 타당성, 합병 비율의 적정성 등 가입자와 수급권자의 이익이라는 관점에서 의결권 행사의 방침을 결정해야 한다.이에 대해서는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아이에스에스(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 ISS) 등 관련기관들도 합병반대를 권고한 바 있다.
 
 
이번 합병을 두고 일부에서는 국제 투기자본인 엘리엇이 토종 자본인 삼성을 공격한다는 식으로 민족주의 감정을 부추기면서 국민연금이 두 회사 합병에 동조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투기자본이 삼성의 합병 결정을 반대한다는 이유로 우리가 합병 결정을 수용하고 총수일가의 부당한 세습을 위한 전횡과 비리를 눈감아 줄 수는 없다. 이번 합병 시도가 국제 투기자본의 공격을 받고 있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이번 합병이 삼성 계열사들의 그룹내 지분율에 의거한 산술적 계산의 결과에 불과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으로서, 이는 삼성그룹 총수일가가 스스로 자초한 일이기도 하다.
 
 
문제의 본질을 흐려서는 안된다. 국민연금이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은 결코 국제투기자본의 편을 들기 위해서가 아니며, 그동안 국민연금이 등한시 해온 주주로서의 권리를 올바로 행사하는 것이고 묵인해 온 재벌총수 일가의 전횡과 사익추구 행태에 제동을 걸어 개별 회사의 건강한 발전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개별 회사들이 총수 일가의 사익추구 대상이 아니라 주주와 채권자, 노동자, 협력업체 등 회사와 관련된 여러 경제주체들의 종합적 이익의 구심점이 될 때 비로소 회사도 건강하게 발전하며 국민연금 또한 가입자와 수급권자의 이익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국민연금은 삼성물산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제일기획, 호텔신라 등 삼성그룹 계열사들의 주요 주주다. 그런데 삼성은 그동안 총수일가의 지배아래 불법 비자금 조성, 불법 정치자금 및 뇌물 제공, 주식형사채 헐값 발행 및 이재용 남매 몰아주기 등 각종 불법비리·배임 행위 등을 수없이 저질러 왔다. 또한 시대착오적인 무노조경영방침을 고집하며 노동자들의 인권과 헌법정신을 유린하는 한편, 백혈병을 비롯한 직업병 피해자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재발방지책 수립 등 응당한 책임을 이행하지 않았다. 그리고 협력업체와의 동반 성장과 상생을 위해서도 실질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삼성의 이 모든 잘못과 무책임은 궁극적으로 삼성그룹의 지속가능성뿐만 아니라 국민연금의 이익에도 반하는 것이다.
 
 
국민연금은 아직껏 이러한 문제들을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합병 시도과정에서 시험대에 오른 것은 비단 삼성만이 아니라 국민연금도 포함된다고 우리는 판단한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안에 대해서, 삼성총수일가의 편을 들것이냐, 국제투기자본의 편을 들 것이냐는 잘못된 이분법을 넘어서야 한다. 이제 국민연금은 삼성그룹의 부당한 3대 세습, 불법비리의 폐습과 총수일가의 전횡을 심판하고 이를 통해 진정으로 국민과 국가경제의 관점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투자자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상과 같은 우리의 요구가 받아들여지고, 국민연금이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실천할 때까지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행동해 나갈 것임을 밝힌다.
 
 
 
2015년 7월 7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
반도체노동자건강과인권지킴이 반올림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삼성노동인권지킴이 /
참여연대 / 학술단체협의회 / 함께하는시민행동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다섯 번째 소셜런치, 류성민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님과의 만남 소셜런치

지난 6월 18일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좋은기업센터 전문위원이신 경기대 경영학과 류성민 교수님과소셜런치를 진행했습니다. 김주일 대표님께서도 함께 하신 이번 소셜런치에서는 요즘 뜨거운 이슈인 임금피크제에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정부가 임금피크제의 도입을 통해 기대하고 있는 (청년)고용을 비롯해, 산업전반에 미칠 영향과 이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3796
  • 2015-07-07

국민연금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안에 대해 가입자 및 수급권자의 권익을 위해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 성명/논평/보도자료

[기 자 회 견 문] 국민연금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안에 대해가입자 및 수급권자의 권익을 위해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 “삼성이냐, 투기자본이냐”라는 어설픈 민족주의 극복해야총수일가의 전횡과 세습에 제동 거는 사회적 투자자로 거듭나야 지난 5월 26일 삼성그룹의 두 계열사인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합병 계획을 발표했다. 그리고 오는 7월 17일에는...

  • CAN
  • 조회 수 2368
  • 2015-07-07

다섯 번째 소셜런치 예고, 류성민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님 소셜런치

다섯 번째 소셜런치 초대 손님은 류성민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님입니다. 류성민 교수님은 2013년부터 좋은기업센터 전문위원으로 함께 활동하고 계시고요. 작년 초 삼성노동인권지킴이와 함께 진행한 삼성 연속토론회 <다시, 삼성을 묻는다 : 삼성과 한국사회의 선택>에서 삼성의 인사노무관리방식에 대해 발제를 해주시기도 하셨습니다. 이번 다섯 번째 소셜런치에서는 올 해 시...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4047
  • 2015-06-12

[인권‧시민사회‧종교계 공동 기자회견] 양우권‧배재형 열사의 죽음 책임져라. 성명/논평/보도자료

11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기자회견 장면(민주노총 제공) [인권‧시민사회‧종교계 공동 기자회견문] 양우권‧배재형 열사의 죽음 책임져라. 대만영풍그룹-한국EG테크 성실교섭 촉구한다! 사람 목숨보다 귀한 것은 없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기업들은 돈벌이를 위해, 기업인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사람의 권리와 목숨을 하찮게 여기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회 공동체의 양심과 인권의 ...

  • CAN
  • 조회 수 2386
  • 2015-06-12

6월 9일, 하승창의 <<나의 시민운동 이야기>> 북콘서트가 시작됩니다. 알리는 말씀

메르스 사태가 날로 확산되고 있어서 본 콘서트를 취소하게 되었습니다.기대하고 계셨을 분들께 양해를 구합니다.아울러 <<나의 시민운동 이야기>> 책에 변함없는 성원 부탁드립니다. ■ 하승창의 <<나의 시민운동 이야기>> 북콘서트 시민은 어떻게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시민운동가 하승창의 목소리로 듣는 우리 시대 시민운동 이야기금융실명제, 주택임대차보호법, 부패방지법, 한약 분...

  • CAN
  • 조회 수 4199
  • 2015-05-27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