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내내 경기도 어느 곳에선가 아레나(The Asian Regional Exchange for New Alternatives, ARENA)라고 하는 아시아 지역 학자들의 모임에서 준비한 지역학교가 열렸습니다. 이번 주제는 "미국의 패권전쟁과 아시아 평화운동"이었다고 해요. 마침 태국통신의 도임방주씨와 같은 조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친구가 거기 참석했다가 어제 저녁 인사동에서 시민행동을 포함 여러 활동가들을 만나는 자리를 갖게 되었답니다.



(훕. 반다가 앉은 자리가 더 어두웠는지 사진이... ㅠㅠ)


Vanda Lengkong. 인권, 구호단체 크리스찬 월드 서비스 인도네시아 지부에서 일하며 세계기독학생회 활동도 하고 있는 친구입니다.

우리는 함께 저녁을 먹고 차를 마시며 각자 소개를 하고 서로의 활동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반다가 있는 수라웨시 지역에는 지역분쟁으로 인한 IDPs(Internal Displaced Peoples)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들을 위한 인도주의적 활동과 애드보커시 등을 하고 있다는군요.

시민행동, 그리고 도임방주씨, 천둥소리, 장애우와 함께 활동하고 있는 분, 환경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분 등이 참여했기에 각자 활동을 소개하고 이슈를 이야기하는데에 또 시간을 꽤 보내었습니다. ^^

그리고 우리는 다같이 성공회성당 뜰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는 이주노동자 친구들을 찾아가게 되었답니다. 우선은 반다에게 이주노동자 문제의 현실을 보여주고 싶었던 마음에서였고, 우리 스스로도 현장에 가서 지지를 표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었거든요.



그곳에는 인도네시아 친구들은 없었지만 버마, 몽골, 모로코 등지에서 온 많은 노동자들이 직장도 잃은 채 천막에서 먹고 자며 낮이면 시위를 나가고, 밤이면 뉴스에 혹시나 나올까 하고 뚫어져라 모니터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지난 여름 부찌씨가 방문했을때 만났었던 버마의 샨족 친구 사이마옥도 만날 수 있었답니다.



반다는 짧은 시간동안 여러가지 질문을 하면서 귀기울여 이들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우리는 옆에서 이야기를 거들며 함께 했구요.

지하철에서 헤어지면서, 짧은 시간이었지만 정이 들었던 우리는 서로를 꼭 안아주며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반다는 인도네시아에 돌아가서 그곳의 소식을 정기적으로 보내주기로 약속을 하였답니다.

앞으로 반다가 전해올 소식을 기대하며...
ġ ϴ ൿ! Բϴ ùൿ ȸ ȳ

댓글 '4'

시민행동

2003.12.02 09:00:00

"강제추방 반대, 합법체류 보장을 위한 이주노동자들의 농성은 계속되고 있다."

다카카(32·스리랑카)씨는 11월 11일 지하철 철로에 몸을 던졌고, 비꾸(34·방글라데시)씨는 다음날(12일) 다니던 공장 기계에 목을 맸다. 안드레이(39·러시아)씨는 11월 20일 블라디보스톡으로 가던 도중 바다에 몸을 던졌고, 그 닷새 뒤(25일) 브르혼(50·우즈베키스탄)씨는 인천의 한 목재공장 화장실에서 목을 맸다. 정부가 40만 이주노동자의 정당한 노동권과 생존권을 보장하지 않은 상황에서 추방정책을 수립하고 단속을 벌이는 것은 그들에게 삶과 죽음을 선택하라는 것과 다름없다.
올 11월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합법체류 신고가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4년 이하 체류자 가운데서도 불법체류자가 4만명이 넘어서고 있고, 또 4년 이상 체류자에 대해서도 아직 정부는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 정부는 11만명에 이르는 불법체류자에 대한 해결의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이주노동자들이 사회에서 정당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에 합당한 권리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이제 이주노동자와 한국국민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지금 이순간에도 명동성당과 성공회 대성당 등 전국 각지에서 외국인 이주노동자 강제추방 철회를 요구하는 농성이 계속되고 있다. (연대회의 전체메일)

시민행동

2003.12.02 09:00:00

가릉

2003.12.02 09:00:00

에궁 회사일만 아니었더라두.. 저도 함께 했을텐데. 모처럼 귀한 자리 . 아쉽기만 합니다.

amy

2003.12.03 09:00:00

늘 반가운 가릉님, 앞으로도 종종 이런 자리가 계속 만들어질 거 같아요. 섭섭해마시고 다음 기회를 도모해보자고요^^
List of Articles

강남구청장은 시민활동가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취하하라! 성명/논평/보도자료

[성명서]강남구청장은 시민활동가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취하하라! -예산의 부적절한 집행에 대한 도의적으로 사과하고 이를 지적하는 시민에 대한 압력행위를 중단하라.-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놀라운 일이 강남구는 발생했다. 각종 언론에 보도된 “강남구청장 부인 해외여행물의”라는 기사의 제보자인 한국청년연합회(KYC) 이득형 행정감시국장에게 “명예훼손과 직위사칭”...

  • 시민행동
  • 조회 수 1761
  • 2003-12-05

Vanda와 함께 [4] 변두리편집장

지난 주 내내 경기도 어느 곳에선가 아레나(The Asian Regional Exchange for New Alternatives, ARENA)라고 하는 아시아 지역 학자들의 모임에서 준비한 지역학교가 열렸습니다. 이번 주제는 "미국의 패권전쟁과 아시아 평화운동"이었다고 해요. 마침 태국통신의 도임방주씨와 같은 조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친구가 거기 참석했다가 어제 저녁 인사동에서 시민행동...

  • CAN
  • 조회 수 1167
  • 2003-12-02

호주제 폐지, 더 이상 미룰 이유가 없다. 성명/논평/보도자료

호주제 폐지, 더 이상 미룰 이유가 없다. 호주제 폐지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민법개정안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호주제는 대표적 성차별 제도로서, 여성계는 물론 많은 시민들이 오랫동안 폐지를 주장해온 끝에 비로소 그 결실을 맺을 수 있는 단계에 와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직도 일부 국회의원 등이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게다가 국회 활동이 사실상 전면 중단되는 사...

  • 시민행동
  • 조회 수 1770
  • 2003-11-28

아시아의 시민사회운동 전시회 및 워크샵 개최 성명/논평/보도자료

11. 27 - 29. "아시아의 시민사회운동" 전시회 및 워크샵이 열립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시민의신문, 아시아NGO정보센터와 함께 오는 11월 27일 - 29일 사흘간 성공회대 교정에서 "아시아의 시민사회운동"이라는 행사를 열고자 합니다. 이번 행사는 그간 국내에서 진행되어온 부문별 아시아 연대활동의 성과와 한계를 돌아보고 전망을 모색해보기 위한 자리입니다. 또...

  • 시민행동
  • 조회 수 1310
  • 2003-11-27

특검법 거부가 국회 활동을 포기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성명/논평/보도자료

대통령의 '특검법'에 대한 거부권 행사가 국회 활동을 전면 포기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오늘(11월 25일) 대통령이 '대통령측근비리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기로 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야당, 특히 한나라당이 대통령의 재의 요구에 응하지 않고 등원 거부, 의안심사 거부, 대통령 탄핵소추 추진 등 강경투쟁을 벌이겠다는 입장을 밝힘으로써 국회가 '뇌사 상태'에 ...

  • 시민행동
  • 조회 수 1416
  • 2003-11-25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