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툰 파병 연장 검토 보도에 관한 파병반대국민행동의 입장


1. 정부가 이라크에 파병된 자이툰 부대의 파병 기간을 또다시 연장하려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어제(5월 30일) 밤 MBC <9시 뉴스>는 국방부가 자이툰 부대 파병 연장을 “잠정 결론” 내렸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5월 31일치)도 지난 5월 23일 국방연구원이 김장수 국방부 장관에게 “한국 기업이 이라크에서 더 많은 비즈니스 활동을 벌일 수 있는 기회를 열기” 위해 자이툰 파병 연장을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했고, 김장수 장관은 “파병 연장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고 전했다.

2. 정부는 지난해 말 파병 재연장을 추진하면서 “내년 상반기까지 임무 종결 계획서를 내놓겠다”고 약속했다. 따라서 정부는 오는 6월까지 ‘철군 계획’을 내놔야 마땅하다. 그런데, 내놓겠다는 ‘철군 계획’은커녕 또다시 파병 재연장 꼼수를 부리려 하고 있는 것이다.

3. 군 당국은 파병 재연장 추진의 명분으로 쿠르드 지역 유전 개발을 들고 있다. 하지만 쿠르드 지역을 비롯한 이라크의 석유는 이라크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핵심적 이유 가운데 하나다. 이제는 누구나 인정하듯이 미국의 이라크 침략 자체가 석유를 노린 것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 지금껏 60만 명이 넘는 이라크인들이 죽었고, 이라크 인구의 거의 10퍼센트가 난민으로 전락했다.

이런 참극이 벌어지는 와중에도 미국과 미국이 지원하는 이라크의 꼭두각시 정부는 다국적 석유 기업들을 위해 이라크의 유전 지역을 개방하는 데 열심이다. 지금 이라크에서는 이라크의 유전 개발권을 다국적 기업들에게 헐값으로 팔아 넘기기 위한 새 석유법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반면, 평범한 이라크인들은 IMF가 강요한 보조금 철폐 때문에 전쟁 전보다 열 배 이상 폭등한 가격으로 석유를 사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눈독들이고 있는 유전 개발권 문제는 이라크 북부 지역의 불안정을 심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점령 세력이 부추겨온 종파간,인종간 반목은 석유에 대한 통제와 이익 배분 문제로 더욱 격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쿠르드족 자치정부는 이라크 북부 지역의 유전 개발권을 독점하기 위해 핵심 유전지대인 키르쿠크 등에서 일종의 소규모 ‘인종청소’를 벌이고 있고 이 때문에 종파간,인종간 폭력과 충돌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쿠르드 자치정부의 시도는 쿠르드족의 독립을 우려하는 터키의 군사개입 위험마저 불러일으키고 있다.


4. 이런 상황에서 한국 기업의 이라크 석유 개발 참여는 이라크 내의 반목과 폭력을 부추기는 일에 동참하는 것일 뿐 아니라 이라크에 파병된 자이툰 부대를 그러한 반목과 폭력의 한가운데로 밀어 넣는 격이다. 즉, 한국 기업의 이라크 석유 수탈 참가가 분명해지는 순간 한국과 자이툰 부대는 전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위험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점령과 학살로 폐허가 된 나라에서 전리품을 챙기려는 생각 자체만으로도 매우 비인도적인 처사가 아닐 수 없다.

5. 한국의 반전평화운동은 국제반전평화운동과 함께 미국이 이라크에서 ‘석유를 위해’ 벌인 전쟁과 점령에 반대해왔다. 그리고 이제 한국 정부가 ‘평화,재건 지원’이라는 알량한 명분조차 버린 채 노골적으로 ‘석유를 위해’ 전쟁에 참가하겠다고 한다. 우리의 입장은 변함 없이 분명하고 어느 때보다 확고하다. 오직 모든 점령군의 완전한 철수만이 이라크에서 벌어지는 재앙을 멈추기 위한 출발이 될 수 있다. 이라크 점령을 지원해 온, 그리고 이제 한국 기업들의 석유 수탈을 도우려 하는 자이툰 부대는 당장 철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반년도 채 못 돼 국민을 상대로 한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뒤집으며 파병 연장을 추진하는 정부의 대국민 사기극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5월 31일
파병반대국민행동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자이툰 파병 연장 검토 보도에 관한 파병반대국민행동의 입장 성명/논평/보도자료

자이툰 파병 연장 검토 보도에 관한 파병반대국민행동의 입장 1. 정부가 이라크에 파병된 자이툰 부대의 파병 기간을 또다시 연장하려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어제(5월 30일) 밤 MBC 는 국방부가 자이툰 부대 파병 연장을 “잠정 결론” 내렸다고 보도했다. (5월 31일치)도 지난 5월 23일 국방연구원이 김장수 국방부 장관에게 “한국 기업이 이라크에서 더 많은 비즈니스 활동을...

  • 시민행동
  • 조회 수 3966
  • 2007-06-04

[변두리TV] 상큼 오렌지 보이 & 걸 듀오콘써~트 [3] 변두리TV

지난 2월 23일 실황이니까... 무려 3개월이나 더 묵혀둔 귀한 영상입니다. 설명이 필요없습니다. 그냥 보시기만 하세요 ㅠㅠ 아달구 랩, 코기 보컬의 시민행동 언더 듀오(그러니까 변두리 듀오랄까?)가 얼른 햇빛을 볼 날이 오기를 기원하여 마지 않습니다. 제목: 상큼 오렌지 보이 & 걸 듀오콘써~트 (2007.2.23) (러닝타임 3분 4초)

  • CAN
  • 조회 수 3993
  • 2007-06-02

변두리는 외압을 당하고 있습니다! [2] 변두리편집장

무덥고 졸리웁던 오늘 오후, 이 한통의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뒤로 변두리는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원래는 공개할 생각도 없던 어떤 자료를 이렇게 문자까지 보내가며 사수하려고 하는 이 사람은 대체 누굴까요? (마지막 문장에 힌트가 있긴 합니다만은...) 과연 변두리는 이 같은 외압에 굴하여 진실을 외면해야만 하는 것인지, 아니면 힘을 다해 어두운 세상에 한줄...

  • CAN
  • 조회 수 2934
  • 2007-05-31

[방명록] 핀란드에서 오신 타루(Taru)씨 [5] [1] 만남과 사귐

우연히 어떤 행사에서 푸른소를 만나 풀뿌리 운동 이야기를 듣고 시민행동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타루(Taru Salmenkari)씨. 지난 5월 2일 시민행동 사무실을 방문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핀란드에서 NGO를 연구하고 있는 타루씨는 특별히 중국 시민사회에 관심이 많은데, 최근에는 비교연구차 아르헨티나와 한국을 각각 방문하고 있다는군요. 한국에 온지 벌써 반년. 꽤 ...

  • CAN
  • 조회 수 7934
  • 2007-05-30

디페인 학살의 진상을 규명하고 아웅산 수지 여사를 포함한 정치범을 석방하라 성명/논평/보도자료

오늘(5월 30일)은 버마에서 디페인 학살이 일어난지 4주년 되는 날입니다. 4년 전 오늘 버마 디페인 지역에서 버마 군사정부가 아웅산 수지 여사를 비롯해 민주화를 열망하는 70여 버마 국민들을 살해했습니다. 그러나 버마군사정부는 학살에 대한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을 전혀 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웅산 수지 여사를 포함한 학살의 피해자를 지금까지 수감하고 있습니...

  • 시민행동
  • 조회 수 3498
  • 2007-05-30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