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들이 2년에 걸쳐 준비한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안이 지난 11월 22일 노회찬 의원을 비롯한 의원 22명의 발의로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원래 이 안은 정부 입법안과 병합 심사될 전망이었으나, 정부 입법안이 제출되지 않으면서 시민사회단체안마저 국회 내에서 잠자게 된 상황입니다. 이에 시민사회단체안을 준비한 프라이버시법제정을위한연석회의가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하는 논평을 발표하였습니다.

(프라이버시법제정을위한연석회의는 정보인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시민사회단체들이 제대로 된 개인정보보호법 제정을 고민하기 위해 운영해온 회의체로서, 문화연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지문날인반대연대,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한국노동네트워크협의회, 함께하는시민행동의 7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처리 미룰 이유 없다

기본법 제정 못하면, 다른 개인정보 관련 법안도 차질 빚을 것


지난 2년간 전사회적인 공감대 속에 추진되어오던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의 연내 제정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한 언론보도(아이뉴스24 2004년 12월 2일자,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사실상 내년으로 연기...올 마지막 국회 상정조차 안돼")에 따르면, 국회는 정부 입법안이 제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 법안을 상정조차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한다. 게다가 부처간 이견 조정이 잘 되지 않고 있어, 정부가 정기국회 폐회 전에 법안을 제출할 가능성도 매우 낮다고 한다.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은 우리 사회의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법이다. 이 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른 개인정보 관련 법률들도 제대로 논의하기가 어렵다. 현재도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 개정안이나 위치정보의이용및보호등에관한법률안 등이 제출된 상태이며, 이 외에도 여러 기관들과 의원들이 개인정보와 관련된 여러 법안들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정작 이 모든 법안들의 바탕이 되는 기본법이 제정되지 않음으로써 다른 법안들의 처리가 계속 지연되게 되었으며, 설령 통과된다 하더라도 법적 위상이 매우 불안정하게 될 것이다. 특별법이 먼저 제정된 후 기본법이 제정되면, 법안 간에 중복이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 안이 제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무작정 법안 상정을 미루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 이미 시민사회단체들이 몇 년간에 걸쳐 준비해온 법안이 지난 달에 발의된 상태이다. 정부 안이든 시민사회단체들의 안이든 근본 방향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별도의 안을 제출하지 않더라도 국회가 심의 과정에서 현재 제출된 안을 첨삭하거나 수정하면 된다. 필요하다면 그 과정에서 각 부처의 관계자들을 출석하게 하여 의견을 들으면 될 것이다.

정부의 법안 제출이 늦어지는 것도 이해하기 어렵다. 법안을 준비하기 시작한 지 이미 1년이 지났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의 시안이 마련된지도 반년이 다 되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부처간 이해 관계를 조정하지 못해서 법안을 제출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아울러 법안의 상임위 배정 역시 재고해야 한다. 현재 시민사회단체가 발의한 기본법안이 행정자치위원회에 배정된 상태이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은 특정 영역의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다루는 법률이 아니라 기본권의 내용을 확정하는 법으로 공공과 민간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법이다. 이 법에 따라 제정될 개인정보보호기구 역시 특정 부처 산하가 아닌 독립기구여야 한다는 점에는 정부나 의원입법안 제출자들의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법안 발의자들의 의견대로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상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정부 각 기관에 접수되는 개인정보 침해 관련 민원이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새로운 개인정보 침해 유형이 날로 늘어가고 있다.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은 시급히 확립해야 할 국민의 기본권에 관한 사안이며, 중요한 민생 사안이기도 하다. 하루빨리 정상적으로 입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 모두 제 역할을 다해주기 바란다.

2004년 12월 3일

프라이버시법제정을위한연석회의
문화연대 /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 지문날인반대연대 / 진보네트워크센터
참여연대 / 한국노동네트워크협의회 / 함께하는시민행동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시민행동, 국회 예결특위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행동 예산감시팀에서 국회 예결특위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회의 예산결산특위가 6일부터는 예산안조정소위(계수조정소위)를 가동할 예정인데요.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3일 동안의 시민행동이 작성한 예결특위 모니터링 보고서가 예산감시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습니다.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모니터링 보고서 뿐만 아니라 예결위 속기록도 보실 수 있습니다. 예산...

  • 시민행동
  • 조회 수 1368
  • 2004-12-06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처리 미룰 이유 없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사회단체들이 2년에 걸쳐 준비한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안이 지난 11월 22일 노회찬 의원을 비롯한 의원 22명의 발의로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원래 이 안은 정부 입법안과 병합 심사될 전망이었으나, 정부 입법안이 제출되지 않으면서 시민사회단체안마저 국회 내에서 잠자게 된 상황입니다. 이에 시민사회단체안을 준비한 프라이버시법제정을위한연석회의가 법안의 ...

  • 시민행동
  • 조회 수 1759
  • 2004-12-03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시민운동과 노동운동의 새로운 만남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운동이 본격화된 이후 기업을 상대로 해 온 운동을 일별해 본다면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고 전통적인 영역은 아무래도 소비자운동이다. 이는 90년대에 역동적으로 발전한 시민단체들보다 오래전부터 활동해 왔던 시민단체들의 주요한 운동영역이었다. 한국소비자연맹이나 YMCA 시민중계실을 비롯한 각종 소비자단체들이 일찍부터 기업...

  • 시민행동
  • 조회 수 1113
  • 2004-12-02

사형이 임박한 티베트 스님 : 텐진 델렉 성명/논평/보도자료

얼마 전에 사형이 임박한 텐진 델렉 린포체(린포체: 티베트,몽골 등지의 밀교권 문화에서 고승들이 중생구제를 위하여 다시 환생하였을때 이의 환생자로 인정받은 사람. '툴쿠'라고도 함)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남의 말엔 꿈쩍도 안할 중국정부이기에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우선 인터넷 상의 여러 자료들을 조합하여 전반적인 내용을 ...

  • 시민행동
  • 조회 수 984
  • 2004-12-02

4개 시민사회단체, 위치정보법에 대한 공동 의견 제출 성명/논평/보도자료

4개 시민사회단체, 위치정보법에 대한 공동 의견 제출 위치정보 고유의 기술적·컨텐츠적 특성 고려한 법률 필요 중복 규제 막기 위해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 후로 연기해야 1.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에는 지난 9월 22일 정부가 제출한 위치정보의이용및보호에관한법률안이 상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안에 대해 4개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으로 의견을 제출했습니다. (그림 ...

  • 시민행동
  • 조회 수 2002
  • 2004-12-0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