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시민사회단체, 위치정보법에 대한 공동 의견 제출

위치정보 고유의 기술적·컨텐츠적 특성 고려한 법률 필요

중복 규제 막기 위해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 후로 연기해야


1.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에는 지난 9월 22일 정부가 제출한 위치정보의이용및보호에관한법률안이 상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안에 대해 4개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으로 의견을 제출했습니다. (그림 출처 : 중앙일보)

2. 4개 단체들은 이 법안이 위치정보 산업의 존재 및 활성화를 전제로 하고 있으며, 사업자에 대한 규제를 통해 위치정보 보호를 달성하고자 하며, GPS 및 이동전화 기지국을 통한 위치정보 수집에 편향된 보호 조항들을 채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 결과 사업자 이외의 자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나 또다른 기술적 방식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에 대해 충분한 보호 조치를 제시하지 못하는 등, 위치정보의 오·남용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되기에는 많은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3. 이어 법안의 구체적 문제점으로 아래의 아홉 가지 사항을 지적했습니다.

1) 위치정보사업자 및 위치기반서비스제공자 이외의 자(예 : 공공기관, 고용주, 비영리단체 등)가 수집하는 위치정보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호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2) 서적이나 음반 등 사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품 및 향후 기술 발전에 따라 능동형 RFID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정보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호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3) 단말기의 실제 소지자와 법적 소유자가 다른 경우에 실제 소지자의 위치정보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호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4) GPS 및 기지국을 통한 위치정보 수집에 편향되어 있어, 후불형 교통카드나 RFID 등 다른 형태로 수집되는 위치정보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호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5)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가 정보주체의 동의 사실을 조작하여 위치정보사업자에게 정보제공을 허위로 요청하는 것을 예방할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6) 위치정보에 대한 등급제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 제도가 위치정보의 보호를 위해서 기능하지 않는다.
7)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들에 대해 위치정보사업자들보다 완화된 규제를 적용하고 있으나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
8) 모든 권한이 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다.
9) 사회적 논의를 통해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할 사업 영역을 섣불리 합법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4. 이에 따라 의견서의 결론부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습니다.

1) 위치정보사업법의 성격을 제외하고, 위치정보 고유의 기술적·컨텐츠적 특성에 입각한 위치정보보호법을 제정해야 한다.
2) 단말기에서부터 위치정보주체의 자기정보통제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3) 법안의 중복 및 향후 이중·삼중 규제의 가능성을 막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기본법이 제정된 후에 재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붙 임 : 위치정보의이용및보호등에관한법률(안)에 대한 4개 시민사회단체들의 공동 의견 1부. <끝>

2004년 12월 2일

지문날인반대연대·진보네트워크센터·참여연대·함께하는시민행동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시민행동, 국회 예결특위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행동 예산감시팀에서 국회 예결특위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회의 예산결산특위가 6일부터는 예산안조정소위(계수조정소위)를 가동할 예정인데요.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3일 동안의 시민행동이 작성한 예결특위 모니터링 보고서가 예산감시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습니다.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모니터링 보고서 뿐만 아니라 예결위 속기록도 보실 수 있습니다. 예산...

  • 시민행동
  • 조회 수 1369
  • 2004-12-06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처리 미룰 이유 없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사회단체들이 2년에 걸쳐 준비한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안이 지난 11월 22일 노회찬 의원을 비롯한 의원 22명의 발의로 국회에 제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원래 이 안은 정부 입법안과 병합 심사될 전망이었으나, 정부 입법안이 제출되지 않으면서 시민사회단체안마저 국회 내에서 잠자게 된 상황입니다. 이에 시민사회단체안을 준비한 프라이버시법제정을위한연석회의가 법안의 ...

  • 시민행동
  • 조회 수 1760
  • 2004-12-03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시민운동과 노동운동의 새로운 만남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운동이 본격화된 이후 기업을 상대로 해 온 운동을 일별해 본다면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가장 역사가 오래되었고 전통적인 영역은 아무래도 소비자운동이다. 이는 90년대에 역동적으로 발전한 시민단체들보다 오래전부터 활동해 왔던 시민단체들의 주요한 운동영역이었다. 한국소비자연맹이나 YMCA 시민중계실을 비롯한 각종 소비자단체들이 일찍부터 기업...

  • 시민행동
  • 조회 수 1114
  • 2004-12-02

사형이 임박한 티베트 스님 : 텐진 델렉 성명/논평/보도자료

얼마 전에 사형이 임박한 텐진 델렉 린포체(린포체: 티베트,몽골 등지의 밀교권 문화에서 고승들이 중생구제를 위하여 다시 환생하였을때 이의 환생자로 인정받은 사람. '툴쿠'라고도 함)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남의 말엔 꿈쩍도 안할 중국정부이기에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우선 인터넷 상의 여러 자료들을 조합하여 전반적인 내용을 ...

  • 시민행동
  • 조회 수 984
  • 2004-12-02

4개 시민사회단체, 위치정보법에 대한 공동 의견 제출 성명/논평/보도자료

4개 시민사회단체, 위치정보법에 대한 공동 의견 제출 위치정보 고유의 기술적·컨텐츠적 특성 고려한 법률 필요 중복 규제 막기 위해 개인정보보호기본법 제정 후로 연기해야 1.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에는 지난 9월 22일 정부가 제출한 위치정보의이용및보호에관한법률안이 상정되어 있습니다. 이 법안에 대해 4개 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으로 의견을 제출했습니다. (그림 ...

  • 시민행동
  • 조회 수 2002
  • 2004-12-0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