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국회 생산성 보고서 목차


* 보고서 개요

■ 취지 및 주요내용
국회의 주요 기능인 입법, 예산, 국감 등에 대한 생산성 평가
■ 조사 방법
평가 기준 및 기간과 한계
■ 평가서 내용
1. 입법활동
2. 예산활동
3. 국정감사활동
■ 개선 방향
주요 기초 자료:
- 국회사무처 의정 통계집,
- 국회경과보고서
- 기획예산처 통계자료
- 국회 홈페이지 통계자료


I. 취지 및 주요내용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16대국회의 마감을 앞두고 지난 4년간, 국회의원의 의정활동 성과를 지표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한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국민의 세금이 국회에서 얼마나 쓰였으며 산출물이 어느 정도 인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조사의 대상은 국회의 주요 3대 활동인 법률 제정, 예결산심의, 국정감사를 중심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국회의원들이 4년간 사용한 세금은 1인당 16억원이고 전체적으로는 4458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식적인 활동시간은 1216시간으로 추정되었으며 국회의원 1인이 1시간당 134만원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국회의원들은 매일 8시간근무로 환산했을때 4년동안 평균 152일(1216시간)을 일한 셈이 된다. 또한 회의결과를 환산해보면 의회에서 "안건" 하나가 처리(폐기,부결,철회,미처리,가결)되는데 1억4천만원이 들었고 안건이 가결되는 데는 3억여원이 소요되었다. 또한 "법률안"은 1건이 통과되는데 4억7천 만원이 소요되었다.

이를 생산성 측면에서 보면 의원 1인당 1백만원을 투입해서 44분41초(2681초)를 일한 셈이 된다. 이렇게 비용이 증가한 것은 회기동안 회의가 제대로 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한 경우에는 30일 동안 한번도 본회의와 상임위가 열리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231회/2002 6.5-7.4)

예결위의 생산성은 23.4로 추정되었다. 백만원을 투입하여 2천3백만원을 수정하였다. 그러나 4년동안의 수정률은 0.21%에 불과했다. 상임위의 경우에는 정확한 생산성을 추정할 수 없으나 회의가 열린 횟수로 따지면 법사위가 가장 일을 많이 했고 정보위가 가장 적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위의 경우에는 국정감사 기간의 반 정도밖에 회의가 열리지 않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로 보았을 때 16대국회는 전형적인 '고비용 저효율'의 생산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는 국회의 본래적인 기능인 입법, 예결산심의, 국정감사 기능보다는 정쟁 등 비생산적인 다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모했다는 것을 대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17대 국회기간에도 지표를 보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17대 국회의 생산성을 측정, 발표할 예정이다.

보고서 전문 다운받기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총선기획][바로 알고 바로 찍자]② 선거전면에 나선 네티즌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행동과 세계일보가 공동으로 기획한 기사입니다. [바로 알고 바로 찍자] ]② 거전면에 나선 네티즌 4·15 총선의 의미는 심대하다. 4년간 국정을 이끌어 갈 국민 대표들을 뽑는 선거다. 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민주주의의 핵심은 대의정치다. 참여가 기본이다. 신성한 한 표는 어떤 일이 있어도 행사돼야 한다. 선거는 공명정대해야 한다. 그래...

  • 시민행동
  • 조회 수 1637
  • 2004-04-22

16대국회 생산성 보고서 성명/논평/보도자료

16대국회 생산성 보고서 목차 * 보고서 개요 ■ 취지 및 주요내용 국회의 주요 기능인 입법, 예산, 국감 등에 대한 생산성 평가 ■ 조사 방법 평가 기준 및 기간과 한계 ■ 평가서 내용 1. 입법활동 2. 예산활동 3. 국정감사활동 ■ 개선 방향 주요 기초 자료: - 국회사무처 의정 통계집, - 국회경과보고서 - 기획예산처 통계자료 - 국회 홈페이지 통계자료 I. 취지 및 ...

  • 시민행동
  • 조회 수 1609
  • 2004-04-22

[나도 한마디]통과안된 법안 서로 "네 탓” 성명/논평/보도자료

[나도 한마디]통과안된 법안 서로 "네 탓” 정선애 함께하는 시민행동 정책실장 각 정당의 이행평가서를 받았을 때 어떻게 분석해야 좋을지 막막했다. 무엇을 주도했는지는 둘째 치고라도 중요한 공약에 대해 각 정당의 활동내역이 부실했기 때문이다. 사회적인 현안이 되는 법안의 경우 대체로 특정 정당뿐만 아니라 모든 정당이 의원발의를 했다. 그렇기 때문에 법안추진과정의 ...

  • 시민행동
  • 조회 수 1565
  • 2004-04-22

[나도 한마디]"인터넷시대 맞게 선거법도 바꿔야죠" 성명/논평/보도자료

[나도 한마디]"인터넷시대 맞게 선거법도 바꿔야죠" 박준우(함께하는 시민행동 개인정보보호팀장) 선관위·경찰과 네티즌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시사 패러디로 인기를 끌던 네티즌들이 체포되고, 이 작품들을 퍼 나르는 게 선거법 위반이라고 발표되고 있다. 인터넷 시대는 누구나 정치인이고 언론인이 될 수 있는 시대다. 그러나 선거법은 오프라인 시대에 머무른 채 유권자...

  • 시민행동
  • 조회 수 1542
  • 2004-04-22

장애-항공업체 종사 유권자 "투표권 보장" 개선책 촉구 성명/논평/보도자료

장애-항공업체 종사 유권자 "투표권 보장" 개선책 촉구 총선연대, 선관위에 건의 장애인과 운수·항공업체 종사자 등 선거 참여가 쉽지 않은 계층의 투표권 행사 보장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2004 장애인단체총선연대는 24일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요구하며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선관위가 이번 총선에서 휠체어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폭을 넓히고 높이를 조절한 장애인용 기표대를...

  • 시민행동
  • 조회 수 1441
  • 2004-04-2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