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행동은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원으로 금융기관 및 일반 인터넷 기업들의 개인정보 보호 실태를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실태 및 법제도 현황, 시민행동이 생각하는 주요 과제 및 해결방안 등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오는 12월 29일(월) 오후 3:00에는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발표회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이 보고서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보도자료 내용입니다.


"네티즌 4명 중 1명, 주민등록번호 도용당했다"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김창국)는 2003년 인권실태용역조사의 일환으로 5월부터 5개월간 함께하는시민행동과 함께 ‘금융기관과 인터넷에서의 개인정보 공유현황’ 실태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국가인권위는 이번 조사를 통해 △개인정보에 관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의식과 태도 △개인정보와 관련된 기업의 약관, 개인정보 보호정책, 회원가입 양식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관리적, 기술적 대책 △국내외 개인정보 보호법제 등을 검토했으며, 함께하는시민행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선방안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습니다. 조사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심각한 개인정보 불감증, 응답자 87.8% “업체에 고충 제기한 적 없다”

네티즌 1,042명을 조사한 결과, ‘인터넷 사이트 회원 가입시 입력을 가장 꺼려하는 정보’는 주민등록번호(75.0%)였으며, 핸드폰번호(8.2%), 전화번호(4.5%), 이름(4.4%), e-mail 주소(2.8%)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대다수 인터넷 사이트가 회원가입시 관행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고 있는 것과 관련, 응답자의 42.9%는 ‘유출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더라도 실명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만 수집해야 한다’고 답해, 주민등록번호 공개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습니다. 실제로 주민등록번호의 도용 문제에 대해, 무려 26.6%의 응답자가 ‘주민등록번호가 도용돼 회원가입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조사결과 개인정보보호정책 및 약관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들의 관심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회원가입시 ‘이용약관을 거의 읽지 않는 편이다’는 응답자가 57.0%, ‘개인정보보호정책을 거의 읽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55.9%에 달했습니다. 네티즌들은 이용약관과 개인정보를 읽지 않는 이유로 ‘양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개인정보가 공유되는 업체의 수를 안내받았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0%는 ‘안내받지 못했다’고 답했으며, 90%는 ‘개인정보가 공유되는 업체가 정확하게 몇 개인지 모르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스팸메일과 관련, ‘하루에 10회 이상 수신한다’는 응답이 45.2%에 이르렀고, 80.5%는 ‘스팸메일을 수신하는 경우 그냥 지워버린다’고 답했습니다. 한편 응답자의 87.8%는 개인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있는 기업에 자신의 고충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네티즌들이 개인정보 보호문제에 매우 소극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 “70% 이상의 사이트가 개인정보 수집 목적을 명시하지 않고 있다”

금융기관, 포탈사이트, 인터넷 쇼핑몰 등 67개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48곳(70.2%)이 개인정보 수집의 구체적인 목적을 명시하고 있지 않았고, 25곳(37.3%)은 개인정보의 구체적인 수집목적을 설명하되 개별항목과 직결시켜 설명하지는 않았습니다.

개인정보의 보유기관 제시와 관련, 64개(95.5%)의 사이트는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을 제시하고 있었으나, 이 가운데 45개(전체의 67.5%) 사이트는 ‘탈퇴하면 개인정보를 삭제하겠다’는 식으로 보유기간을 제시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비회원 거래자의 개인정보 보존 연한을 제시하고 있는 곳은 한 군데도 없었습니다. 이 밖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 대책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곳은 총 49개(73.1%) 사이트였으며, 18개 사이트(26.8%)는 기술적 대책을 전혀 제시하지 않거나, 제시하더라도 추상적 기술에 그쳤습니다.

조사 결과 대다수 업체들은 개인정보가 제3자와 공유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조사대상 사이트의 17.9%(12곳)만이 현재 공유되고 있는 업체를 고지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23개(34.3%) 사이트는 공유대상과 목적을 추상적으로 표현했고, 32개(47.8%)는 현재 개인정보가 공유되고 있는지 여부를 명확히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또한 개인정보 공유에 대한 동의 절차를 명확히 안내하지 않고 있는 곳이 28개(41.8%)였고, 각각의 공유 대상 기업에 대해 별도로 동의절차를 마련하는 곳은 한 군데도 없었습니다. 이 밖에 영업의 양수․양도시 어떠한 방식으로 안내할 것인지 명시하지 않은 곳이 57개(85.1%), 양수․양도시 동의를 받도록 명시하지 않은 사이트가 56개(83.6%)에 달했습니다.

3.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개선방안 및 가이드라인’ 마련해야”

연구팀은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개인정보 보호체계를 자기정보통제권을 중심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정책으로 △개인정보 보호 일반법의 제정과 독립적 감독기구의 설치 △주민등록번호 수집 관행의 시정 △개인정보 공유에 관한 포괄적 동의 방식 시정 △개인정보 보호정책 및 약관의 개선 등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일반 원칙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금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신용정보기관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가이드라인 등도 제시했습니다.

한편 국가인권위는 오는 12월 29일 ‘금융기관과 인터넷에서의 개인정보 공유현황 실태조사’ 발표회를 가질 예정입니다. 끝.


2002.12.18
국가인권위원회


보고서 전문 다운받기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노동사목회관에 갇히다 [10] 변두리편집장

12월 모일 모시, 시민행동의 모든 상근자들은 한치의 예외도 없이 노동사목회관 작은온돌방으로 끌려가 갇히는 신세가 되어야 했습니다. (뭐 꼭 누가 끌고갔다기 보다는...) 두시부터 일곱시까지 장장 5시간을. 그것도 회의 하느라고! (참고로 시민행동 상근활동가들은 '회의'라는 것에 무척 회의적이어서 왠만하면 짧게, 간단하게, 명료하게, 그렇게 회의시간을 줄이는 데에 도사들입니...

  • CAN
  • 조회 수 1130
  • 2003-12-24

"네티즌 4명 중 1명, 주민등록번호 도용당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시민행동은 국가인권위원회의 지원으로 금융기관 및 일반 인터넷 기업들의 개인정보 보호 실태를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실태 및 법제도 현황, 시민행동이 생각하는 주요 과제 및 해결방안 등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오는 12월 29일(월) 오후 3:00에는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발표회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

  • 시민행동
  • 조회 수 1178
  • 2003-12-22

18일, 인권콘서트가 열렸어요. 변두리편집장

민가협(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이라는 단체가 있지요. 양심수 석방을 위해 애쓰는 곳이에요. 여기서 매년 '양심수를 위한 시와 노래의 밤'이라는 행사를 열곤 했었는데요, 올해는 '인권콘서트'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해요. 저는 처음에 '전인권콘서트'가 아닐까 생각했었더랬죠. ^^;; 사실 이런건 잘 챙겨보지 않으면 잊고 넘어가기 일쑤인데, 이번에는 고맙게도 누군가 표를 갖고 저...

  • CAN
  • 조회 수 1109
  • 2003-12-22

풍물패 '환장' 첫 공연날 [2] 변두리편집장

12월 13일 저녁, 안국동 모처^^에서 환경정의 시민연대 회원의 밤이 열렸습니다. 지난번 후원의 밤도 그렇고, 변두리 늬우스에 자꾸만 환경정의 행사가 등장하는 이유는? 물론 시민행동과 이웃사촌지간이니까. - 라고만 말하면 거짓말이고, 바로바로~ 시민행동에서 변두리와 동기지간인 꾸리가 함께 활동하는 풍물패 '환장'의 첫 공연이 있었기 때문이었지요. 환경단체의 행사 특징상...

  • CAN
  • 조회 수 1026
  • 2003-12-21

프라이버시보호핸드북을 보세요 성명/논평/보도자료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정보문화운동협의회의 후원으로『프라이버시 보호 핸드북 v.2.0』책자를 발간하고 웹서비스(www.privacy.or.kr)를 시작하였습니다. 프라이버시보호핸드북 V2.0 웹서비스 로가기 핸드북 V2.0은 시민행동이 지난 2001년 프라이버시 침해 상담 사례를 모아 발간한『프라이버시보호핸드북』을 수정, 보완하여 새롭게 만든 프라이버시 침해 상담 자료집입니다. 이번에 새롭게 업...

  • 시민행동
  • 조회 수 1325
  • 2003-12-20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