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 전국 납세자대회가 3월 1일부터 2일까지 열립니다. 3월 1일에는 서울과 지역단체들이 모여 올해 예산감시운동을 전망하는 워크샵을 개최하고, 3월 2일에는 미국의 예산감시단체 관계자와의 토론회도 열립니다.
2002년 전국 납세자 대회 개최
1. 경실련, 녹색교통운동, 문화연대, 서울YMCA, 참여연대, 여성민우회, 함께하는시민행동, 환경운동연합(서울시 예산감시네트워크)과 지역운동단체가 참여하는 '2002 전국납세자대회'가 3월1일(금)~2일(토) 1박2일동안 예산감시운동 의제 만들기 워크샵, 기념식, 토론회 순으로 노동사목회관과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 홀에서 각각 열린다. 이번 '2002 전국납세자대회'는 3월3일 납세자의 날을 맞아 전국의 예산감시단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하고 납세자로서의 권리를 선언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2. 참여단체는 2일 10시부터 진행되는 기념식을 통해 2002년은 납세자 운동의 질적 변화를 추구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전국의 예산감시운동의 성과를 모아내고 예산감시운동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예산편성과정에 시민이 참여할 권리를 선언하고 시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벌여나갈 것이라는 납세자 선언을 발표한다.
3. 올해 전국납세자대회는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는 3월 1일 오후2시30분(장소:노동사목회관)부터 '예산감시운동 의제만들기' 워크샵으로 시작된다. 워크샵은 윤영진 교수(전국예산감시네트워크 대표, 함께하는 시민행동 예산감시위원장)의 기조 발제와 '예산편성과정 시민참여 조례만들기', '시민이 원하는 예산확보운동'을 주제로 진행되며 지역의 다양한 사례들이 소개되고 대안이 모색될 예정이다. 다음날인 2일 10시부터~12시30분까지는 기념식과 토론회가 열린다. 기념식은 이태호 참여연대 정책실장의 사회로 진행되며 신철영 경실련 사무총장의 대회사와 이경숙 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의 격려사가 있다. 또 해외 예산감시시민단체의 축하 메시지가 영상으로 소개되며 2002년 납세자 선언이 이어진다. 이어서 '2002년 예산감시운동 모색, 예산낭비 어떻게 막을 것인가'를 주제로 국제토론회가 이어지는데 ①한국의 예산낭비와 방지대책(하승수 변호사) ②미국 예산낭비 사례와 그 대응(이원희 경실련 예산감시위원장, 한경대 교수) ③미국 납세자운동 사례 발표(Robert Zahradnik 미 CBPP 활동)되며 지병문 교수(광주전남대혁연대 대표, 전남대 교수), 윤정숙(여성민우회 대표), 지금종(문화연대 사무처장), 기획예산처에서 토론자로 참석한다.
4. 올 납세자대회는 서울시 예산감시네트워크와 지역운동단체가 공동으로 준비한 것으로, 참여단체들은 지난해 전국적 예산감시운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 한해 재정정보공개 확대, 예산편성과정에서의 시민참여 보장을 위한 제도 마련을 이루기 위한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전국납세자대회
전국 납세자대회는 한해의 예산감시운동을 선포하는 행사로서 이번에는 전국납세자대회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전국적인 차원에서 진행합니다.
○개요
ㆍ일시 : 2002년 3월 1일 오후2시 - 2일 12시
ㆍ장소 : 3월1일 / 노동사목회관 (지하철6호선 보문역), 3월2일 / 세종문화회관 컨퍼런스홀(지하철5호선 광화문역)
ㆍ주관 : 전국납세자대회준비위원회
ㆍ실무단체 : 경실련/녹색교통운동/문화연대/서울YMCA/참여연대/여성민우회/함께하는시민행동/환경운동연합
○행사진행일정
3월1일
오후 2:30 | 접수마감 |
2:30 3:00 | 단체별소개 |
3:00 - 4:00 | 1부 개회선언 기조연설 |
4:00 6:00 | 제1주제 토론 예산편성과정 시민참여조례만들기 |
6:00 - 7:00 | 저녁식사 |
7:00 8:30 | 제2주제 토론 시민이 원하는 예산확보운동 |
8:30 - 10:00 | 사업제안 |
10:00 - | 자유시간 |
3월2일
오전 8:00 - 9:30 | 아침식사 , 이동 |
9:30 - 10:00 | 접수 |
10:00- 11:00 | 2부 납세자대회 |
11:00- 12:30 | 3부 토론회 예산낭비 어떻게 막을 것인가? |
12:30 | 행사종료 |
* 문의 : 함께하는 시민행동 정창수 팀장 ( 02-921-4709, kfc@mail.ww.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