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에서는 정보인권이라고 표현되는 권리 의식에 대한 관심과 필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보소통과정에서 인간이 당연히 향유해야 할 권리를 정보인권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한 것이지요. 놀라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정보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영역과 면적을 가공할만큼 넓히고 향상시켜주었습니다. 기술이 진보한만큼 그 혜택을 누리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그만큼의 불쾌함과 불편함을 생활 곳곳에서 느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에서 손쉽게 뉴스를 읽고 세상 돌아가는 걸 알 수 있지만 그 밑에 달려있는 악플들은 눈살을 찌푸려지게 합니다. 열어볼때마다 쌓여있는 스팸에 기분이 상하구요. 동의 없이 나의 개인정보를 유출시켜 심신을 피곤하게 하고 피해를 입히는 범죄 행위도 누군가는 이익 때문에 스스럼없이 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인터넷은 자유와 책임의 공간인데 사려깊지 않은 규제가 가해지고 네티즌들은 무책임한 이용 양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인터넷의 역기능 현상을 놓고 사람들은 이래저래 말이 많습니다. 사이버 세계를 편리하고 유익하게 계속해서 이용하고 발전시키기 원하기 때문이죠. 한마디로 사이버 세계와 공동체 형성에 대한 기대는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인 것이죠.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민하고 고안하지만 그러한 지향점에서 가장 중요한 주체는 역시나 네티즌 한 사람 한 사람입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잘하면 복잡한 법이니, 제도니 이런게 필요하지 않겠죠. 그렇지만 아무런 가이드라인이나 도움말도 없이 그냥 잘하긴 어렵겠죠? 개인 스스로가 본인의 정보인권의식에 대해 짚어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도움이 되는 척도가 있다면 우리가 바라는 인터넷 공동체를 형성해 갈 수 있지요.

그래서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는 정보인권에 대한 개념이 녹아든 타당한 척도를 만들기 위하여 다음세대재단의 후원을 받아 정보인권지수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사회학, 공학, 교육학, 심리학 전문가와 정보인권활동가가 결합하여 정보인권지수 개발을 위한 13차례의 워크샵을 가졌습니다. 중간에 지수 문항 선정을 위한 통계조사 분석과 외부평가를 듣는 공개워크샾도 가졌습니다. 그런 준비를 거쳐 이제 정보인권지수개발의 최종 점검을 위한 마지막 테스트 단계를 진행하게 되었답니다. 여러분이 하신 테스트의 결과를 수집하고 통계분석을 해서 타당성 있는 정보인권지수의 평가척도를 만들고자 합니다. 테스트를 하시면 결과로 점수가 제시되지만 말씀 드린 것 같이 평가척도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이므로 그 점수가 어떤 의미를 지녔다는 해설과 코멘트를 제시해 드릴 수는 없습니다. 많이 궁금하시겠지만 이 점 양해를 부탁드리구요. 통계 분석 후 평가척도가 마련한 후에 11월 중 정식으로 정보인권지수 홈페이지를 오픈 할 예정입니다. 그 때 테스트를 하신다면 본인의 정보인권감수성의 정도와 해설을 확인하실 수 있으시답니다. 정식 오픈을 기대해주시구요. 많은 참여가 정보인권지수의 평가척도를 더욱 엄밀하게 만드는 것이만큼 네티즌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릴게요.

ġ ϴ ൿ! Բϴ ùൿ ȸ ȳ

댓글 '30'

한울아비

2009.05.19 22:51:58

해봤는데 90점 나왔네요.. 이만하면 높게 나온건지..
자기가 받은 점수 정도가 어느정도 인지 평가도 해주고, 이런 표현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무슨 문제가 틀렸는지 그 이슈에 관한 해설이 결과가 같이 표시되면 좋겠네요.. 수고요..

애쉬

2009.05.19 22:51:58

한울아비님
먼저 테스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
이게 테스트 후의 평가척도 기준 마련을 위한 통계분석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테스트이다보니 결과 이후의 점수에 대한 해설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90점이라는 점수가 낮은것인지 ^^ 높은것인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지요. 그걸 알기 위해서 지금 베타테스트를 하고 있답니다. 결과를 모아서 11월에 정식 오픈을 하고 그 페이지에서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실 수 있으니 궁금하시더라도 조금만 참아주시길 부탁드릴게요.

크아

2009.05.19 22:51:58

쩝! 난 75점 나왔음.
한울아비님과 비교하면 형편없이 낮은데, 이를 어찌 봐야하는지...
거 있잖아요. 설문에 응답하면 대략 그사람의 인간관계, 연애운, 직장처세 등을 평 해주는 그런건 안되는지.

애쉬

2009.05.19 22:51:58

크아님
테스트에 참여해주셔서 감사 말씀 올리구요. ^^
이게 테스트 후의 평가척도 기준 마련을 위한 통계분석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테스트이다보니 결과 이후의 점수에 대한 해설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한울아비님에 비해서 낮은 점수가 나왔다고 형편없다고 하실 필요가 없답니다. ^^ 좋은 점수인지 낮은 점수인지 그걸 알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지금 베타테스트를 하고 있는 것이구요. 결과를 모아서 11월에 정식 오픈을 하고 그 페이지에서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실 수 있으니 궁금하시더라도 조금만 참아주세요.

신비

2009.05.19 22:51:58

담당자의 답변이 없어서 제가 대신 올려봅니다.
이 '베타테스트'는 최종적으로 점수대별 평가내용을 확정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것이랍니다.
베타테스트가 끝나고 분석이 완료되면
말씀하신 그런 평가내용과 참고자료 등등이 점수대별로 상세하게 뜨게 됩니다.
이 글이 그런 정황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추가로 잘 설명이 되면 좋겠군요.

CC

2009.05.19 22:51:58

본문에 점수의 의미를 알려 줄 수 없다고 설명이 잘 나와 있는데 아래 리플들 때문에 수정된건가요?
이상하네요...
어쨌든 진지하게 답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애쉬

2009.05.19 22:51:58

리플을 보고 본문을 수정했답니다.
cc님
관심과 테스트 참여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0^

박경숙

2009.05.19 22:51:58

75점 나왔습니다 ㅋ
답이 중복체크가 안되서... 모두 해당되는것도 있었는데 ^^;;

애쉬

2009.05.19 22:51:58

박경숙님
테스트 참여 고맙습니다. ^^ 사실 그런 것도 있는데, 만드면서 정말 정말 고민 많이 했는데.. 문항이라는 형식에 담다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에휴..

2009.05.19 22:51:58

앙 90 점입니다, 이 분야 활동가인데도 100 점이 아니네요. 너무 어려운거 아닌가요

곰탱

2009.05.19 22:51:58

저두 이분야 활동가인데.. 80점 나왔어요. 흑.

애쉬

2009.05.19 22:51:58

엉님
저도 이분야 활동가이지만 ㅋㅋㅋ 100점이 안나왔답니다.
가치판단이 들어가니까요.
그런 부분들을 최대한 고려하려고 했지만 문항이라는 그릇으로 담아 지수로 제시하려고 하니 한계가 있더군요. 아무튼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신비

2009.05.19 22:51:58

'이 분야 활동가'라고 해도 가치판단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점수를 지수로 전환시킬때 그런 폭을 고려하게 되겠지요. 아닌가? ^^

크억

2009.05.19 22:51:58

65점 나왔네요^^;;
정보인권에는 나름대로 자신이 있었던지라... 고점수를 예상했었는데.
좀 개방적이라고 해야하나요?^^;; 하하하;;;
ㅜ.ㅜ 죄송합니다(__)

애쉬

2009.05.19 22:51:58

크억님
아유, 뭘 죄송하다고 하세요.
위에 나와 있는대로 이 테스트는 테스트 후의 평가척도 기준 마련을 위한 통계분석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테스트이다보니 결과 이후의 점수에 대한 해설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65점이라는 점수가 낮은것인지 ^^ 높은것인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지요. 그걸 알기 위해서 지금 베타테스트를 하고 있답니다. 결과를 모아서 11월에 정식 오픈을 하고 그 페이지에서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실 수 있으니 그 때 다시 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참여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ZF.

2009.05.19 22:51:58

저도 90점이;;;

애쉬

2009.05.19 22:51:58

앗, zf님
반가워요. 그리고 고마워요~

애이스

2009.05.19 22:51:58

헉! 전 겨우 65점 ㅠㅠ
뭐야? ㅠㅠㅠㅠㅠㅠ

애쉬

2009.05.19 22:51:58

애이스님
엄청 반갑습니다.
겨우 65점이라고 생각 안하셔도 돼요. ^^ 이 테스트는 테스트 후의 평가척도 기준 마련을 위한 통계분석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테스트이다보니 결과 이후의 점수에 대한 해설이 생략되어 있습니다. 65점이라는 점수가 낮은것인지 ^^ 높은것인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구요. 결과를 모아서 11월에 정식 오픈을 하고 그 페이지에서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지유

2009.05.19 22:51:58

80점-_ㅠ

근데 점수산정 기준이 뭔지 안나와있어서 아쉽네요.

애쉬

2009.05.19 22:51:58

지유님
참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점수 산정 기준이라는게 한 문제당 점수가 얼마인지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정답의 기준이 뭔지 얘기하시는건지..만약 전자라면 5점씩이랍니다. ^^

KJ

2009.05.19 22:51:58

55점..

어떻하죠...

애쉬

2009.05.19 22:51:58

KJ님
걱정하실 필요 없으시구요 ^^
이 테스트는 테스트 후의 평가척도 기준 마련을 위한 통계분석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테스트입니다.따라서 55점이라는 점수가 낮은것인지 ^^ 높은것인지 알 수가 없는 상황이구요. 결과를 모아서 11월에 정식 오픈을 하고 그 페이지에서는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참여 고맙습니다.

나무

2009.05.19 22:51:58

히힛..너무 걱정 마세요~~ ^^;
현, 측정점수에 대한 의미와 설명은 11월 중 후반에 정식으로 정보인권지수를 발표할때..
알려드릴 것이랍니다. 55점 80점 등등의 점수를 시험의 성적표 처럼 느끼지는 마시구요..
테스트에 참여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불량감자

2009.05.19 22:51:58

75점이네요.
낮은 점수를 받아, 정보인권에 대한 생각이 부족한 것 같아 심히 걱정되네요.
ㅜ.ㅜ

애쉬

2009.05.19 22:51:58

불량감자님
75점이 낮은 점수인지는 지금으로써는 모른답니다. ^^
이 테스트는 테스트 후의 평가척도 기준 마련을 위해서 필요한 통계분석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테스트입니다.그래서 75점이라는 점수가 낮은것인지 높은것인지 알 수가 없구요.
학교 다닐때 성적표 기준으로 생각하시면서 걱정 안하셔두 된답니다.
통계 후에 결과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나와있는 해설이 페이지가 공개 오픈될 예정이니 그 때 한 번 다시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참여에 감사합니다.

ㅇㅇ

2009.05.19 22:51:58

전 70점 나왔습니다.
인권에 대한 공부를 더 많이 해야겠습니다

애쉬

2009.05.19 22:51:58

ㅇㅇ님
먼저 참여해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지금의 점수를 학교에서 받는 성적표처럼 생각하지는 마시구요. 이 점수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기 위해서 통계분석을 하려고 하고 있구요. 그 분석에 필요한 샘플 수집을 하기 위한 테스트랍니다.
베타테스트가 끝나고 정식으로 홈페이지를 오픈하면 각각의 점수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해설이 같이 나가니까 그 때 다시 해보시면 더 명확한 의미를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장동준

2009.05.19 22:51:58

전 60점 나왔습니다
너무 저조한데?.....

참가자

2009.05.19 22:51:58

사실 제가 실제로 하는 행동보다는 해야된다고 생각하는 행동 쪽으로 답을 체크하다 보니 점수가 높게 나왔네요. (95) 사실 보기 중에 답이 없는 경우도 있었는데 그냥 그 중에서 하나 체크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정부의 특수고용노동자 대책 발표에 대한 시민행동 성명 성명/논평/보도자료

지난 25일 정부는 산재보험법, 공정거래법, 약관법 등에 의한 특수고용 노동자 보호 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이번 발표는 특수고용 노동자를 일괄적으로 '영세 자영업자'로 분류하여 경제법적 보호방안만을 담고 있을 뿐, 가장 중요한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자성'과 '노동법' 적용 여부에 대한 내용은 제외되어 있습니다. 이에 시민행동은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

  • 시민행동
  • 조회 수 2891
  • 2006-10-31

공공기관 허위출장 근절방안 청렴위에 제안 성명/논평/보도자료

공익제보자모임과 시민행동은 청렴위에 현행 공무원여비규정의 문제점 개선 등 만연한 공공기관 허위출장 비리를 근절할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면서 청렴위가 이 개선방안 실현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과 8월 22일 제33회 밑빠진독상을 받은 건설기술연구원 출장비리 문제에 대해 보다 철저하고 신속하게 조치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 시민단체...

  • 시민행동
  • 조회 수 3465
  • 2006-10-25

국민의 개인정보를 팔아 한미 FTA를 체결할 수는 없다. 성명/논평/보도자료

한미 FTA 협상과 관련하여 미국은 금융 분야에서 고객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글로벌 모델의 허용을 주장했었는데(미-한재계회의/주한미국상공회의소, 12P), 그 자세한 내용이 23일 언론을 통하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개인과 기관 등 한국 금융소비자의 개인 신용정보를 미국 본사 또는 자회사(자산운용사 등), 관계사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 달라"(연합뉴스)라는 것입...

  • 시민행동
  • 조회 수 4531
  • 2006-10-24

2006-09-29 경희대 NGO대학원님들. 만남과 사귐

뒤늦게, 무려 한달만에 올리는 사진입니다. 지난 9월 29일 저녁, 경희대 NGO대학원 학생회에서 한일 시민사회 탐방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민행동엘 방문했었습니다. 국내 단체중 시민행동만이 유일하게 선택받았다는 데에 너무 감동했다지요. 스무분 정도 오신다고 해서 무척 긴장했었는데 추석을 앞둔 때라 네분으로 급감! ^^ 두시간 정도 둘러앉아 이야기를 나누는데 많이 공감해...

  • CAN
  • 조회 수 1367
  • 2006-10-24

정보인권지수 베타테스트에 참여하세요. [30] 성명/논평/보도자료

최근 한국에서는 정보인권이라고 표현되는 권리 의식에 대한 관심과 필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보소통과정에서 인간이 당연히 향유해야 할 권리를 정보인권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한 것이지요. 놀라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정보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영역과 면적을 가공할만큼 넓히고 향상시켜주었습니다. 기술이 진보한만큼 그 혜택을 누리게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그...

  • 시민행동
  • 조회 수 3359
  • 2006-10-18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