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이란 인생을 살면서 정치에 대해서 길게 생각해본 적은 없습니다.
정치에 대한 생각이 드는 건 가끔 보게 되는 정치관련 멀티미디어(라고 해봤자 영화와 만화)가 전부였고
선거때 마다 집안의 고정행사였던 "누굴 찍어야 좋을까" 밤샘토론 뿐이었습니다.

그런 차에 우연하게 반강제로 듣게 된 이번 강좌는 정치가 먼 곳의 다른 사람의 이야기가 아닌 내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우리 이야기란 느낌을 갖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1강을 멋지게 만들어주신 하승우 선생님.
1강은 역사와 공동체속에서 정치이야기를 절묘하게 엮여주셨습니다. 3.1운동이나 과거 지역공동체속에서 펼쳐졌던 이야기들이 흥미진진하게 다가왔습니다. 특히 독립운동기간에 펼쳐졌었던 촛불집회의 원형인 "횃불집회"같은 이야기는 쉽게 생활정치가 무엇이고 어떤 형태로 진행해왔는 지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시민학교의 신비는 실시간으로 트윗을 통해 강좌를 생중계했고 이후 3번의 강좌 모두 트위터를 통해 실시간 공개했습니다.

2강은 과천 시의회 의원으로 재직중이며 현재 유일한 풀뿌리 시민의원인 서형원의원이 "풀뿌리 정치 현장 이야기"를 실제 본인이 체험한 이야기들로 채워주셨습니다. 실제 선거에 나가서 어떻게 소통했으며 시민들이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놀라운 사례들이 나왔습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도 선거에 나가면 저렇게 해봐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을 정도로 좋은 정책과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에 대해 재미지게 말씀해주셨습니다.

3강을 진행중이신 이기호 교수님.
1~2강이 국내정치의 모습이었다면 3강은 해외(딱 집어말하면 일본)의 생활정치 사례를 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이기호 한신대 교수님의 차분하면서 팩트있는 내용에 촬영을 하는 내내 고개를 끄덕이는 자신을 볼 수 있었습니다. 사례로 나왔던 "생협 조합원들이 오랜 시간 만들어온 생활정치의 모습"에서 우리도 저런 일들을 펼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램 또는 목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빠르게 변화시키기 보다는 토양부터 만들어가는 그네들의 모습에서 우리판이 가지고 있어야 할 연속성과 지속가능성의 힌트를 찾았습니다.

나종석 연세대 교수님이 삶과 정치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말씀하시는 모습.트윗으로 실시간 강좌 중계중......
아쉽다는 생각도 들지 않을만큼 금방 다가온 마지막 4강 '정치적인 것'과 인간생활 이란 주제로 나종석 연세대 교수님이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정치적인 것이 무엇인가, 정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셔서 '공동체 구성원과 공동체로서 정치'와 다양한 역사적 인물들이 제시하고 논했던 '개념과 주의'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저는 점점 위축되어갔습니다.

마지막 강의를 통해 전체 강좌에 대한 내용이 머리속에서 정리가 되면서 지난 세월동안 내 자신이 어떤 의미로 정치를 생각하고 있었고 정치에 대한 절반쯤의 포기상태로 있었다는 것에 자책과 후회를 했기 때문입니다.

숨막히는 답답하게 느껴졌던 정치, 정책과 사람이 아닌 당을 보고 뽑는 시대에 실망했던 본인에게 작은 빛을 안겨준 4분의 선생님께 이 글을 통해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짧은 후기를 마칠까 합니다.



P.S 또다른 후기가 궁금하시다면 성미산마을 뉴스레터(클릭!) 해보세요~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예고편] SNS를 통해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드러날 수 있다면.. [1] [1] 소셜네트워크와우리

다음 주 수요일이면 드디어 연속세미나 [소셜 네트워크와 우리]가 시작됩니다. 이 세미나의 예고편이랄까요? 지난 13일에 열었던 좌담회, "소셜 네트워크의 사회적 의미" 에서 나누었던 이야기를 영상과 글로 조금 간추려 보았어요. 좌담회에 함께 하신 분들 이날 좌담회는 연속세미나 강사 여러분, 함께하는 시민행동 상근/자원활동가, 그리고 트위터를 통해 참가신청하신 분들까지 모...

  • CAN
  • 조회 수 10526
  • 2009-10-23

좌담회 첫 후기가 나왔네요. 블로터닷넷 기사입니다. 소셜네트워크와우리

SNS는 시민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까 (클릭하시면 블로터닷넷으로 이동합니다) 읽어보니 역시 기자는 기자(!)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참석하신 분들, 또 관심있으신 분들 함께 보시고 의견 나누면 좋겠네요. 기사로 정리하느라 애쓰신 이희욱 님 감사드려요. 시민학교발 후기도 곧 올리겠어요. 참석자분들의 간단 후기도 기다리겠습니다 ^^ 그리고 무엇보다도, 연속세미나 주변에 ...

  • CAN
  • 조회 수 2362
  • 2009-10-16

사진으로 보는 [소셜네트워크의 사회적 의미] 좌담회 풍경 소셜네트워크와우리

어제 [소셜네트워크의 사회적 의미] 좌담회가 참여자들의 열띤 이야기속에 즐겁게 열렸습니다. 끝나고 곰곰 돌이켜보니 참여자들의 면면이 참 어디서 보기 힘든 조합이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연속세미나 [소셜네트워크와 우리] 를 진행하실 강사 여러분, 시민행동 포함 시민운동가들, 트위터와 웹2.0세상을 즐겁게 살고 계시는 '소'시민.. 이런 분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소셜 네트워...

  • CAN
  • 조회 수 5227
  • 2009-10-14

[대화] 소셜네트워크와 우리에 관한 이야기, 여기서 나누어요. [1] 소셜네트워크와우리

2009년 10월 13일 좌담회를 시작으로 연속세미나 [소셜네트워크와 우리]가 출발합니다. 세미나가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관련 이야기와 의견을 이곳에서 나누어갔으면 합니다. 영상과 기타 자료 등이 이곳을 통해 계속 업데이트 될 것입니다. 소셜네트워크의 사회적 의미, 새로운 사회운동의 가능성에 관한 여러분의 덧글과 트랙백 모두 환영합니다. 트위터) 해쉬...

  • CAN
  • 조회 수 5208
  • 2009-10-1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