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_GM_small.jpg   

 
 
arrow_draft1.gif
 
 
2015년 시민행동은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조직 및 사업을 전반적으로 축소하여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축소된 조직에 맞게 사업을 집중하고 그 활동들을 통해 새롭게 네트워크를 형성해왔습니다. 2017년은 그 노력들이 조금씩 성과로 되돌아오기 시작하는 한 해였다고 생각됩니다. 예산 및 정책 분야에서 사업들이 다양화, 활성화되면서 회원 및 네트워크 확대로 이어졌습니다. 회원 확대와 일상적 모금활동 등도 목표를 달성하였습니다.
 
다만 기업 및 정보인권 분야는 새로운 사업 발굴 및 인적 역량이 충분하지 못해 아직 정체 상태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또한 사무처의 인적 한계로 인해 홍보 및 회원 커뮤니케이션 등이 많이 미흡한 상황입니다. 이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 이후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plus.gif 조직 분야
 
 page_3.jpg
(2017년 창립기념행사 모습)
 
 회원 및 재정 측면에서 조직의 정상화 추세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신규 회비약정 50만원 확보를 목표로 한 회원확대 계획의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특히 사업 과정에서 만난 지역의 활동가들, 시민들이 회원으로 가입한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회원의 회비납부 관리 소홀로 인해 회비납부율은 다소 감소했습니다. 
 
 전현직 임원,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2천만원 규모의 특별모금을 달성하는 등 후원 규모가 확대되었습니다. 또한 장기차입금 및 미지급 비용 일부 청산을 통해 1천2백만원 정도의 부채가 줄어드는 등 재정이 건전화되고 있습니다. 
 
 조직 및 사업의 점진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사무처 규모는 오히려 감소하였습니다. 상근 역량의 감소로 인해 홍보 및 회원 커뮤니케이션 측면의 활동이 미흡한 상황입니다. 특히 소셜모금 추진, 웹사이트 개편 등 온라인을 통한 홍보, 모금 활동이 취약합니다. 
 
 
plus.gif 예산 감시 및 참여예산 분야
 
page_4.jpg
 
밑빠진 독상 재개: 진주시 음식쓰레기폐기물처리시설을 대상으로 한 시범 시상과 함께 밑빠진 독상을 재개했습니다. 지방자치 시대에 지역 예산감시 수요에 부응하고 지역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2018년에는 선정위원회 구성 등 선정 과정을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팟캐스트 예정만세: 2017년에는 총 12회의 방송을 송출했으며 회당 평균 112회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기성이 부족하고 하반기 송출 회수가 급감해서 안정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예산 및 참여예산 교육: 각 지역에서 주최하는 참여예산 혹은 예산감시 교육을 50회 이상 실시했습니다. 매 교육마다 평균 15~30명의 지역 주민들이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서울시 생활속민주주의지원센터가 후원하는 마을활동가 예산교육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지역에서 새로 성장하고 있는 활동가들과 연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국회개혁 연대활동: 뉴스타파, 세금도둑을 잡아라, 정보공개센터 등과 연대하여 의원 정책개발비의 문제점을 밝혀내고 감시 사각지대인 국회의 무책임한 운영 실태를 드러냈습니다. 
 
 
plus.gif 사회 현안 및 정책 분야
 
함께하는 시민포럼: 시민운동의 방향 및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담아냈습니다. 3회에 걸친 창립기념 포럼을 통해 변화된 환경에서의 시민운동에 관한 시민행동의 문제의식, 그리고 시민행동의 조직적, 운동적 역량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연말에는 2018년 예산안에 대해 연속 토론을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안전 분야: 주로 안전넷, 유해화학물질 세미나 등 연대활동을 통해 대선 과정에서 안전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환기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시민행동의 네트워크 또한 확장되었습니다. 그러나 자체 사업인 생활안전 사업은 잘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대선 대응: 조기대선 시기에 차기 정부의 방향을 제언하는 임원진들의 칼럼을 연재하였으며, 정보인권과 안전 분야에서 연대활동을 통해 공약 제안 활동을 펼쳤습니다.
 
나루 텃밭모임: 텃밭모임이 시작된지 3년 만에 대도시 지역에서의 시민 참여 모델로서 의미있는 사례를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주거권 세미나를 비롯한 다양한 활동이 생겨나고 있으며 회원 확대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page_5.jpg
 
 
plus.gif 기업사회책임, 정보인권 및 시민교육 분야
 
시민교육용 보드게임 개발: 위해 하반기부터 청년 그룹인 ‘지금여기에’와 함께 보드게임 개발을 위해 정기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당초 생각한 정치 보드게임은 아직 개발을 못하고 있으나 보드게임을 통한 사회참여, 시민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정보인권: 주로 소비자단체들과 연대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4차산업혁명 연속토론회, 개인정보 열람청구권 보장 실태조사 등을 통해 새로운 이슈들을 제기했으며, 대선 시기에도 소비자단체들과 함께 공약 평가 및 정책 제안 활동에 참여했습니다. 다만 독자적 사업 수행 역량이 부족하여 연대 사업으로만 진행되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기업사회책임: 기업의 유해화학물질 정보공개를 위한 세미나에 참여해왔습니다. 가시적인 성과는 많지 않지만 향후 활동에 많은 함의가 담긴 과정이었습니다.   
 

 평가 상세 자료 

 

 

arrow360.jpgarrow90.jpg

 
 
vote_intro2018.jpg
 

 

ġ ϴ ൿ! Բϴ ùൿ ȸ ȳ

댓글 '11'

회원 1

2018.03.07 00:59:13

늘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고생하셨습니다.

회원 2

2018.03.07 01:02:23

기업 및 정보인권 분야의 확대 희망

회원 3

2018.03.07 01:03:09

고생하셨습니다.

회원 4

2018.03.07 01:08:03

좀더 친근하게 다가와 주었으면 좋겠어요 소식도 소식이지만 참여자로서 더 활동하거나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으면 좋겠네요 다들 긍정적인 생각으로 참여한것일테니까요

회원 6

2018.03.07 01:09:47

국정변화가 많았던만큼 예산사업에 자원이 집중될수밖에 없던부분 이해하며, 새로운 사업발굴과 기업/정보인권 쪽으로 균형있게 활동을 끌고가는 것을 올해 목표로 삼으면 좋을것같습니다

회원 7

2018.03.07 01:11:02

고생하셨습니다.

회원 8

2018.03.07 01:13:12

감사합니다!

회원 10

2018.03.07 01:16:57

수고하셨습니다.

회원 11

2018.03.07 01:18:52

고생하셨습니다 ㅜ

회원 12

2018.03.07 01:23:00

응원하겠습니다

회원 13

2018.03.07 01:23:30

고생하셨습니다 

List of Articles

총회를 마무리하며 [4] 2011회원총회

2011년 회원총회가 2월 21일 부터 2월 28일(월)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578명의 의결권을 갖고 계신 회원 분중 299명이 총회에 참여해주셨습니다. (총회 결과를 보시려면 ☞ 여기로) 각 안건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주셨는데, 따끔한 비판도 있었습니다. 특히, 운영위원 보선(임기가 1년입니다.)과 관련해서 후보자 분들의 포부와 비전을 제대로 알려드리지 못한 불찰이 있어...

  • CAN
  • 조회 수 6274
  • 2011-03-02

2011년 회원총회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3] 2011회원총회

2011년 회원총회가 지난 2월 28일(월) 회원 여러분의 참여로 무사히 끝났습니다. 정족수를 채우기 위해 28일에는 100여분 이상의 회원들께 전화를 드리고 거의 한 시간에 한 번 꼴로 투표와 위임을 부탁드리는 문자를 보내드렸습니다. 스팸처럼 쏟아지는 문자메시지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신 회원들도 계실텐데요. 죄송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요. 지켜봐주시고 참여해주신 모든 회원...

  • CAN
  • 조회 수 8508
  • 2011-03-02

회원총회 이벤트 - 매일 열 다섯 분께 페어라이프 가이드북을 보내드려요 [1] [4] 2011회원총회

2011년 함께하는 시민행동 회원총회 특별 이벤트! 투표에 참여해주신 회원 중 매일 열 다섯 분을 추첨하여 페어라이프 가이드북을 보내드립니다. 페어라이프 가이드북은 대안적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목차 제1장 공정하고 착한 삶을 만드는 17가지 생활습관 제2장 Fair Life란? 제3장 Fair Life 시작하기 제4장 Fair Life Map 제5장 나만의 Fai...

  • CAN
  • 조회 수 8201
  • 2011-02-23

온라인 총회란 무엇일까요? [82] 2011회원총회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2001년 회원총회부터 매년 정기총회를 온라인 총회로 개최해왔습니다. 수백 수천 명의 회원들이 특정한 날 특정한 장소에 모이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웹사이트를 통해 안건을 공개하고 이메일 등으로 투표를 진행하여 회원의 의결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온라인 총회를 도입하였습니다. 회원은 물론, 의결권을 선택하지 않은 후원회원이나 사정상 ...

  • CAN
  • 조회 수 5516
  • 2011-02-21

[안건 6-재정계획] 2011년, 누적 부채를 해소하고 재정 자립을 실현하겠습니다. [14] [80] 2011회원총회

2011년 시민행동 재정의 목표는 네트워크 단위들의 완전한 독립채산과 재정자립, 그리고 지난 시기 누적된 부채와 미지급의 청산으로 요약됩니다. 2011년 시민행동은 총 3억1천만원의 지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무처 상근활동가들의 인건비로 약 1억8천만원을, 경상비로 약 6천만원을, 그리고 사업비로 약 7천만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지난 해보다 약 2천만원 정도 감소한 규모...

  • CAN
  • 조회 수 5763
  • 2011-02-21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