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는

199112월 소비에트 연방이 와해되고 우크라이나는 민주주의 노선을 밟게 된다. 하지만 민주주의를 향한 길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2004년 대통령 부정선거가 원인이 된 오렌지 혁명, 2013년 유로마이단 사건, 2014년 친러 성향 반군과의 돈바스 내전과 크림반도 위기와 같은 크고 작은 사건들이 있었고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20195, 우크라이나 국민이 진정으로 민주주의를 원하고 있다는 목소리는 바로 투표를 통해 드러났다. 당시 우크라이나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던인민의 종(Servant of the People’이라는 드라마에서 주인공으로 출연했던 코미디언블라디미르 젤렌스키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것이다. 그는 극 중 대통령 역할로 우크라이나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 역할을 했다. 블라디미르를 대통령으로 선출한 일은 시민들의 일종의 거대한 항의였다.

 

키예프 주의 참여예산제도

키예프 주의 참여예산제는 우크라이나 중앙 정부의분권화 정책 시행의 일환으로 도입되었으며 주민들의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위해 진행되었다. 우크라이나의 수도이자 키예프 주의 주도인 키예프 시는 20169월 처음으로 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로부터 약 3년 뒤인 20197, 참여예산제도 총 2회가 마무리되었고, 2번째 참여예산 때엔 시민의 약 4.5%가 투표에 참여했다. 다음은 우크라이나 키예프 시에서 시행한 참여예산제로 성공한 프로젝트의 수, 예산액 그리고 가장 성공적인 3개의 범주를 나타낸 표이다.

 

<2> 키예프 시 참여예산제 3개년 현황

 

2017

2018

2019

최종 선정된 프로젝트 수

62

141

341

프로젝트에 투입된 예산 총액

 

(우크라이나 화폐단위, 흐리브냐)

49,996,027

149,171,200

149,824,056

최종 선정된 프로젝트 상위 3

교육, 스포츠, 환경

교육, 스포츠, 그리고 문화관광

교육, 시민사회, 스포츠

출처: The “Community budget” platform (www.researchgate.net)

 

 

키예프 주의 지역예산위원회에 속해 있던 한 위원은 키예프 주의 참여예산제도 도입으로 시민 사회의 역량이 증가되었으며, 사회적 기업들의 참여를 견인했다고 말했다. 게다가 참여예산제도가 시민의 자질을 길러주는 일종의 학교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하였다. 실제로 홈페이지와 SNS(페이스북)를 통해 참여예산제도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으며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공간이 개설되어 있다.

 

온라인 플랫폼(https://gb.kyivcity.gov.ua/)에서 키예프 시의 참여예산제의 진행 상황을 살펴볼 수 있으며, 키예프 시민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제안할 수 있다. 제안된 프로젝트에는 제안한 이유, 예상되는 예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프로젝트 실행 시 주의할 점 등을 기재하게 되어 있다. 이때 시민들은 자유롭게 프로젝트의 하단에 자신의 코멘트를 남길 수 있으며 프로젝트 제안자는 자신의 페이스북 아이디로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남기기도 한다.

 

키예프 시 당국은 플랫폼을 통해 받은 프로젝트를 심의한 뒤 프로젝트 제안자에게 통과유무를 심사이유와 조언을 함께 첨부해 통보한다. 심의에 통과한 프로젝트들은 전체 공개 전자 투표로 부쳐진다. 전자 투표의 경우 투표자를 신뢰할 수 있도록 전자메일이나 SNS의 프로필이 아닌공인인증서통신사 계정등을 사용하여 식별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득표수에 따라 프로젝트는 등급이 부여되며 시 당국은 프로젝트 시행을 위해 예산 투입과 해당 분야 전문가(코치) 파견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202129일 현재, 키예프에서는 3월 중순까지 2021년의 시민들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공모하는 중이다.

 

본 연재의 PDF 파일: https://drive.google.com/file/d/13SP4-ALMYHcqdadSwPlhZ0fC8oy7JQif/view?usp=sharing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이도협 인턴과 함께하는 시민행동에 있습니다.

 

참고자료

Participatory budgeting school of Kiev city government

Dmytro Khutkyy(2019),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Impact Evaluation of Participatory Budgeting in Ukraine

Participatory budgeting in Ukraine - Democracy Reporting International

Participatory budgeting in Eastern Europe – integration for development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제1화] 주민이 공기업의 이사가 되는 상상 – 금천구 시설관리공단 사례/이도협 인턴 캠페인 now!

금천구 시설관리공단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서울시 금천구청장)이 지정한 시설과 사업을 운영 및 관리하는 금천구시설관리공단은 금천구의 발전과 주민 복리 증진에 기여를 목적으로 2004년 10월 설립되었다. 현재 공단은 독서실, 체육센터, 축구장, 주차장 그리고 현수막 게시대까지 주민의 삶과 밀접한 시설들을 운영하는 만큼 공단의 경영에 있어 주민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

  • 정희주
  • 조회 수 3556
  • 2021-03-10

감성충만예산학교 메뉴얼북 발간!! [1] 캠페인 now!

함께하는시민행동은 청년참여예산네트워크와 함께 서울시NPO참여예산의 지원으로 오감만족예산학교를 진행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교육으로 기획한 교육 과정이 전면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지만, 시민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예산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끝까지 함께 해준 분들 덕분에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함께하는시민행동은 창립 이후 시민들이 ...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4718
  • 2020-12-08

생활 속 예산낭비 탐사 프로젝트 "이게 머니?"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캠페인 now!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오늘 10월 25일(금), 온라인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예산감시 운동을 실험해보기 위해, 생활 속 예산낭비 탐사 프로젝트 "이게 머니?"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공감하기 어려운 조형물, 돈 잡아먹는 건물, 이해하기 어려운 행사 등등 일상을 살면서 마주치는 다양한 예산낭비의 순간들을 촬영한 시민들의 사진을 모으고, 가장 많은 공감을 얻은 사례들을 골라 ...

  • CAN
  • 조회 수 642
  • 2019-10-25

서울시 자치구 참여예산 운영계획 모니터링 공유회 후기 캠페인 now!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민참여예산제를 비롯해 서울시의 다양한 시민참여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의 지원으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에서는 서울시와 자치구에서 참여예산과 협치, 민주시민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청년들과 함께 합니다. 지난...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1814
  • 2019-10-22

<풀뿌리 운동, 새로운 복원> 이호 더이음 공동대표 강의 후기 [1] 캠페인 now!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민참여예산제를 비롯해 서울시의 다양한 시민참여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의 지원으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에서는 서울시와 자치구에서 참여예산과 협치, 민주시민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청년들과 함께 합니다. 지난...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1308
  • 2019-07-2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