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기관 낙하산 임원의 기부·후원 예산 사익 추구 비리 구체적으로 드러나

- 모교, 취미 활동, 친구 및 자신의 출마 지역구, 대표로 있던 단체 등에 셀프 기부확인

- 기부금 사적 사용 및 오남용 막는 공공기관 내부 통제 시스템 전무

-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 조사 대상은 국토교통부 등 정부 3개 부처 산하 73개 공공기관

- 환수 등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시급

 

1. 세금도둑잡아라(공동대표 이영선,이상선,하승수),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공동대표 김유승,권혜진), ‘함께하는시민행동(공동대표 김주일, 김태일, 유수훈) 등 시민단체 3곳은 202171일 오전 11, 감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개 단체와 협업 중인 뉴스타파의 최근 보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된 공공기관·공기업 낙하산 임원들의 기부·후원금 예산의 오·남용 비위와 관련, 사적 이해관계에 의해 기부.후원금 예산이 사용되는 것을 막을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를 했습니다. 공익감사청구의 대상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3개 부처의 소속 공공기관·공기업 73곳입니다.

 

2. 세금도둑잡아라 등 3개 시민단체는 지난 6개월 동안 독립언론 뉴스타파와 함께, 공공부문 개혁의 일환으로 [프로젝트, 낙하산이 쏜다] 진행하고 있습니다. 3개 시민단체와 뉴스타파는 지난해 11,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 3곳의 산하 공공기관·공기업 73곳의 5년 치 (2015~2019) 기부·후원예산 세부 집행내역의 정보공개를 청구해 1차 검증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공공기관 350곳 가운데 20%에 해당합니다.

 

3. 네 단체의 협업을 통한 검증 결과, 전문성과는 무관하게 정권의 연줄을 타고 공공기관의 사장, 이사장, 상임감사 등 최고위 요직을 차지한 낙하산 인사들이 자신의 직위와 권한을 남용해 기관의 기부·후원 예산을 오·남용하고 사익을 추구하는 등의 부정을 저지르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했습니다.

 

4. 그 수법은 다양했습니다. 자신이 국회의원으로 출마할 지역에 수천만 원의 기부·후원금을 뿌리며 사실상 사전 선거 운동을 벌이고 본인이 설립해 대표, 회장으로 있던 특정 단체에 예산을 몰아주고 사장의 모교는 물론 사장의 개인 취미 활동(바둑 동호인 대회)에도 특정 정치인의 싱크탱크에도 고교 동창 친구인 국회의원의 지역구에도 수억 원의 기부·후원금이 사용됐습니다. 4개 단체가 조사와 보도를 통해 확인한 오남용 예산은 지금까지 98675만 원에 이릅니다.

 

기관명

낙하산 인사

·남용 예산액

예산 오·남용 내용

한국광물자원공사

홍표근(상임감사)

3천만 원

본인 총선 출마 지역구 단체 10곳에 기부

한국농어촌공사

이상무(사장)

5375만 원

사장 본인이 설립하고 대표로 있던 특정 단체 4곳에 기부

한국농어촌공사

최규성(사장)

1천만 원

사장 개인 취미인 바둑 동호인 대회에 기부

한국감정원

(현 한국부동산원)

서종대(원장)

5천만 원

원장의 모교에 기부

한국남동발전

최상화(상임감사)

800만 원

상임감사가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에 기부

한국서부발전

박대성(상임감사)

500만 원

특수관계인 특정 정치인의 싱크탱크에 기부

한국국토정보공사

류근태(상임감사)

38천만 원

자신의 고교 동창인 전 국회의원의 지역구에 기부

공공기관 낙하산 임원이 오·남용한 사실이 확인된 기부·후원 예산 일람 (2015~2019)

 

5. 이번 공공기관 기부·후원 예산의 검증 과정에서 일부 공기업은 예산 공개를 거부하거나 부실하게 공개했습니다. 이 때문에 예산이 제대로 쓰였는지 검증할 수 없었습니다. 대표적인 게 인천국제공항공사(이하 인국공)’입니다. 인국공은 지난 5년간 (2015~2019) 694억 원을 썼는데, 국토교통부 소관 공기업 중 가장 많습니다. 따라서 오·남용된 공공기관 기부·후원 예산의 규모는 4개 단체가 확인된 것보다 훨씬 더 막대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감사원 차원의 대대적인 조사가 반드시 이뤄질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하는 이유입니다.

 

6. 또한 이번 조사를 통해, 개별 공공기관의 제도 정비는 물론,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외·취약 계층을 지원해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공적 부조 성격의 공공기관의 기부·후원금 예산이 취지와 본래 목적에서 벗어나, 엉뚱하게도 낙하산 임원들의 사익 추구에 악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드러났는데도,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 이를 차단할 내부 규정 자체가 없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기부 예산의 경우, ‘공공재정 환수법의 적용 대상도 아닙니다 따라서 잘못 쓰인 예산을 적발하더라도 환수할 제도적인 장치가 전무한 상황입니다.

 

7. 시민단체 3곳과 뉴스타파는 앞으로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4개 부처의 산하 공공기관 114곳을 대상으로 2차 검증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인천국제공항공사와 같이 자료를 감추는 공공기관에 대해선 정보공개 행정소송을 벌여 끝까지 자료를 받아 낼 방침입니다.

 

8. 대선이 25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모든 정권은 낙하산을 뿌리 뽑지 못했습니다. 다음 정권을 누가 잡든, 낙하산 인사들이 공공 예산을 허투루 쓰게 해선 안 됩니다. 세금도둑잡아라 등 3개 단체와 뉴스타파가 낙하산과 공기업 기부 예산의 관계를 계속 추적하는 이유입니다. (

보도자료 원문과 감사청구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action@action.or.kr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각 부서 사전 검토 분석 결과 성명/논평/보도자료

함께하는 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지난 8월 시민참여예산 청년 모니터링단(이하 ‘청년 모니터링단’)과 함께 서울시 총 8개 분과의 최근 3년간(2017~2019) 시민참여예산 심사자료를 대상으로 두 달간 모니터링단 활동을 진행하였다. 접수된 시민제안사업에 전체 부적격 판단 내린 부서들 확인 경제일자리와 문화관광 분과에서는 부서별로 시민제안사업 수 대비 ...

  • 정희주
  • 조회 수 5486
  • 2020-11-26

국회의원 예산 사기 관련 고발,피고발 사건에 대해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신청에 응답하라 성명/논평/보도자료

(연합뉴스 사진을 인용하였습니다) 1. 세금도둑잡아라, 좋은예산센터,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와 유동수 의원실 전 인턴비서 A씨는 국회의원들의 예산사기 관련 고발.피고발 사건들에 대해 7월 28일 오전 11시 서울남부지검에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소집신청서를 제출합니다. 20개월째 끌고 있는 국회의원들의 예산사기 고발건에 대해서는 기소처분을, 유동수 의원실이 전 인턴비서A...

  • CAN
  • 조회 수 2437
  • 2020-07-28

"막무가내 지역개발 사업은 지역의 미래가 아니다!"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12월 17일(월) 오후 3시, 서울시 NPO 지원센터 '받다' 교육장에서 지역개발 사업에 대한 간담회 '막무가내 지역개발은 지역의 미래가 아니다'를 열었습니다. 이 날 간담회에는 최근 수원 화성의 관광상품인 '화성어차'의 노선을 동네 안으로 변경하려는 계획을 막아낸 행궁동 주민들의 사례를 듣고, 지역 개발에서 공공갈등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함...

  • CAN
  • 조회 수 1846
  • 2018-12-31

지방의원 특강 <하루에 마스터하는 지역개발사업 분석 방법론>을 진행했습니다. 성명/논평/보도자료

좋은예산센터는 2018년 10월 6일(토) 서울 배제학당역사박물관 3층 세미나실에서 지방의원을 위한 특별강좌 <하루에 마스터하는 지역개발사업 분석 방법론>를 열었습니다. 태풍이 지나가는 중에도 멀리 거제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온 지방의원들과 지역정치 활동가들, 시민단체 활동가들 열 다섯 분이 참여해서 종일 학구열을 불태웠습니다. 오전에 진행된 첫 강좌 <지역개발사업 법제...

  • CAN
  • 조회 수 3106
  • 2018-10-08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성명/논평/보도자료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에 대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연일 소득주도 성장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는데요. 과연 소득주도 성장은 무엇을 말하는지, 어떤 관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을 바라봐야 할지, 9월 7일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김태일 공동대표의 논문을 사무처에서 요약해봤습니다. 논문 전문은 첨부된 파일을 내려...

  • CAN
  • 조회 수 8605
  • 2018-09-07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