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자보.jpg

함께하는 시민행동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올해 생활속민주주의학습지원센터의 지원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시민참여예산 청년 모니터링단' 모집을 시작합니다!

 

"세상에 틀린 시민제안은 없다!, 내 제안은 늘 안된다할까? 왜 다 중복사업이라는걸까? 시민제안 사업이 떨어진 이유, 함께 알아보자!"

 

매해 3천 건이 넘은 시민제안사업이 있지만 알쏭달쏭한 이유로 부적격판정을 받아 실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함께하는 시민행동에서는 모니터링단 모집을 통해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에 제안된 부적격 사업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시민의 권한이 더욱 잘 보장되는 시민참여예산제도의 개선안을 모색해 보려고 합니다.

 

평소에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제도에 관심 있는 청년회원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모집기간 : 2020년 8월 10일까지

○ 모집인원 : 15명 내외, 선착순 마감

○ 활동기간 : 202년 8월 15일~10월 24일(교육, 워크숍, 모듬활동 진행)

○ 장소 : 함께하는시민행동(마포구 망원역 근처) 

○ 문의 : 김민철팀장(070-8260-7608)

○ 신청 :  bit.ly/참여예산청년

ġ ϴ ൿ! Բϴ ùൿ ȸ ȳ
List of Articles

4월 시민행동 회원 만남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128] 만남과 사귐

오랜만에 봄같은 날씨, 가끔이지만 그래도 점점 따뜻해지는 햇살에 봄이 무르익었음을 느끼게 됩니다. 제가 시민행동에 들어온 지도 벌써 반년을 넘어가고 있네요. 사무실에도 새로운 신입활동가 두 분이 들어오셔서 더욱 활기찬 분위기 입니다. 오늘은 시민행동 회원 분들과의 첫 만남을 시작하는 날! 윤원정 선생님이 계시는 무학여고 앞 해물찜 집에서 김지숙 선생님과 함께 ...

  • 무조건강공
  • 조회 수 12255
  • 2013-04-30

김세은 인턴활동가, 경희대-씨티 NGO 인턴십 최우수상 수상 [106] 자원활동 탐험기

지난 두 달간 경희대-씨티 NGO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시민행동에서 활동했던 김세은 님(이화여대 경제학과)이 그 프로그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답니다. 축하해주세요^^ 김세은 인턴활동가는 시민행동의 지속가능보고서를 만드는 일을 해주셨는데요. 사무처 상근활동가들이 많은 지원을 해주지 못했음에도, 홀로 열심히 보고서 작성에 최선을 다하셨답니다. 조만간 김세은 인턴활동가의 눈...

  • minik
  • 조회 수 13628
  • 2013-03-04

신입활동가 두 분을 소개합니다. [3] [2] 만남과 사귐

지난 10월부터 사무처에는 새로운 얼굴들이 수습활동가로 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3개월간의 가혹한(?) 수습 기간을 마치고 올 해부터 정식 활동가로 일하기 시작한 우경진, 김민철 두 신입활동가를 드디어 소개합니다!! 시민행동의 새로운 활력이 될 두 친구들의 인사와 각오를 들어보세요^^ 안녕하세요.!!! 2013년 1월 1일에 신입의 딱지를 떼고, 기획실에 발령받은 우경진 ...

  • CAN
  • 조회 수 5535
  • 2013-01-04

11월 회원의 밤 "토크파티 : 하승창의 희망캠프 뒷담화"에 초대합니다. [2] 만남과 사귐

무수한 말을 남겼던 서울시장 선거가 지난 주에 막을 내렸습니다. 박원순 시장의 출마, 안철수 원장의 사퇴, 선거 때의 온갖 루머, 사람들을 가슴졸이게 했던 TV 토론까지.. 언론으로 흘러나왔던 온갖 이야기들의 진실은 무엇이었을까요? 희망캠프는 어떻게 구성되고 어떻게 돌아갔던 걸까요? 내년 양대 선거는 어떻게 치러지고, 시민단체와 정치는 어떤 모습으로 얽혀가게 될까...

  • minik
  • 조회 수 4484
  • 2011-11-01

8월 회원의 밤, "Debtocracy(부채의 지배)" 상영회 - 8월 30일(화) 저녁 [3] 만남과 사귐

이번 8월 회원의 밤에는 그리스 금융위기를 다루는 영화 한 편을 함께 보려 합니다. 그리스는 계속되는 국가재정위기와 구조조정으로 심각한 상태입니다. 두 차례의 구제금융과 계속되는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사태는 좀처럼 진전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구제금융과 구조조정도 이를 막을 수 없었습니다. 길이 보이지 않습니다. 'Debtocracy(부채의 지배)'는 독특한 시각...

  • minik
  • 조회 수 6481
  • 2011-08-02

분류

전체 (2330)

최근 글

최근 덧글

일정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