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143
정보화정책 이슈 04-정책-16
2004. 12
2004 국제 정보화지수 분석 및 시사점
정책개발분석팀 김두현
정책개발분석팀 정현민
정책개발분석팀 김현진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II. EIU의 ‘인터넷 학습기반 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III. EIU의 ‘e-비즈니스 준비도 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IV. IMD의 ‘ 국가경쟁력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 한국전산원의 ‘국가정보화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I. 미국 브라운대학의 ‘전자정부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II. IDC의 ‘정보사회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III. UN의 ‘전자정부준비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IX. ITU의 ‘디지털접근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X. WEF의 ‘네트워크준비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XI. 결론
<표 차례>
<표1> 주요 국제 정보화지수 현황
<표2> 인터넷 학습기반지수 핵심역량(4 Cs)
<표3> 인터넷 학습기반지수 부문별 세부지표 및 가중치
<표4> 국가별 인터넷 학습기반 점수와 순위 (전체 60개국)
<표5> 국가별 세부 부문에 대한 점수와 순위 (상위 30개국)
<표6> 인터넷 학습기반의 부문별 우리나라 점수와 순위
<표7> e-비즈니스 준비도의 구성요소
<표8> 국가별 e-비즈니스 준비도 점수와 순위 (전체 64개국)
<표9> 국가별 세부 부문에 대한 점수와 순위 (상위 30개국)
<표10> 국가별 세부 부문에 대한 점수와 순위 (상위 30개국, 계속)
<표11> e-비즈니스 준비도의 부문별 우리나라 순위
<표12> 국가경쟁력지수의 구성요소
<표13> 전체 국가/지역별 경쟁력 순위
<표14> 인구 규모별 국가/지역 경쟁력 상위 10개국
<표15> 국가경쟁력의 부문별 우리나라 순위
<표16> 경제운영성과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17> 정부행정효율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18> 기업경영효율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19> 발전인프라구축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20> 국가정보화지수 구성 지표
<표21> 연도별 주요국가의 국가정보화지수
<표22> 연도별 주요국가의 국가정보화순위
<표23> 우리나라 조사 대상 웹사이트
<표24> 전자정부지수 측정을 위한 조사지표
<표25> 주요 국가별 전자정부 지수 및 순위 (‘03~’04)
<표26> 우리나라 정부 웹사이트의 세부 항목별 제공비율 및 순위 (‘03~’04)
<표27> 지수 순위 변동 폭이 큰 국가 (‘01~’04)
<표28> 정보사회지수 지표 구성
<표29> 2004 정보사회지수 국가별 순위비교 (상위 20개국)
<표30> 2004 정보사회지수 국가별 세부 순위
<표31> 부문별 지표 및 최상·하위 3개 국가 (2004)
<표32> 전자정부 준비지수의 구성
<표33> 주요 국가별 전자정부 준비지수 순위(‘02-’03)
<표34> 주요 국가별 전자정부 진화 단계별 구현 수준(‘03-’04)
<표35> 주요 국가별 정보통신 인프라 부문 순위
<표36> 디지털 접근지수의 구성
<표37> 디지털 접근지수의 산정방법
<표38> 디지털접근지수의 주요 국가별 순위(상위그룹)
<표39> 우리나라의 디지털접근지수 순위
<표40> 네트워크 준비지수의 구성
<표41> 국가별 네트워크 준비지수 순위 (상위 30개)
<표42> 네트워크 준비지수 중 부문별 우리나라의 순위 (‘02-’03)
<표43> 네트워크 준비지수 중 우리나라의 취약지표
<표44> 국가정보화 세부지표별 강점 및 약점 분석(‘03-’04)
<그림 차례>
<그림1> 경제운영성과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2> 정부행정효율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3> 기업경영효율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4> 발전인프라구축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5> 지표별 가중치 비율 (2004 국가정보화지수)
<그림6> 우리나라 부문별 정보화 순위 추이
<그림7> 주요 정보화지표의 증감 비교
<그림8> 2004년 IDC 정보사회지수 상위 20개국 순위 및 점수분포
<그림9> 우리나라의 연도별 정보사회지수 순위 추이
<그림10> 국가별 디지털접근지수의 순위 변화(‘98-’02)
<그림11> 네트워크 준비지수 모델
<그림12> 국제 정보화지수별 우리나라 순위(‘03-’04)
Tweet
2004. 12
2004 국제 정보화지수 분석 및 시사점
정책개발분석팀 김두현
정책개발분석팀 정현민
정책개발분석팀 김현진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II. EIU의 ‘인터넷 학습기반 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III. EIU의 ‘e-비즈니스 준비도 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IV. IMD의 ‘ 국가경쟁력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 한국전산원의 ‘국가정보화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I. 미국 브라운대학의 ‘전자정부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II. IDC의 ‘정보사회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VIII. UN의 ‘전자정부준비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IX. ITU의 ‘디지털접근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X. WEF의 ‘네트워크준비지수’
1. 개요
2. 지수 구성항목 및 산정방식
3. 평가결과
4. 우리나라의 수준 및 시사점
XI. 결론
<표 차례>
<표1> 주요 국제 정보화지수 현황
<표2> 인터넷 학습기반지수 핵심역량(4 Cs)
<표3> 인터넷 학습기반지수 부문별 세부지표 및 가중치
<표4> 국가별 인터넷 학습기반 점수와 순위 (전체 60개국)
<표5> 국가별 세부 부문에 대한 점수와 순위 (상위 30개국)
<표6> 인터넷 학습기반의 부문별 우리나라 점수와 순위
<표7> e-비즈니스 준비도의 구성요소
<표8> 국가별 e-비즈니스 준비도 점수와 순위 (전체 64개국)
<표9> 국가별 세부 부문에 대한 점수와 순위 (상위 30개국)
<표10> 국가별 세부 부문에 대한 점수와 순위 (상위 30개국, 계속)
<표11> e-비즈니스 준비도의 부문별 우리나라 순위
<표12> 국가경쟁력지수의 구성요소
<표13> 전체 국가/지역별 경쟁력 순위
<표14> 인구 규모별 국가/지역 경쟁력 상위 10개국
<표15> 국가경쟁력의 부문별 우리나라 순위
<표16> 경제운영성과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17> 정부행정효율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18> 기업경영효율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19> 발전인프라구축 부문의 우리나라 강점과 약점
<표20> 국가정보화지수 구성 지표
<표21> 연도별 주요국가의 국가정보화지수
<표22> 연도별 주요국가의 국가정보화순위
<표23> 우리나라 조사 대상 웹사이트
<표24> 전자정부지수 측정을 위한 조사지표
<표25> 주요 국가별 전자정부 지수 및 순위 (‘03~’04)
<표26> 우리나라 정부 웹사이트의 세부 항목별 제공비율 및 순위 (‘03~’04)
<표27> 지수 순위 변동 폭이 큰 국가 (‘01~’04)
<표28> 정보사회지수 지표 구성
<표29> 2004 정보사회지수 국가별 순위비교 (상위 20개국)
<표30> 2004 정보사회지수 국가별 세부 순위
<표31> 부문별 지표 및 최상·하위 3개 국가 (2004)
<표32> 전자정부 준비지수의 구성
<표33> 주요 국가별 전자정부 준비지수 순위(‘02-’03)
<표34> 주요 국가별 전자정부 진화 단계별 구현 수준(‘03-’04)
<표35> 주요 국가별 정보통신 인프라 부문 순위
<표36> 디지털 접근지수의 구성
<표37> 디지털 접근지수의 산정방법
<표38> 디지털접근지수의 주요 국가별 순위(상위그룹)
<표39> 우리나라의 디지털접근지수 순위
<표40> 네트워크 준비지수의 구성
<표41> 국가별 네트워크 준비지수 순위 (상위 30개)
<표42> 네트워크 준비지수 중 부문별 우리나라의 순위 (‘02-’03)
<표43> 네트워크 준비지수 중 우리나라의 취약지표
<표44> 국가정보화 세부지표별 강점 및 약점 분석(‘03-’04)
<그림 차례>
<그림1> 경제운영성과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2> 정부행정효율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3> 기업경영효율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4> 발전인프라구축 부문 항목별 평가결과
<그림5> 지표별 가중치 비율 (2004 국가정보화지수)
<그림6> 우리나라 부문별 정보화 순위 추이
<그림7> 주요 정보화지표의 증감 비교
<그림8> 2004년 IDC 정보사회지수 상위 20개국 순위 및 점수분포
<그림9> 우리나라의 연도별 정보사회지수 순위 추이
<그림10> 국가별 디지털접근지수의 순위 변화(‘98-’02)
<그림11> 네트워크 준비지수 모델
<그림12> 국제 정보화지수별 우리나라 순위(‘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