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수 143
본 자료는 사이버 시민사회는 어떤 방식으로 정치과정에 참여하는게 바람직한가?(2002.02.19)에 발제를 해주신 박동진 선생님의 발제문 전문입니다.
인터넷과 선거: 한국선거에서 인터넷의 도입과 그 충돌
박동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인터넷은 지금까지 우리가 기반하고 있던 근대화, 산업화의 모든 개념을 뒤 흔들어 놓고 있다. 특히 오늘날 정치가 기반을 두고 있는 모든 근대적, 산업시대적 개념들에 대해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당은 집합적 행동을 보장하는 시민권 개념에서 그 존재의 근거가 부여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정당은 크게는 계급세력의 추동 및 계급을 동원하면서 대중정당으로 전환할 수 있었으며, 작게는 이익집단의 동원에 기반해서 그 존재영역을 확산해 왔다. 그러나 인터넷은 계급과 이익의 그 집합적 규모에서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기반 위에 서있는 정당은 새로운 자기조직화 과정의 방향 및 비전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로에 놓여 있다." 본문 내용중
Tweet
인터넷과 선거: 한국선거에서 인터넷의 도입과 그 충돌
박동진(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인터넷은 지금까지 우리가 기반하고 있던 근대화, 산업화의 모든 개념을 뒤 흔들어 놓고 있다. 특히 오늘날 정치가 기반을 두고 있는 모든 근대적, 산업시대적 개념들에 대해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당은 집합적 행동을 보장하는 시민권 개념에서 그 존재의 근거가 부여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정당은 크게는 계급세력의 추동 및 계급을 동원하면서 대중정당으로 전환할 수 있었으며, 작게는 이익집단의 동원에 기반해서 그 존재영역을 확산해 왔다. 그러나 인터넷은 계급과 이익의 그 집합적 규모에서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기반 위에 서있는 정당은 새로운 자기조직화 과정의 방향 및 비전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로에 놓여 있다." 본문 내용중